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11-21

"하루 담배 2~5개비만 피워도 사망 위험 60% 증가" 美 연구팀 "심혈관질환·사망 위험 줄이려면 절연보다 금연해야"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하루 흡연량이 2~5개비 정도로 적어도 장기적 사망 위험이 비흡연자보다 60%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흡연량이 하루 11~20개인 경우에는 사망 위험이 130%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 ⓒ lil artsy, Pexels 제공
흡연 ⓒ lil artsy, Pexels 제공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마이클 블라하 교수팀은 19일 의학 저널 플로스 메디신(PLOS Medicine)에서 32만여명을 대상으로 흡연 영향을 장기 추적한 22개 연구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흡연량이 적어도 비흡연자보다 심혈관질환과 사망 위험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흡연자에게 가장 중요한 공중보건 메시지는 흡연량을 줄이는 것보다 일찍 담배를 끊으라는 것이라며 금연은 위험을 즉각적으로 많이 감소시킬 뿐 아니라 위험 감소는 금연 후 20년 이상 지속된다고 말했다.

이전 연구들에 따르면 흡연이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흡연량과 위험도 간 관계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특히 적은 양의 흡연이 미치는 영향은 명확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오늘날 적은 양의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늘고 있지만, 흡연량이 하루 한 갑 이하인 사람도 흡연이 심혈관 건강에 미치는 위험과 금연의 장기적인 이점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32만3천826명을 최대 19.9년 동안 추적 관찰한 22개 장기 코호트 연구의 데이터를 이용해 하루 및 연간 흡연량, 금연 기간 등과 심혈관질환 및 그로 인한 사망 등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 기간 발생 건수는 심근경색(MI)이 1만7천570건, 관상동맥질환(CHD) 3만625건, 심혈관질환(CVD) 5만4천78건, CHD 사망 1만7천429건, CVD 사망 3만3천120건, CHD와 CVD를 포함한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12만5천44건 등이었다.

분석 결과 현재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심혈관질환 위험이 남성은 74%, 여성은 104% 높았고,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도 남성은 117%, 여성은 143%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량의 경우, 하루 2~5개비를 피우는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60% 높았고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 위험은 57% 높았다. 이들은 심방세동 위험 26%, 심부전 위험 57% 등 심혈관질환 위험도 높았다.

하루 흡연량이 11~20개비인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130% 높았고 심혈관질환에 의한 위험은 8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금연할 경우 첫 10년 동안 모든 질환과 사망의 위험이 가장 크게 감소했으며, 그 이후에도 위험 감소가 지속돼 금연 20년 후에는 현재 흡연자보다 상대적 위험이 80% 이상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흡연 관련 연구 중 규모가 가장 크고, 가장 높은 품질의 데이터를 사용한 연구 중 하나"라며 "흡연은 매우 해로운 행동이고, 아주 적은 흡연량도 심혈관질환 위험을 크게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담배를 가끔 피우거나 매우 적은 양만 피워도 심혈관질환과 사망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점을 고려하면, 하루 흡연량을 줄이는 것보다 더 젊은 나이에 금연하는 게 위험을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 출처 : PLOS Medicine, Michael Blaha et al., 'Associa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status, intensity, and cessation duration with long-term incidence of nine cardiovascular and mortality outcomes: The Cross-Cohort Collaboration (CCC)', https://doi.org/10.1371/journal.pmed.1004561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11-21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차대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차대길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