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10-27

"심야 노출되는 빛 밝을수록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호주 연구팀 "자정 후 밝은 빛 노출, 심부전·심근경색 등 위험 높여"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자정 이후부터 새벽까지 노출되는 빛의 밝기가 밝을수록 장기적으로 심부전과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 위험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야간 빛 공해 ⓒ 연합뉴스 자료사진
야간 빛 공해 ⓒ 연합뉴스 자료사진

호주 플린더스대 대니얼 P. 윈드레드 박사팀은 24일 미국의사협회 학술지 JAMA 네트워크 오픈(JANA Network Open)에서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 참여자 8만8천여명의 야간 빛 노출 강도와 심혈관 질환 기록을 9.5년간 기록을 분석, 이런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자정 이후 노출되는 빛이 밝을수록 40세 이상 성인의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기존 심혈관 예방 조치에 야간 조명 노출 최소화를 추가하는 게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야간 빛 노출은 인체의 일주기 리듬(circadian rhythm)을 교란하며, 이는 심혈관 질환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야간에 노출되는 빛의 밝기와 심혈관 질환 위험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는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영국 바이오뱅크 참여자 8만8천905명(평균 나이 62.4세)을 대상으로 낮과 밤의 빛 노출이 심혈관 질환 발생률과 관련이 있는지 평가하고, 노출된 빛의 밝기와 성별, 연령 등에 따라 연관성이 달라지는지 등을 조사했다.

참가자들은 손목에 조도 센서를 착용하고 1주일간 매일 밤 0시 30분부터 오전 6시까지 노출되는 빛을 측정했다. 이어 노출된 빛의 밝기(야간 평균 조도)가 가장 어두운 하위 0~50% 그룹부터 51~70%, 71~90%, 91~100% 그룹 등 4개로 나눈 다음,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 데이터를 이용해 9.5년간 심혈관 질환 기록을 분석했다.

각 그룹이 노출된 빛 밝기는 0~50% 그룹이 달빛·암실 수준인 0.62 럭스(Lux), 51~70% 그룹은 희미한 실내등 수준인 2.48 Lux, 71~90% 그룹은 침실조명 수준인 16.37 Lux, 91~100% 그룹은 TV·스마트폰 등이 켜진 수준인 105.3 Lux였다.

분석 결과 노출된 빛 밝기가 가장 밝은 91~100% 그룹의 심혈관 질환 위험은 가장 어두운 그룹(0~50%)에 비해 심부전은 56%, 심근경색 47%, 관상동맥질환과 심방세동 각각 32%, 뇌졸중 28%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야간 빛 노출과 심혈관 질환 위험 간 연관성은 참가자들의 신체활동과 흡연, 음주, 식단, 수면시간, 사회경제적 지위, 유전 요인 등 기존 심혈관 위험 요인의 영향을 고려한 후에도 그대로 유지됐다.

특히 여성은 밤에 노출되는 빛의 밝기가 밝을수록 심부전과 관상동맥질환 위험 증가 폭이 남성보다 더 컸으며, 60세 이하 젊은 연령층은 고령층보다 심부전과 심방세동 위험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개인의 빛 노출 양상과 심혈관 질환 간 연관성을 조사한 첫 연구로 야간 조명을 피하는 것이 건강 식단 유지, 충분한 신체활동, 음주·흡연 자제 등 현재의 심혈관 질환 예방 권고사항에 유망한 심혈관 질환 예방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 출처 : JANA Network Open, Daniel P. Windred et al., 'Light Exposure at Night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cidence',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networkopen/fullarticle/10.1001/jamanetworkopen.2025.39031?guestAccessKey=1b34668e-afe8-4888-aa3d-dd05b3b83eff&utm_source=for_the_media&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ftm_links&utm_content=tfl&utm_term=102325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10-27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차대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차대길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