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독성과학연구소는 김동임 박사 연구팀이 알레르기 원인 물질과 미세먼지를 동시에 마셨을 때 폐에 미치는 독성 영향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실험용 생쥐에 집먼지진드기 추출물과 미세먼지를 동시에 노출하는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체에 집먼지진드기 추출물만 노출한 경우와 집먼지진드기 추출물과 미세먼지를 함께 노출한 경우를 비교한 결과, 집먼지진드기만 노출된 그룹에서는 천식과 같은 전형적인 알레르기 반응이 관찰됐다.
반면 미세먼지까지 함께 노출된 그룹에서는 천식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대식세포(면역세포) 고유의 기능이 떨어져 항원(집먼지진드기 추출물)을 인식하지 못하면서 겉으로는 알레르기 반응이 줄어든 것으로 보이지만, 면역체계가 약해지면서 면역억제성(면역계의 활성이 비정상적으로 감소하는 현상) 폐 환경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폐의 면역체계가 약해진 상태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 단백질(S1)을 추가로 노출하자, 심각한 폐 섬유화 현상이 나타났다.
평소 건강한 사람이라도 미세먼지와 알레르기 환경에 오래 노출되면 면역 취약군이 돼 바이러스에 노출될 경우 더 큰 호흡기 질환을 겪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김동임 박사는 "그동안 미세먼지와 알레르기 인자와 같은 유해 물질이 인체에 해롭다는 사실은 흔히 알려져 있었지만, 두 가지 요인을 동시에 흡입했을 경우의 위험성을 밝힌 사례는 이번 연구가 처음"이라며 "실제 생활환경 수준에 맞춘 실험 모델을 개발하고 인체와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후속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5-10-16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