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진이 혁신적인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프로탁'을 이용해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심만규 선임연구원과 건국대 박주호 교수 연구팀이 난치성 유방암인 삼중음성 유방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 치료제 '나노탁'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나노탁은 프로탁과 나노 의약을 합친 말이다.
프로탁은 질병을 유발하는 표적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최근 임상에서 높은 효과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최근 암세포나 암 관련 유전자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면역항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암종에서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빛을 쪼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광역학 치료가 면역반응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삼중음성 유방암 같은 고형암의 저산소 환경에서는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
연구팀은 프로탁과 암 조직 내 면역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광감각제(빛에 반응하는 약물)를 결합해 암 조직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나노 치료제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탁을 삼중음성 유방암 동물 모델에 투여하자 나노탁이 종양에 쌓인 뒤 종양 특이적 효소에 의해 절단돼 프로탁과 광감각제를 방출하는 모습이 확인됐다.
프로탁이 표적 단백질을 분해해 암세포의 저산소 상태를 개선하며, 이후 빛을 쪼이면 강력한 면역반응을 통해 종양의 성장과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심만규 선임연구원은 "프로탁과 광역학 치료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암세포 내 면역반응을 극대화했다"며 "난치성 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항암 면역치료 원천기술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신호 전달 및 표적 치료'(Signal Transduction and Targeted Therapy)에 지난 26일 자로 실렸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5-10-01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