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9-08

사과주스, 구강에 해롭다?…"침 작용으로 10분내 영향 사라져" 英 연구팀 "건강한 섭취법은 한 번에 짧게 마시고 물로 입안 헹구는 것"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단맛에 산성을 띤 사과주스는 구강 건강에 해롭다고 알려졌지만, 그 영향은 침의 보호 작용으로 10분 안에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사과주스를 여러 번 나눠 오래 마시지 않고 한 번에 짧게 마시면 해로움을 줄일 수 있다고 권고했다.

사과주스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TASS=연합뉴스 자료사진
사과주스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TASS=연합뉴스 자료사진

영국 포츠머스대 마흐디 무타하르 박사팀은 4일 오픈액세스 과학 저널 플로스 원(PLOS One)에서 성인 32명에게 사과주스를 마시게 한 다음 마시는 방법이 침의 구강 및 치아 보호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무타하르 박사는 "사과주스는 입의 자연 보호막을 일시적으로 방해하지만, 그 효과는 10분 안에 사라지기 시작한다"며 "이 연구가 과일주스를 건강하게 마실 수 있는 새로운 위생 습관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침은 치아에 미끄러운 막을 형성해 입 안에서 마찰과 세균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치아 에나멜의 초기 손상 회복에도 도움을 준다.

연구팀은 다양한 음료가 침이 만드는 보호막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알지만 정확히 어떤 방식으로, 얼마나 오래 영향을 주는지는 명확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건강한 성인 32명을 대상으로 1분간 사과주스와 물로 입을 헹굴 때 침의 마찰 특성과 막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점탄성, 침 속 단백질 농도 및 조성 등이 어떻게 변하는지 첨단 분석기법을 이용해 조사했다.

물이나 주스로 입안을 헹구기 전과 후 침을 채취해 분석한 결과 두 가지 모두 침의 윤활 기능을 약화시켜 마찰이 크게 증가했다.

마찰 증가 폭은 물이 사과주스보다 컸으나, 사과주스로 인한 윤활 기능 저하는 10분 만에 원래 수준을 회복한 반면, 물로 인한 윤활 기능 저하는 같은 시간에 원래 수준의 절반만 회복하는 데 그쳤다.

반면에 침 속 총단백질 농도는 물의 경우 1분 만에 크게 감소했지만, 사과주스는 물과 같은 수준으로 단백질이 감소하는 데 10분이 걸렸다.

특히 사과주스를 마실 때는 면역글로불린, 시스타틴, 탄산탈수소효소가 크게 줄었지만 윤활 기능에 중요한 단백질인 뮤신은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또 과일주스는 입안 면역 관련 단백질도 감소시켜 구강 면역 방어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전신 면역 체계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타하르 박사는 "사과주스는 다른 산성 음료처럼 치아 등 구강 건강에 즉각 해를 준다고 오랫동안 여겨져 왔지만 이 연구는 침이 입을 보호하고 빠르게 회복시켜 장기적인 손상을 막는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이어 "핵심적인 발견은 사과주스를 한 번에 짧게 마시는 것은 해롭지 않다는 것"이라며 "사과주스를 반복해 마시거나 마신 뒤 물로 입을 헹구지 않아 입안을 오랜 시간 사과주스에 노출하면 구강건강에 나쁜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구강 건강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사과주스 섭취법으로 ▲ 조금씩 오래 마시지 말고 빨리 마실 것 ▲ 마신 후 즉시 물로 입안을 헹굴 것 ▲ 빨대를 사용해 산성 음료와 치아의 직접 접촉을 줄일 것 ▲ 두 번째 음료를 원한다면 먼저 물을 조금 마시고 기다린 뒤 마실 것 등을 권고했다.

◆ 출처 : PLOS One, Mahdi Mutahar et al., 'Short-term effects of sweetened acidic beverages consumption on human saliva: Colloidal properties and protein composition', https://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330023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9-08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차대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차대길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