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M-3 단백질의 기능과 각 영역별 역할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우리 몸의 세포 분열 과정에서 DNA 연결고리가 사라지지 않으면 염색체가 비정상적으로 나뉘어져 유전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연결고리를 자르는 단백질의 작동 방식이 밝혀졌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의과학대학원 안톤 가트너 특훈교수와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항상성연구단의 스테판 롤랑 연구위원팀은 염색체 사이에 남아 있는 DNA 연결고리를 절단하는 단백질인 LEM-3의 작동 방식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했다고 20일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5-22 ⓒ ScienceTimes 태그(Tag) #DNA #LEM-3단백질 #단백질 #연결고리 #핵산 관련기사 노화 속도 늦추는 단백질 찾았다…RNA 수준 규명 펠로타 단백질의 노화 조절 역할 규명 연구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이승재 교수와 연세대 서진수 교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광표 박사 공동 연구팀이 리보솜의 품질을 관리하는 '펠로타'(PELOTA) 단백질이 노화 속도를 늦추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mRNA(메신 GIST, '노화 근육 소실 속도 조절' 단백질 세계 최초 확인 다런 윌리엄스 교수 연구팀 논문 이미지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나이 들수록 근육이 빠지는 신체 현상과 관련해 특정 단백질을 조절함으로써 근육 소실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24일 생명과학과 다런 윌리엄스(Darren Williams) 교수 연구팀이 노화에 따른 근감소증 주요 유발 요인으로 단백 빛 쪼여 원할 때만 유전정보 '쏙'…KAIST, 릴리저 기술 개발 생쥐를 대상으로 한 '릴리저' 기술 실험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허원도·박용근 석좌교수 연구팀이 빛을 이용해 단백질과 mRNA(메신저 리보핵산·유전정보로부터 단백질을 번역해 생성하는 중간 과정의 전령RNA)를 원하는 시점에 저장·방출할 수 있는 '릴리저 아주대·가톨릭대 "mRNA 치료제 효율성 높일 분석기술 개발" 아주대는 가톨릭대와 공동 연구를 진행해 메신저 리보핵산(mRNA) 치료제의 핵심 구조를 정밀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 개요도 ⓒ아주대 제공 mRNA 치료제는 세포에 특정 질병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단백질을 만들도록 지시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학계에서는 유전질환 및 자가면역질환 치료와 관련 세계 최대 단백질 데이터세트 공개…노화·치매 생체표지 발굴 알츠하이머병·파킨슨병 등 신경퇴행성 질환과 노화 등의 생물학적 기초 연구와 조기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 활용될 생체표지 연구 등에 토대가 될 세계 최대 규모 신경퇴행성 질환 단백질 데이터세트가 공개됐다. 표준화된 장기 연령 격차와 신경퇴행성 질환 간 연관성 그래픽. 표준화된 장기 연령 격차(standardized organ age 소두증 등 희소 질환 단백질 발현 조절 분자 기작 첫 규명 김승균 교수 연구팀 ⓒ충남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소두증 등 희소질환 원인이 될 수 있는 단백질인 'NSUN2'의 발현을 조절하는 분자 기작(생물의 생리적 작용을 일으키는 기본 원리)을 최초로 규명했다. 충남대는 생명정보융합학과 김승균 교수팀이 유전자 내부에 있는 인핸서(Enhancer·증강인자)로부터 발현 "2천400만년 된 동물 화석 이빨에서 단백질 복원 성공" 국제 연구진이 최고 2천400만년 전에서 1천600만년 전 캐나다 북부와 아프리카 케냐에 살았던 코뿔소 근연종 동물 화석의 이빨 법랑질(enamel)에서 고단백질을 채취해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2천만년 이상된 단백질이 보존된 화석이 발견된 캐나다 북부 호튼 충돌구 주변 ⓒMartin Lipman 제공 덴마크 코펜하겐대 라이언 패터 "비흡연자 폐암 증가, 대기오염이 주요 원인일 수 있어" 세계적인 흡연 감소 추세 속에 비흡연자 폐암 비율이 증가하는 것은 대기오염 등이 비흡연자에게 폐암 관련 유전자 돌연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세먼지에 갇힌 서울.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 샌디에이고)와 미 국립암연구소(NCI) 공동 연구팀은 3일 운동 중 분비되는 단백질이 근육·뼈 노화 막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양용열 박사와 전남대 김낙성 교수 연구팀은 운동 중 분비되는 단백질 'CLCF1'이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만들어 근골격 노화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운동할 때 근육에서 혈액으로 분비되는 단백질인 '마이오카인'은 지 "하얼빈에서 발견된 고대 인류 두개골 주인공은 데니소바인" 2021년 신종 고대 인류로 추정된다는 연구 결과로 세계적인 관심을 끈 14만6천년 전 인류 화석 하얼빈 두개골(Harbin cranium)이 데니소바인 계통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새로운 고대 인류 '호모 롱기'로 분류됐던 하얼빈 두개골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중국과학원 고척추동물 및 고인류학 연구소 푸차오메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아버지의 사랑이 정말 ‘좀비딸’을 살릴 수 있을까? 머리카락으로... 치약을 만든다고? 나무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거대한 생태계? 1살 우리아기, 밥을 안먹어도 너무 안먹어요 [광복절 특집] 대한의 여성과학자 만세 [광복절 특집] 변하는 과학관, 과학문화의 미래를 열다 극지연구소 "북극에 온난화 늦추는 자연 복원력 확인" UNIST "AI 모델 실행코드 더 빠르게 찾는 기술 개발" '기존 결정크기 1만배' 고품질 흑연 합성…"강도·전도성 우수" 반도체공장서 가스누출 시 0.5초 내 감지…초음파 감지기 나와 속보 뉴스 인간 뇌신경 구조 닮은 이미지 센서 개발…보는 AI에 적용 "두 격자 간 어긋남으로 나타나는 '물결 무늬' 정밀 제어" "코로나19 감염 여성, 혈관 노화 5년가량 더 빨라진다" '스핀 손실'의 반전…차세대 정보소자 전력 절감 길 열다 노화 속도 늦추는 단백질 찾았다…RNA 수준 규명 KAIST, 전력 없이 작동하는 광센서 개발…"민감도 20배" "GPU 한 대로 그래프신경망 초고속 학습" KAIST, AI 모델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