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효율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한 생명연 이대희 박사 연구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기존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한계를 극복한 고효율 다중 유전자 편집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유전자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디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4-25 ⓒ ScienceTimes 태그(Tag) #RNA #유전자가위 #유전자편집 #유전자편집기술 #크리스퍼 관련기사 암세포 DNA만 골라 제거한다…유전자 가위 기술 개발 연구 그림 DNA의 이중 나선을 모두 절단하는 방식과 단일 가닥만 절단하는 방식 비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암세포의 DNA만 골라 제거하는 유전자 가위 항암 기술이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와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항상성연구단 공동 연구팀은 암세포 DNA의 이중 나선 중 한 가닥만 잘라도 세포를 없어진 눈을 통째로 다시 만드는 달팽이의 재생 능력 도마뱀의 잘린 꼬리는 곧 다시 재생된다. Ⓒ Getty Images 달리는 도중 넘어져서 피부가 쓸리더라도 우리 몸은 놀라운 회복력으로 다시 나아지곤 한다. 하지만 상처 입은 기관 전체를 재조립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높은 곳에서 떨어져 뼈가 부러지더라도 결국 다시 붙을 수는 있지만, 뼈가 통째로 없어진 경우 처음 모습으로 재 "유전자 편집 돼지 폐, 뇌사자에게 첫 이식…9일간 기능" 사람에게 이식된 후 초급성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도록 유전자가 편집된 돼지의 폐가 처음으로 뇌사자에게 이식돼 9일 동안 기능을 유지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뇌사자에게 이식되는 유전자 편집 돼지 폐. 유전자 편집 돼지의 폐를 뇌사자에게 이식하기 위해 환자의 기관 주변 조직을 절개하고 있다. ⓒHe et al., Nature Medicine 제 생명연, 세계 최초로 '조로증' 치료 가능성 열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선욱 박사 ⓒ생명연 제공 태어난 지 1∼2년인데도 피부 주름이 많고 키가 자라지 않으며, 뼈와 혈관이 급속도로 노화하는 '조로증'. 약 800만명 중 1명에게 발생하는 희귀 난치성 유전질환인 허친슨-길포드 조로증 증후군(HGPS)으로, 평균 기대수명이 14.5년에 불과한데도 아직 완치 치료법 "쥐 콧속 투여 후 100% 생존"…코로나19 원점 타격 기술 개발 펩타이드 기반 코로나19 치료제 개념도 ⓒIBS 제공 기초과학연구원(IBS)은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최영기 소장 연구팀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RNA 복제와 증식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 후보물질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스스로 증식하기 위해 리보핵산(RNA) 중합효소 복합체를 이용한다. RN KAIST, 원하는 RNA만 골라 변형시키는 유전자 가위 기술 개발 KAIST 연구팀, RNA 화학 변형시키는 유전자 가위 기술 개발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 연구팀이 리보핵산(RNA) 유전자 가위(유전자 교정 기술)를 이용해 RNA를 화학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RNA 유전자 가위는 코로나바이러스 등 바이러스의 RNA를 "혈액 부족 문제 해결" 생명硏, 면역 결핍 미니돼지 개발 JAK3 녹아웃 미니돼지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김선욱 박사 연구팀이 유전자 편집과 형질전환 기술을 이용해 안전한 혈액 공급을 위한 면역 결핍 미니돼지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2019년 기준 전 세계 196개국 가운데 119개국이 혈액 부족 사태(미국 워싱턴대 조사 결과)를 겪을 정도로 혈액 공급이 굶주린 세포의 DNA 복구 능력 이용해 유전자가위 정확도 높였다 자가포식 유도를 통한 유전자 정밀 편집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포에 자가포식(세포가 자신의 일부를 분해해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하는 과정)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유전자 정밀 편집의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한국화학연구원 남혜진 박사 연구팀은 서울대 의대 조동현·배상수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세포에 자가포식을 부산대 연구팀, 유전자 가위 부작용 예측 맞춤형 도구 개발 유전자 가위 부작용 예측하는 맞춤형 도구 알고리즘 개요도 ⓒ부산대 제공 부산대학교 연구팀이 유전자 가위의 부작용을 예측하는 맞춤형 도구 개발에 성공했다. 부산대학교 의생명융합공학부 박정빈 교수 연구팀은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김혜란 교수와 협력해 개인별 유전체 변이를 고려해 유전자 가위의 정확한 작용 위치와 잠재적 부작용 위치를 예측 "유전자 변형 돼지 간, 뇌사자에 첫 이식…10일간 정상 기능" 사람에게 이식할 때 거부반응 등이 일어나지 않게 유전자를 조작한 미니 돼지의 간을 뇌사자에게 이식한 결과 10일간 거부 반응 없이 담즙과 알부민을 생성하고 혈류도 안정적으로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 이식용 유전자 조작 '바마 미니 돼지' ⓒNature/Lin Wang et al. 제공 중국 시안 제4군 의과대학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화성에서 드디어 35억년 전 생명체의 강력한 증거를 발견하다 도파민 터지는 ‘숏폼’, 우리의 집중력은 ‘47초’ 독감은 왜 노인에게 더 치명적일까…"ApoD 단백질 증가 때문" 중세 이후 가축은 커지고 야생동물은 작아졌다? "해양 온난화, 지구 산소 20% 생산하는 바다 박테리아 위협" 초파리의 특이한 선물 공세 비밀을 풀다 동물들은 지진을 예측할 수 있을까 UNIST, 기술이전 계약 자동 분석하는 AI 시스템 구축 스마트폰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국내 연구진 AI 모델 개발 그래핀으로 극미량의 독소도 감지…'햄버거병' 잡아낸다 속보 뉴스 "알츠하이머병 유전자 있으면 뇌 속 별세포 면역기억↓" "척수 별세포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 손상된 척수 회복 방해" "공룡은 거대한 생태공학자…멸종 후 지구 지형에 큰 변화" 초미세먼지 유발 암모니아 '정밀 관측'…UNIST, AI 모델 개발 전기연, 반도체 초정밀 공정서 활용 가능한 펄스 전원 개발 전기연, 반도체 초정밀 공정서 활용 가능한 펄스 전원 개발 원자력연, 원자로 '보조 운전자' 수준 AI 에이전트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