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박테리아 제어하는 금 나노입자 개념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감염병연구센터 류충민 박사 연구팀이 슈퍼박테리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금 나노입자와 지질 나노입자 기반 신규 항생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슈퍼박테리아는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고위험성 세균이다. 이는 항생제 오남용에 의해 생기며, 세계보건기구(WHO)는 슈퍼박테리아를 '차세대 팬데믹'이 될 것으로 경고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4-09 ⓒ ScienceTimes 태그(Tag) #감염치료 #슈퍼박테리아 #시데로포어 #항생제 관련기사 "만성 부비동염 치료에 항생제보다 부비강 수술이 효과적" 잘 낫지 않아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질환 중 하나인 만성 부비동염(Chronic rhinosinusitis·축농증) 치료에 항생제보다는 내시경 부비동 수술이 훨씬 효과적이라는 대규모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만성 부비동염-부비동에 고름 ⓒ하나이비인후과병원 제공 영국 이스트앵글리아대 칼 필폿 교수팀은 28일 의학 저 국내 토양 미생물서 '슈퍼박테리아' 잡는 항생물질 발견 방선균 '스트렙토마이세스 카나마이세티쿠스'를 배양한 모습.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슈퍼박테리아'가 된 황색포도알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물질을 발견했다고 국립생물자원관이 28일 밝혔다. 자원관은 고려대·건국대 연구진과 공동연구를 통해 '스트렙토마이세스 카나마이세티쿠스 공기 중 슈퍼박테리아 실시간 포착…간편하게 현장서 검출 슈퍼박테리아 현장 검출 기술 개발한 생명연 연구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나노연구센터 임은경 박사 연구팀은 연세대 황정호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공기 중에 떠다니는 슈퍼박테리아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는 진단 기술 'CN-TAR'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유전자 편집 기술인 슈퍼박테리아가 만든 보호막, 미세방울로 뚫는다 슈퍼박테리아 보호막 무력화 기술 모식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정현정 교수와 미국 일리노이대 공현준 교수 공동 연구팀이 슈퍼박테리아인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하 포도상구균)의 보호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미세방울(microbubble) 기반 유전자 전달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9일 밝 "끈적한 인공 혈전으로 혈액 속 세균 흡착해 감염 치료" 인공 혈전의 세균 포획 원리와 성능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끈적한 인공 혈전에 혈액 속 세균을 달라붙게 해 제거하는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강주헌 교수팀은 인공 혈전을 이용한 체외 세균 정화 장치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혈액 투석처럼 감염된 혈액을 체외로 빼낸 강물로 흘러든 항생제 8500톤, 지구촌 수질을 위협하다 부메랑이 되어 돌아온 항생제 사람의 병을 낫게 하려고 먹은 약이 오히려 병이 되어 돌아올 위기에 놓였다. 페니실린 발견 이후 수십 년간 감염성 질환 치료에 필수적인 약물로 자리 잡은 항생제. 세균을 억제하고 죽이는 이 약물이 하수도를 타고 지구 곳곳의 하천에 축적되어 생태계를 교란하고 사람의 건강까지 위협하고 있다. 특 "항생제 내성균 감염으로 인한 어린이 사망 연 300만명 넘어" 2022년 지역별 항생제 내성균 관련 어린이 사망자 ⓒESCMID 제공 항생제 내성균(AMR : antimicrobial resistance) 감염 및 관련 합병증으로 숨지는 어린이가 연간(2022년 기준) 300만명이 넘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브라운대 조지프 하웰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14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 약용 참거머리에서 슈퍼박테리아에 대응할 항균 물질 발굴 슈퍼박테리아 대응 항균물질 발굴한 공동 연구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이성수 박사와 조선대 의대 신송엽 교수, 충북대 조성진 교수 공동 연구팀은 약용 참거머리에서 슈퍼박테리아에 대응할 새로운 항균 물질을 발굴했다고 25일 밝혔다. 슈퍼박테리아는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고위험성 세균으로, 항생제 오남용에 의해 생긴 항생제 내성, AI로 극복한다 항생제 내성이란? 항생제 내성으로 인한 감염으로 매년 자그마치 수백만 명이 사망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WHO에 따르면, 2019년에는 약 130만 명이 다제내성 결핵으로 사망했으며, 항생제 내성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10년 내 10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개발도상국에서는 항생제 오남용과 불량한 감염 관리로 인해 문제가 더욱 “박테리오파지 DNA 이용해 치명적 항생제 내성균 잡는다” 세계적으로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 문제가 심각해지는 가운데 미국 연구진이 세균에 침투할 수 있는 바이러스인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자를 조작해 박테리아에 침투시키는 방법으로 치명적인 항생제 내성균을 죽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박테리오파지 DNA 투여 후 죽은 녹농균(오른쪽). 사람에게 치명적인 5대 병원균 중 하나인 녹농균(Pseudomonas aerugi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모닝커피의 마법? 카페인 ‘골든타임’ 아침으로 밝혀져 화성에서 드디어 35억년 전 생명체의 강력한 증거를 발견하다 없어진 눈을 통째로 다시 만드는 달팽이의 재생 능력 꿀벌 살리기 대작전 '버섯 살인마'의 완전범죄 시도? 도파민 터지는 ‘숏폼’, 우리의 집중력은 ‘47초’ 암세포 DNA만 골라 제거한다…유전자 가위 기술 개발 폐PET 재활용해 CO₂잡는다…"고효율 포집 소재 기술 개발" "담배 속 화학물질, 면역세포와 결합해 췌장암 위험 높인다" 국내 연구진, 자성 나노나선 구조로 상온서 전자스핀 조절 성공 속보 뉴스 전기·태양광 없이 그린 과산화수소 만든다 버려지는 흑연 부산물로 고순도 흑연 음극재 만든다 "2달러로 마비 가능" KAIST 익명 인터넷 '토르' 취약점 찾았다 수소연료전지 촉매의 성능 저하 과정, 원자 수준에서 밝혔다 "가족 갈등, 자녀 수면의 질 떨어뜨리고 저녁형 인간 만든다" 후각이 뇌를 속인다…"이건 냄새가 아니고 맛이야" 화성 퇴적암 분석해보니…"과거 생명체 서식 환경 가능성 시사"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