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 신호전달 물질인 엑소좀에 착안해 약물 침투가 어려운 고형암 같은 조직 내부를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 전달체가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생체분자인식연구센터 김호준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엑소좀의 성분을 선별하고 조합해 기능을 모사한 전달체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3-28 ⓒ ScienceTimes 태그(Tag) #고형암치료 #난치성질환치료 #엑소좀 #엑소좀모사전달체 관련기사 모기 침에서 발견된 새로운 바이러스 감염 경로 모기에 물리면 피부가 부어오르고 가려워진다 ⒸGetty Images 무덥고 습한 날씨가 지속되면서 사람들의 불쾌지수도 높아지고 있다. 뜨거운 태양 열기를 피해 실내로 들어와 에어컨을 켜고 잠시 쉬려고 하면, 어느새 웽웽거리는 모기가 우리를 귀찮게 한다. 모기는 흡혈 과정에서 혈액을 효율적으로 빨아들이기 위해 히루딘과 같은 혈액 응고 방지 KIST, '약물 전달체' 엑소좀에 섞기만 해도 mRNA 담는 기술 개발 큐보좀과 엑소좀의 혼합을 통한 약물 로딩기술 ⓒKIST 제공 차세대 약물 전달체로 꼽히나 큰 분자 약물을 넣기 어려웠던 엑소좀에 10분 내로 큰 분자를 빠르게 담을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생체분자인식연구센터 김호준 선임연구원, 뇌융합연구단 김홍남 책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이 단순히 섞기만 해도 분자량이 갈색지방의 숨겨진 가능성, 비만 해결의 열쇠 될까? 현대 사회에서 비만 인구는 점차 늘어나고 있다 ⒸGetty Images 우리 몸은 섭취한 음식물로부터 에너지를 생성하고 일상생활이나 운동, 체온조절을 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소비한다. 이 둘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곧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다. 현대 사회는 과거보다 활동량이 줄어들고 먹거리는 풍부해져서 에너지 과잉 상태인 비만 인구의 비율이 만성폐쇄성 폐질환 병원체 발견 숨을 쉬는 기도가 막혀 폐기능이 서서히 떨어지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은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사망 원인으로 꼽힌다. 담배 같은 유해한 입자나 가스를 흡입해, 폐에 비정상적인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서 서서히 기류가 제한되는 호흡기병이다. 이 병이 생기는 주요 원인은 유전적 요인과 흡연, 석탄가루 같은 작업성 분진과 화학약품의 지속적 흡입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침팬지도 힘들땐 모여서 음주를 한다 아폴로 13호를 무사히 귀환시킨 우주비행사, 달에 영원히 잠들다 [2025노벨상] 양자세계의 '벽 통과' 마술을 손으로 만질 수 있게 만들다 반려동물들에서 발견된 치매 병리 신호 "인공 감미료 음료·설탕 음료 간질환 위험 높인다" 분자 속 거대한 공간, 화학의 미래 열다 "1시간 만에 아밀로이드β 60% 제거…생쥐 알츠하이머 치료" 만성 스트레스가 단백질의 당쇄화 형태 바꿔 우울증 일으킨다 "방치 등 경험한 강아지, 성장 후 겁 많고 공격성 커진다" 과학 소통의 중요성 - 과학과 사회를 잇는 새로운 패러다임 속보 뉴스 ETRI 창업기업, 대기 중 초미세먼지 실시간 측정 기술 개발 알레르기 원인 물질과 미세먼지 동시 마시자 폐 면역 약화 "50세 이후 금연해도 인지기능 저하 속도 크게 느려진다" "파킨슨병환자 배아줄기세포 치료로 지휘봉 다시 잡았다" "인간 줄기세포로 배양한 배아 유사체로 혈액세포 만들었다" 우주항공 딥테크 육성 'K-에어로스페이스 오픈 이노베이션' DGIST "8㎞ 밖 소형드론도 식별 AI 안티드론 기술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