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질환인 듀센근이영양증(DMD)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전략 ⓒ연합뉴스 제공 희귀질환인 듀센근이영양증(DMD)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전략을 국내 연구진이 제시했다. 서울대병원 임상유전체의학과 채종희 교수와 서울대 의대 의과학과 최무림 교수팀은 'EZH2 억제제'의 듀센근이영양증 근육 섬유화 감소 효과 등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최근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했다고 서울대병원이 20일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3-24 ⓒ ScienceTimes 태그(Tag) #DMD #EZH2억제제 #듀센근이영양증 #유전자억제제 관련기사 유전자가위로 근육위축병 치료 근육은 우리 몸을 움직일 수 있게 해준다. 질긴 힘줄로 뼈와 연결돼 있어 오므리거나 펼 때마다 강한 힘을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 근육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것은 신경이다. 인공지능의 조정을 받는 로봇처럼 근육 역시 신경의 조정을 받으며 다양한 움직임을 만들어 낸다. 그런데 신경과 관계없이 근육이 위축되는 병이 있다. 근육위축병(muscula 올림픽 선수처럼 근력 키우려면 206개국 1만900여명의 각국 대표선수들이 각축을 벌이는 브라질 올림픽이 유난히 더운 올 여름의 열기를 더욱 달구고 있다. 메달을 향한 선수들의 집념은 집중적인 훈련을 통해 기량 향상으로 이어지지만, 보조적으로 약물을 복용하거나 투여해 근육의 힘을 기르려는 경우도 흔하다. 실제로 선수들이 필수 보조 분자를 적정 수치로 유지하는 것은 근육기능을 최적화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병이 쌓이는 속도를 늦추는 식사법 마다가스카르 여우원숭이, 한 번 아닌 여러 번 ‘폭발했다’ 100만년 전 중국 두개골 발견, 인류 진화 타임라인을 최소 50만년 앞당기나 스트레스받으면 코가 차가워진다 UNIST, 이산화탄소보다 310배 강한 온실가스 분해 기술 개발 "비만 있어도 근력 강하면 사망위험 감소…악력으로 측정 가능" 우주항공청, 위성정보 빅데이터 AI 학습 데이터셋 15만건 공개 "스트레스 많으면 냉장고 사용↑"…사물인터넷으로 측정 과기부·공군, 양자과학기술 협력…국방력 강화 나선다 "비만약 세마글루티드, 감량 효과 관계 없이 심장 보호" 속보 뉴스 한국형 인공태양 '케이스타' 올해 플라스마 실험 시작 국제과학관심포지엄서 'AI 시대 과학관 역할' 공동합의문 채택 체외 미세 칩으로 폐암 등 고형암 치료 효과 예측한다 한불우주포럼 개최…32개 기업 협력 논의 코이카, 파라과이에 K-항공기술 전수해 중남미 항공 허브 구축 화상 치료 새 길 열렸다…자기 세포로 인공피부 제작 원자력연, 암 진단용 동위원소 '지르코늄-89' 중국 수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