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저작권자 2023-03-17 ⓒ ScienceTimes 태그(Tag) #ISS #구조생물학 #국제우주정거장 #단백질 결정 #신약개발 #우주 #우주 개발 산업 #우주 실험실 #우주과학 #제약 사업 관련기사 바이러스 잡고 상처 회복까지…KIST, 다기능 펩타이드 개발 체내 단백질에서 개발한 활성 펩타이드 소재 ⓒK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생체재료연구센터 한형섭 책임연구원, 천연물시스템생물연구센터 송대근 선임연구원, 도핑컨트롤센터 권오승 전문연구위원 공동연구팀이 천연물에서 찾은 펩타이드를 기반으로 항바이러스와 조직 재생 기능을 동시에 갖춘 치료 물질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우주 자체가 회전할 수도"…허블 수수께끼 해결 가설 제시 우주는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팽창하고 있다. 문제는 측정 방법에 따라 우주 팽창 속도(허블상수)가 다르다는 점이다. 허블 텐션(Hubble Tension)으로 알려진 이 문제는 우주론의 큰 수수께끼 중 하나다. 미국 연구진이 우주 자체가 극히 느린 속도로 회전하고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며 이 경우 허블 텐션(Hubble tension)도 해결할 수 있 "스타워즈 '타투인' 행성처럼 해가 2개 뜨는 외계행성 발견" 영화 '스타워즈'에 태양이 2개인 행성으로 등정하는 '타투인'(Tatooine)처럼 갈색왜성(brown dwarf) 2개를 두 별의 공전 면과 수직인 극궤도(polar orbit) 상에서 돌고 있는 외계행성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두 개의 갈색왜성 주위를 수직 극궤도로 도는 외계행성 상상도. 120광년 밖의 갈색왜성( 우주에서 만든 된장 맛은 어떨까? ▲ 감칠맛이 매력인 미소 된장을 우주에서 발효시키는 실험이 진행됐다. 견과류 맛이 풍부하게 나면서도 섭취하기 안전하다는 결론이다. ⒸJ.D.E 2008년 4월 12일, 국제우주정거장(ISS:International Space Station)에서는 특별한 파티가 열렸다. 우리 발효 식품인 김치를 중심으로 한 한식을 우주에서 선보인 날이다. "달 먼지로 태양전지 만든다…미래 우주탐사 에너지원 기대" 달 표면의 암석 부스러기와 먼지로 된 퍼석퍼석한 물질인 '레골리스'(regolith)를 이용해 우주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 제작 기술이 개발됐다. 달 레골리스를 활용한 미래 태양전지 제조 상상도. 달 표면의 암석 부스러기와 먼지로 된 퍼석퍼석한 물질인 '레골리스'(regolith)를 채취 우주 팽창시키는 암흑에너지가 약해졌다…45억년 전보다 10% ↓ DESI 프로젝트에 투입된 빛 포착 기기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우주를 팽창시키는 암흑에너지가 45억년 전보다 약해졌다는, 기존 이론을 뒤집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천문연구원이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진은 암흑에너지 분광 장비(DESI) 프로젝트를 통해 암흑에너지가 약해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DESI는 대한민국이 참여한 우주망원경 SPHEREx 발사 성공! 두 임무의 성공적인 발사, 우주 연구의 새로운 장 열어 NASA가 우주의 기원과 태양계의 비밀을 동시에 탐구하는 야심찬 우주 탐사 임무를 성공적으로 개시했다. 2025년 3월 11일 저녁 8시 10분(태평양 표준시), 밤하늘을 가르며 SpaceX 팔콘 9 로켓이 힘차게 발사되었다. 이 로켓에는 NASA의 최신 천체물리학 관측소인 SPHERE 원자로에서 우주 속 암흑물질 찾는다…네온 실험 착수 네온 실험의 검출기 모식도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지하실험 연구단(단장 김영덕)이 이끄는 국내 공동연구팀이 최초로 상용 원자로를 활용해 가벼운 암흑물질을 탐색하는 '네온'(NEON) 실험에 착수했다고 6일 밝혔다. 우주 속 암흑물질은 빛과 상호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고 중력만으로 존 AI로 생존율 100%, 뱀독 해독제 만들었다 ▲ 인공지능(AI)으로 설계한 새로운 뱀 해독 물질이 나왔다. 기존 치료제보다 효과가 좋고, 가격도 저렴할 것으로 예상된다. Ⓒ워싱턴대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매년 180만~270만 명의 사람들이 뱀 물림 사고를 당한다. 이 중 30만 명은 사지 절단 등 영구 장애가 남고, 10만 명은 목숨을 잃는다. 뱀 물림 사고 2025년, 우리가 주목할 만한 우주 과학 탐사와 이벤트들은? 더욱 흥미 진진한 2025년의 우주 과학 및 탐사 2024년의 우주 과학과 탐사 분야는 실로 놀라운 발전을 이뤘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을 통해서 은하의 크기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크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유럽의 차세대 주력 로켓인 아리안 6호의 성공적인 개발, 그리고 장기 우주 체류가 우주인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 등 매우 중요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소변’ 버리지 마세요, ‘토마토’에 양보하세요 싱크홀 위험 지역 알려주는 ‘땅속 백과사전’, 지질도 어린 시절 환경이 뇌 속 ‘하얀 길’ 바꾼다 가톨릭 교회와 과학의 공존: 2천년 역사 속 갈등과 협력의 여정 지방 소멸 위기, 과학이 지역을 돕는 방법 "복잡한 장면에서 핵심만 찾아낸다" 뇌처럼 분석하는 AI 추상화 앞에서 당신의 뇌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오류 줄인 고효율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 "온난화로 급격한 '기온 반전' 증가…저소득 국가 더 위험" 아주대 "'슈퍼커패시터' 성능 개선하는 친환경 첨가제 개발' 속보 뉴스 성능·안정성 만족 전해질 개발…"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도움" 과학기술위성 1호로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분자구름 찾았다 "자폐 조기에 진단"…사회적 상호작용 AI 기술 개발 백신 1·2차 접종은 어느 팔에?…"같은 팔에 맞으면 더 효과적" "페르시아고양이-퍼그 비슷한 머리 형태는 수렴진화 한 것" "친환경 수소, 더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생산한다" 나일론만큼 튼튼한 생분해 어망 개발…1년 내 92% 분해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