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저작권자 2022-09-01 ⓒ ScienceTimes 태그(Tag) #NRF #NRIC #노화 #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한국연구재단 관련기사 "내장지방 많으면 심장·혈관 노화 빨라진다" 내장을 둘러싸고 있는 숨겨진 지방인 내장지방이 과도할 경우 심장과 혈관의 노화를 촉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MRI로 본 내장지방과 피하지방. MRI 사진에서 내장지방(붉은색)과 피하지방(파란색)이 많은 사람(왼쪽)과 적은 사람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나있다. ⓒAMRA Medical 제공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ICL) 의 "코로나19 감염 여성, 혈관 노화 5년가량 더 빨라진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린 여성은 혈관 노화가 5년 정도 더 빨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남성은 유의미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코로나19(PG) ⓒ홍소영 제작 프랑스 파리 시테대학 로사 마리아 브루노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18일 유럽심장학회(ESC) 학술지 유럽심장저널(European Hea 노화 속도 늦추는 단백질 찾았다…RNA 수준 규명 펠로타 단백질의 노화 조절 역할 규명 연구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이승재 교수와 연세대 서진수 교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광표 박사 공동 연구팀이 리보솜의 품질을 관리하는 '펠로타'(PELOTA) 단백질이 노화 속도를 늦추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mRNA(메신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뇌 노화 속도도 빨라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이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에 감염된 사람은 물론 감염되지 않은 사람들까지 뇌의 노화 속도를 가속시켰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PG) 홍소영 제작 일러스트 ⓒ연합뉴스 제공 영국 노팅엄대 의대 도로시 아우어 교수팀은 23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 세계 최대 단백질 데이터세트 공개…노화·치매 생체표지 발굴 알츠하이머병·파킨슨병 등 신경퇴행성 질환과 노화 등의 생물학적 기초 연구와 조기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 활용될 생체표지 연구 등에 토대가 될 세계 최대 규모 신경퇴행성 질환 단백질 데이터세트가 공개됐다. 표준화된 장기 연령 격차와 신경퇴행성 질환 간 연관성 그래픽. 표준화된 장기 연령 격차(standardized organ age "대기오염·사회 불평등·정치 불안정도 노화 가속 요인" 대기오염 같은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불평등, 정치적 불안정 등 같은 노출 요인(exposome)이 사람들의 신체적·인지적 노화 속도를 가속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륙별 생물학적 나이-실제 나이 차이(BBAG). 유럽 국가들은 생물학적 나이(biological age)가 실제 나이(chronological age)보다 젊 "면역억제제 라파마이신, 식이제한과 비슷한 수명 연장 효과" 미국 식품의약품청(FDA) 승인을 받은 면역억제제지만 노화 방지 효과로 주목받고 있는 라파마이신(Rapamycin)이 열량 섭취를 줄이는 식이제한과 비슷한 수명 연장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척추동물 8종에 대한 식이제한·메트포르민·라파마이신의 수명연장 효과. X축은 식이제한과 메트포르민, 라파마이신이 척추동 운동 중 분비되는 단백질이 근육·뼈 노화 막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양용열 박사와 전남대 김낙성 교수 연구팀은 운동 중 분비되는 단백질 'CLCF1'이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만들어 근골격 노화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운동할 때 근육에서 혈액으로 분비되는 단백질인 '마이오카인'은 지 "텔로미어 짧으면 뇌질환 위험↑…예방책은 건강한 생활습관" 노화 생체지표인 텔로미어(telomere)가 짧아지면 뇌졸중·치매·노년기 우울증 같은 노화 관련 뇌질환 위험이 커지지만,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면 이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어르신 전용 '스마트 피트니스 센터'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서울시 강남구립논현노인종합복지관 제공 KAIST, 간의 미세한 노화 신호 잡아내는 분석 플랫폼 개발 간 내 노화 신호의 공간적 정의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박종은 교수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천아 박사 공동 연구팀이 노화에 따른 간의 미세한 환경 변화를 포착해 분석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노화는 만성 질환의 원인이 되지만, 인체 조직 내 노화 관련 변화를 정량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생물학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동물들은 지진을 예측할 수 있을까 해수담수화의 환경 딜레마 못생긴 ‘심해어’, 새로운 계보 등장하나 자석 하나로 우주에서 산소를 더 쉽게 만드는 방법 만성통증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 근거 기반 의학에서 정밀 의료로 후각이 뇌를 속인다…"이건 냄새가 아니고 맛이야" 수소연료전지 촉매의 성능 저하 과정, 원자 수준에서 밝혔다 버려지는 흑연 부산물로 고순도 흑연 음극재 만든다 "2달러로 마비 가능" KAIST 익명 인터넷 '토르' 취약점 찾았다 "가족 갈등, 자녀 수면의 질 떨어뜨리고 저녁형 인간 만든다" 속보 뉴스 차세대 소듐냉각고속로 핵연료 제조 용기 신소재 개발 "美 서머타임 폐지하면 비만 260만·뇌졸중 30만명 예방 가능" 국가 AI전략위 분과위 구성 완료…고삼석 등 52명 추가 위촉 '이태원 참사 막자' KAIST, AI로 군중 밀집 예측 자폐 환자의 과도한 공포·불안 이유 찾았다…뇌 회로 규명 "사람 근육의 30배 능력"…UNIST, 변형 자유로운 인공근육 개발 KISTI·서울대, 천체 자체 중력 빠르게 계산하는 기술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