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에게 먹일 조제 분유(formula)를 준비하는 동안 유아용 젖병(IFB)에서 높은 수준의 미세 플라스틱(MP)이 방출된다는 연구가 나왔다.
이번 연구에서는 또한 분유 혹은 병을 살균하는데 쓰이는 물이 더 따뜻할수록 미세 플라스틱이 훨씬 더 많이 방출됨으로써 열과 미세 플라스틱 방출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일랜드 과학재단의 첨단 재료 및 생명공학 연구센터(AMBER)와 트리니티하우스, 더블린대 트리니티 칼리지의 공학 및 화학부 연구팀은 국제 지침에 따라 조제분유를 준비하는 동안 폴리프로필렌(PP)으로 만든 유아용 젖병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방출될 가능성을 분석하고, 이 같은 미세 플라스틱 오염을 막기 위해 플라스틱 젖병을 사용할 때 미세 플라스틱 방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일련의 권장사항을 개발했다.
트리니티 칼리지의 진 진 왕(Jing Jing Wang) 박사와 존 볼랜드(John Boland) 교수, 리웬 샤오(Liwen Xiao) 교수가 이끈 이번 연구팀은 또 전 세계 48개 국가와 지역에서 12개월 된 유아가 미세 플라스틱에 얼마나 노출되고 있는지를 추정하고, 종합 연구 결과를 식품 저널 ‘네이처 푸드’(Nature Food) 19일 자에 발표했다.

95도로 가열하면 플라스틱 입자 5500만 개로 증가
이들의 연구 결과 요지는 다음과 같다.
먼저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든 젖병(PP-IFBs)은 리터 당 최대 1600만 개의 미세 플라스틱과 수조 개의 더 작은 나노 플라스틱을 방출할 수 있다는 것.
젖병을 고온의 물에 넣어 살균할 때 온도가 섭씨 25도에서 95도로 올라가면 미세 플라스틱 방출은 리터 당 60만 개 입자에서 5500만 개로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전자나 도시락 같은 다른 폴리프로필렌 제품도 유사한 수준의 미세 플라스틱을 방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 세계 48개 지역에서 12개월 된 유아의 미세 플라스틱 노출을 추정한 결과, 유아용 젖병 살균과 분유 준비에 관한 현재의 지침에 따르면 유아들의 1일 평균 노출 수준은 100만 개 입자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세아니아와 북미 및 유럽이 각각 하루 210만 개와 228만 개, 261만 개로 가장 높은 잠재 노출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수정된 멸균 및 조제분유 준비 절차에 따르면 PP 젖병에서 방출되는 미세 플라스틱 수준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었다.

멸균과 분유 준비 이렇게 하라
연구팀이 추천하는 멸균과 조제분유 준비 절차로는 △젖병을 소독할 때 세계보건기구(WHO) 지침에 따라 멸균하고 식히되(미국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젖병이나 젖꼭지 등을 멸균할 때 끓는 물에 5분 동안 담그거나 증기 멸균, 혹은 끓이거나 증기 멸균을 할 수 없을 때는 표백제 소독을 제시) △플라스틱이 아닌 유리나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든 주전자나 밥솥에서 물을 끓여 소독할 물을 준비하고 △이렇게 멸균한 물을 상온으로 식혀 최소 세 번 이상 멸균한 병을 헹군다.
그리고 어린이에게 먹일 조제분유를 준비할 때는 △플라스틱이 아닌 주전자나 밥솥에 물을 끓인 다음 △최소한 섭씨 70도 이상의 물로 플라스틱이 아닌 용기에 조제분유를 풀고 △준비된 분유는 상온으로 식혀 고품질 플라스틱 유아용 젖병에 옮겨서 수유를 한다.
아울러 연구팀은 표준적인 주의사항으로 △일단 준비된 분유를 플라스틱 용기에 넣어 재가열하거나 전자레인지에 넣어 가열하지 말 것 △병 속에 든 분유를 어느 때든 세게 흔들지 말 것 △초음파를 이용해 플라스틱 유아 젖병을 세척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미세 플라스틱 인체 영향 빨리 밝혀내야”
연구팀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젖병이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어, 유아용 조제분유에 의도하지 않은 마이크로 및 나노 미세 플라스틱이 생성되는 것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식품 보관과 식사 준비과정에 쓰이는 플라스틱 제품이 널리 보급돼 있고, 이번 연구에서 테스트된 유아용 젖병이나 주전자, 도시락, 국수 컵의 PP 제품에서도 유사한 수준의 미세 플라스틱이 방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런 사실을 고려할 때 기술적인 해결이 긴급히 필요하다는 진단이다.
트리니티 칼리지 화학과 존 볼랜드 교수는 “실험 결과를 확인했을 때 우리는 미세 플라스틱이 미칠 수 있는 잠재적인 영향을 즉시 인식했다”며, “그래서 미세 플라스틱이 유아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인 결과에 대한 충분한 정보가 없는데도 부모들에게 과도한 경고를 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정책입안자들에게 플라스틱 유아 젖병 사용 시의 분유 준비에 대한 현재 지침을 재평가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며, “무엇보다 이번 연구에서 살균 및 조제분유 준비와 관련된 관행을 바꿈으로써 미세 플라스틱 섭취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리웬 샤오 교수는 “이전 연구에서는 주로 환경에서 플라스틱이 분해돼 해양과 토양의 먹이사슬로 이동해 인간에게 노출된다는 점에 초점을 맞췄으나, 이번 연구에서는 매일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미세 플라스틱 방출의 주요 원천이라는 사실을 보여줌으로써 노출 경로가 생각보다 훨씬 가까이 있음을 알게 해준다”고 전했다.
샤오 교수는 “미세 플라스틱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하루빨리 밝혀내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미세 플라스틱 오염 관리에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향후 음식을 준비할 때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미세 및 나노 플라스틱이 방출되는지를 다양한 맥락에서 조사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통해 대규모 물 처리와 지역 급수 환경에서 플라스틱 분해를 막고 이를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김병희 객원기자
- hanbit7@gmail.com
- 저작권자 2020-10-20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