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첨단 생명과학은 어떤 모습으로 우리 곁에 다가올까?”
19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컨퍼런스 센터에서는 제 62회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회장 나도선) 정기 학술대회가 열렸다. 해마다 열리는 학술대회지만 이번 대회는 조금 더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날로 늘어가는 생명과학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에 부응하고 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국내 전문학술대회 중에는 처음으로 대중과의 친근한 만남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21세기 첨단생명과학이 우리 곁에”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시작한 이번 대중강연은 그 야심찬 포부답게 신경과학계의 최고 석학이라 일컬어지는 연구자들이 직접 대중강연에 나섰다. 이 대중 강연의 좌장을 맡은 한림대 최수용 교수는 “전문학회에서 처음으로 시도하는 대중강연의 좌장을 맡게 되어 영광”이라면서 “이 대중강연을 시발점으로 많은 시도들이 이어지길 바란다”며 소감을 밝혔다.
신 박사는 “전통적으로 마음은 육체와는 별개의 것이었으나, 이제는 마음은 뇌기능의 발현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런 인식의 변화가 앞으로 우리의 생각과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궁금하다. 그러나 이런 지식의 축적은 결국 인류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라는 말을 통해 ‘우리가 밝혀야 할 뇌의 비밀은 아직도 많이 남아있음’을 시사하며 강연을 마쳤다.
그러나 오 교수는 “일시적 통증은 생명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지속적인 만성 통증은 생활의 질을 떨어뜨리고 생활양식까지 바꿔놓기 때문에 통증을 조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며 진통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역설했다. 오 교수는 감각신경 말단에 캡사이신 채널이 존재해 통증 신호를 뇌에 전달하는 것을 발견하고, 이 캡사이신 채널의 연결 경로를 차단하는 방법을 통해 신개념의 진통제를 개발한 이 분야의 전문가다.
오 교수의 연구는 기존의 두 가지 방법 외에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고추가 매운 맛이 나는 것은 그 속에 든 ‘캡사이신’이라는 성분 때문이다. 오 교수는 캡사이신을 피부에 바르면 통증이 느껴진다는데 주목하고, 이 작용 매커니즘을 연구해 신경 말단에는 캡사이신에 작용하는 채널이 있어서 통증을 느끼며, 이 채널을 닫아주면 상당한 진통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해 새로운 진통 매커니즘을 찾아냈다. 실제 이 연구 결과는 기업과 제휴하여 임상에서 사용 가능한 진통제로 개발되었으며, 오 교수는 궁극적으로 부작용없는 강력한 진통제 개발을 목표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 이은희 기자
- 저작권자 2005-05-19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