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생명과학·의학
김병희 객원기자
2017-06-12

당뇨환자, 매일 혈당검사 필요 없다? “혈당 조절이나 삶의 질에 도움 안돼”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2형 당뇨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 중 많은 수가 거의 매일 손가락에서 피를 뽑아 혈당수치를 잰다. 측정치가 정상이면 괜찮지만 만약 지속적으로 정상 범위를 벗어나 있으면 원인을 찾아 조정을 하고, 심하면 인슐린 투여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관행적으로 실시하는 손가락 혈당검사(finger-stick blood test)가 2형 당뇨병 관리에 실제 도움이 될 것인가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 결과가 나와 논란이 예상된다.

미국 북캐롤라이나대(UNC)의대 연구진은 최근 미국의학협회 내과 저널(JAMA Internal Medicine)에 게재한 중요 논문에서, 이 같은 혈당검사가 인슐린 치료를 받지 않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이나 삶의 질 향상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이 연구는 미국에서 혈당 모니터링에 대해 1년 간 조사한 최초의 대규모 실용성 연구로서, ‘The MONITOR Trial’로 불리는 무작위 임상시험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미국에서 처음 실시한 실용성 임상시험 결과 2형 당뇨환자가 모두 매일 혈당검사를 하는 것은 실제로는 별 도움이 안되다는 결과가 나왔다.  Christ-claude Mowandza-ndinga (UNC Health Care)
미국에서 처음 실시한 실용성 임상시험 결과 2형 당뇨환자가 모두 매일 혈당검사를 하는 것은 실제로 별 도움이 안되다는 결과가 나왔다. Christ-claude Mowandza-ndinga (UNC Health Care)

거의 모든 2형 당뇨환자에게 권유돼

2형 당뇨병은 미국에서 11명에 한 명꼴로 만연돼 있는 대사성 만성질환이다. 우리 나라도 30대 이상 성인의 14%, 20대 이상 성인의 10% 정도가 앓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인슐린 치료를 받는 사람들은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집에서 손가락 스틱 혈당검사를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2형 당뇨병 환자 대부분은 인슐린 치료를 받지 않는다. 한데 이 환자들에게도 손가락 혈당검사가 당뇨 조절 효과가 있는지 혹은 환자가 느끼는 점을 개선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진행 중임에도 종종 검사가 권장되고 있다.

논문의 시니어 저자인 카트리나 도나휴(Katrina Donahue) UNC의대 가정의학 연구 책임자는 “이번 연구 결과는 ‘검사를 할 것인가, 말 것인가’에 대한 오랜 질문을 집중 조명함으로써 환자와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이 현재의 임상 관행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손가락 스틱 혈당검사. 2형 당뇨환자 대부분에게 이 검사가 권고되고 있으나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Credit : Wikimedia Commons / David-i98
손가락 스틱 혈당검사. 2형 당뇨환자 대부분에게 이 검사가 권고되고 있으나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Credit : Wikimedia Commons / David-i98

검사 하나 안 하나 별 차이 없어”

연구팀은 대상 환자 450명을 세 그룹으로 나눠 연구를 수행했다. 하나는 혈당 모니터링을 하지 않는 그룹, 두 번째는 하루 한번 혈당검사를 하는 그룹, 세 번째는 혈당검사와 함께 인터넷을 통해 환자를 격려하거나 교육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그룹으로 나눴다.

이들 세 그룹에 대해 1년 동안의 임상시험을 거쳐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혈당 조절에서 세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 건강과 관련한 삶의 질에서 세 그룹 간 눈에 띄는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 저혈당 현상이 발생하거나 입원, 응급 상황 등에서 눈에 띄는 차이는 없었다. 또 혈당치를 잘 조절하기 위해 인슐린 치료를 시작한 환자 수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도나휴 교수는 “환자와 의료서비스 공급자는 가정에서 혈당검사를 하는 것이 적절한지 여부를 결정할 때 당연히 환자의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인슐린 치료를 받지 않는 2형 당뇨환자가 집에서 자가 혈당검사를 하는 것은 유용성에 한계가 있고, 대다수 환자들에게는 비용이 이익보다 더 클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당뇨환자가 인슐린 펜으로 인슐린을 주사하는 모습. 식이요법이나 운동요법 등으로 혈당 조절이 안되면 의사와 상의해 인슐린 투여를 결정해야 한다.  Credit : Mr Hyde at Czech Wikipedia
당뇨환자가 인슐린 펜으로 인슐린을 주사하는 모습. 식이요법이나 운동요법 등으로 혈당 조절이 안되면 의사와 상의해 인슐린 투여를 결정해야 한다. Credit : Mr Hyde at Czech Wikipedia

과거의 여러 연구 결과 찬반 의견 다양

현재 미국에서는 2형 당뇨환자 2500만명 대부분이 인슐린을 투여하지 않고, 운동과 식이요법 혹은 메트포르민과 같은 약물로 혈당을 조절한다. 이 환자들의 75%는 통상 의료서비스제공자의 권고에 따라 집에서 정기적으로 혈당검사를 하고 있다.

혈당검사 지지자들은 매일검사를 통해 혈당 수치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식이요법과 생활 양식을 개선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과거에도 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수의 소규모 임상실험이 실시됐으나 분석 결과가 다양했다. 몇몇 연구는 혈당검사가 유익하다는 결과를 내놨으나 다른 연구들은 유익하다는 증거가 없다거나 오히려 이 검사가 해로울 수 있다는 견해도 있었다. 매일 실시하는 검사는 돈이 들 뿐만 아니라 일부 환자에게서는 우울증이나 불안감이 증가해 정신적으로 부담이 되는 측면이 있다.

연구의 시니어 저자인 UNS의대 가정의학과 카트리나 도나휴 교수(왼쪽)와 논문 제1저자인 내분비내과 로라 영 조교수. Credit : UNC school of Medicine
이번 연구의 시니어 저자인 UNC의대 가정의학과 카트리나 도나휴 교수(왼쪽)와 논문 제1저자인 내분비내과 로라 영 조교수. Credit : UNC school of Medicine

매일 혈당검사는 인슐린 치료를 받기 시작할 때부터 해야”

논문 제1저자인 UNC의대 내분비학자 로라 영(Laura Young) 박사는 “어떤 유형의 검사든 연구 결과에 차이가 없었다”며, “개선된 자가 혈당 측정도 일상생활의 실용성 측면에서  추가적인 건강상의 이득을 주지 못 했다”고 밝혔다.

또 이 혈당검사에 관해서는 미국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어떤 합의가 이루어진 게 없다는 것. 그는 “표준지침이 없기 때문에 만성 당뇨병과 싸우고 있는 환자들에게는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고, 결국에는 환자들이 선택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당뇨병 환자들은 혈당 모니터링 필요성을 자신의 의료서비스 제공자와 상의해야 한다. 만약 환자와 의사가 혈당 매일검사를 할 필요가 없다고 결정하면 적어도 인슐린 치료를 받아야 할 때까지 해마다 수백달러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김병희 객원기자
kna@live.co.kr
저작권자 2017-06-12 ⓒ ScienceTimes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