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교차가 섭씨 10여도를 오르내리고 미세먼지가 많은 요즘 같은 날씨에는 건강한 사람도 감기에 걸리기가 쉽다.
감기는 누구나 걸릴 수 있지만 고독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감기 증세가 특히 심할 수 있다는 조사가 나왔다. 미국심리학회(APA) 저널 ‘건강 심리학’(Health Psychology)에 최근 보고된 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네트워크가 약해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은 외롭지 않은 사람들보다 감기에 걸렸을 때 감기 증세가 더 심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고독한 사람들을 골라 감기 바이러스에 감염시킨 뒤 그 결과를 비교한 것이다.
논문 저자인 미국 라이스대 심리학과 대학원 앤지 리로이(Angie LeRoy) 연구원은 “여러 연구들은 고독감이 조기 사망과 다른 신체 질환을 일으킨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그러나 우리 모두가 잘 걸릴 수 있는 급성이며 일시적인 질환인 감기와 고독감과의 관련 연구는 지금까지 없었다”고 말했다.
외롭다는 느낌이 실제 외로운 것보다 영향 더 커
연구진은 외롭다는 느낌이 실제로 외로운 것보다 감기 증상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리로이 연구원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아느냐보다 관계의 질이 어떠하냐에 중점을 두고 조사를 했다”며, “사람들이 북적이는 방에 있으면서도 외로움을 느낄 수 있으며, 그런 느낌을 갖는 것은 감기 증세가 왔을 때 증세의 경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실제 조사를 위해 18세에서 55세 사이의 미혼자 159명을 뽑았다. 이들 중 거의 60%는 남성이었다. 이들 조사 대상자들에게는 심리검사와 건강검진을 실시한 후 감기를 유발하는 비강액을 투여했다. 이어서 5일 동안 호텔 객실에 격리시켜 상태를 관찰했다.
연구 대상자들에게는 미리 ‘단기 외로움 척도’( Short Loneliness Scale )와 사회 네트워크 지수( Social Network Index) 검사를 실시해 외로움을 느끼는 정도에 따라 세 등급으로 분류했다.
소속된 사교 모임 규모는 증세에 영향 안 미쳐
연구진은 대상자들이 스스로 느끼는 감기 증세에 대한 답변을 얻은 후 성별, 나이, 계절, 우울함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고립감을 조정한 결과 외로움을 느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감기에 더 잘 걸리는 것 같지는 않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러나 감기에 걸린 사람들(표본의 75%) 가운데 기본적으로 더 외로움을 느꼈던 사람들은 감기 증세가 더 심했던 것으로 보고됐다. 이와 함께 참가자들이 소속된 사교 모임이나 동창 모임, 교회 등 사회 네트워크의 크기는 증세를 느끼는 아픔의 정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의 공동저자인 크리스 퍼건데스(Chris Fagundes) 라이스대 심리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가 새로운 것은 엄격한 실험 디자인으로서 특정 스트레스 요인과 상호 작용하는 특별한 성향(외로움)이 그것”이라며, “의사들은 약을 처방할 때 심리적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심리적 요인은 사람들이 아플 때 나타내는 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강조했다.
- 김병희 객원기자
- kna@live.co.kr
- 저작권자 2017-03-31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