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좀 부지런해야 할 것 같다.
미국 UC샌디에이고 의대 연구진은 최근 신체활동을 별로 하지 않고 하루에 10시간 이상 앉아 있으면 자주 움직이는 노년여성들에 비해 생물학적으로 세포가 8년 정도 더 빨리 늙는다고 발표했다.
‘미국 역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8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된 이 연구에 따르면, 보통 강도나 고강도 신체활동을 하루에 40분 이하로 하는 노년여성과 10시간 이상 앉아있는 여성들은 수명을 결정하는 DNA의 텔로미어가 그렇지 않은 여성들보다 더 짧은 것으로 확인됐다.
텔로미어는 구두끈 끄트머리에 있는 플라스틱 팁같이 DNA 말단에 있는 작은 모자형태의 조각으로 염색체를 보호한다.
짧아진 텔로미어, 심장질환이나 당뇨, 암과 연관돼
텔로미어는 세포가 노화되면서 점차 짧아지고 닳아 해어지는데, 비만이나 흡연과 같은 건강 및 생활양식 요인에 따라 이 노화과정이 더 가속화된다. 짧아진 텔로미어는 심혈관질환과 당뇨병 및 주요 암 발병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논문 제1저자인 알라딘 셰이디압(Aladdin Shadyab) 박사(가정의학 및 공중보건학)는 “연구 결과 앉아서 생활하는 방식이 세포 노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며, 이런 노화와 관련된 요인 때문에 시간에 따른 나이와 생물학적 나이가 언제나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세이디압 박사팀은 자신들이 처음으로 앉아있는 시간과 운동의 조합이 노화의 생물학적 표지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객관적으로 측정해 냈다고 믿고 있다.
젊어서부터 운동 생활화해야
이번 연구에는 64세에서 95세 사이의 여성 1500명 정도가 참여했다. 이 여성들은 폐경 후의 만성질환 결정인자를 조사하기 위한 미 정부 주도의 대규모 장기연구인 ‘여성 건강 이니셔티브[Women’s Health Initiative (WHI)] 참여자의 일부다. 이번 연구 참여자들은 질문지를 작성하고, 잠 자거나 깨어있는 동안의 운동량을 측정하기 위해 7일 동안 계속 오른쪽 엉덩이에 가속도계를 장착했다.
세이디압 박사는 “오래 앉아있는 여성이라도 정부에서 권장하는 하루에 최소 30분 이상 운동을 하는 사람은 텔로미어가 짧아지지 않았다”며, “젊었을 때부터 운동이 주는 이익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이 같은 신체활동은 나이가 들어갈수록, 심지어 80세가 되더라도 생활의 일부로 계속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번 연구에 이어 젊은 남성 인구에서 운동과 텔로미어의 길이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조사 연구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를 보면 우리나라 노인정 문화도 변화가 필요할 것 같다. 현재 대부분의 노인정에서는 남녀 노인들이 앉거나 혹은 누워서 얘기를 나누거나 TV시청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지자체나 건강공단 예산이 허락된다면 노인정에 고정식 자전거나 걷기 운동을 하는 트레드밀 등의 실내운동기구를 몇 대 갖추어놓고 주민센터 담당직원들이 수시로 들러 1시간 이상씩 운동을 하도록 권하는 것도 질병비용을 줄이고 노인 건강에 도움이 되는 한 가지 방법이 아닐까 싶다.
- 김병희 객원기자
- kna@live.co.kr
- 저작권자 2017-01-19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