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생명과학·의학
김준래 객원기자
2014-12-11

보건 의료 R&D는 표준화 작업 연계돼야 세미나 개최…5대 중점 기술군 발전전략 논의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보건의료 분야에서 연구개발의 표준연계가 요구되는 5대 중점 기술군으로 △모바일헬스(Mobile Health) △바이오헬스(Bio Health)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 △전자건강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 △스마트헬스데이터(Smart Health Data)가 선정되었다.

최근 미래 의료정보 분야의 최신 기술과 국제 표준화 동향을 공유하는 장이 마련되어 주목을 끌었다
최근 미래 의료정보 분야의 최신 기술과 국제 표준화 동향을 공유하는 장이 마련되어 주목을 끌었다 ⓒ ScienceTimes

이 같은 내용은 지난 10일 디큐브시티호텔에서 개최된 ‘2014 미래의료정보기술 발전전략 세미나’에서 발표되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가기술표준원이 주최한 이번 행사는 의료정보 분야 최신 기술 및 국제 표준화 동향을 공유하고, 선정된 5대 중점 기술군의 발전전략을  논의하자는 취지로 마련되었다.

R&D와 표준화 연계가 필요한 보건의료 분야

‘5대 스마트의료기술 연구개발과 산업화의 연계’라는 주제로 기조강연을 한 국가기술표준원의 안선주 국가표준코디네이터는 “보건의료 분야의 연구개발과 표준화 작업을 연계하는 것은 필수적”이라고 주장하며 “다양한 산업기술 간의 원활한 융합을 통해 국민에게 최적화된 건강관리와 질병예방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확보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안 코디네이터는 선정된 5대 중점기술군의 발전전략을 발표하면서 “이들 기술군의 표준화 를 통한 성과창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부의 표준화 지원 정책 및 표준화 과정에 필요한 표준지식 서비스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이 날 행사에서 발표된 5대 중점기술군의 발전전략 내용이다.

▲ 모바일헬스 발전전략 = 모바일헬스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나 건강관련 정보들을 제공받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의 증가로 대중화된 서비스 접근성이 용이해지면서, 인구 고령화 및 만성질환자의 증가에 따른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모바일헬스가 주목받고 있다.

모바일헬스 시스템의 연구개발 및 표준화를 위한 전략으로는 독자적인 추진보다는 전략적 통합을 고려한 접근 방법이 필요하고, 모바일헬스 관련 디바이스 및 솔루션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 같은 전략을 통해 추진할 모바일헬스 시스템의 10대 주요 기술로는 △의료데이터 압축전송기술 △의료기기 간섭 및 보정기술 △웨어러블 헬스데이터 코디네이션 기술 △모바일헬스 채널 중계 기술 △엔터프라이즈 헬스스토어 관리 기술 △이 기종 모바일서비스 호환플랫폼 기술 △SCN(Selective Contents N-Screen) 기술 △반응형 의료데이터 변환기술 △모바일 의료데이터 보안기술 △모바일헬스 인증평가기술 등이 제시되었다.

모바일헬스 시스템의 주요 서비스 유형 ⓒ 대한병원정보협회
모바일헬스 시스템의 주요 서비스 유형 ⓒ 대한병원정보협회

▲ 바이오헬스 발전전략 = 21C는 삶의 질을 중요시 하는 사회상으로 바뀌고 있으며, 고령화, 건강수명 유지 등을 중심의 국민적 수요가 늘고 있다. 이러한 국민적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융합기술 중 하나가 바이오헬스 시스템이다.

바이오헬스 시스템의 발전전략은 생명시스템의 다양한 생체상태에 관한 생체정보를 시작으로 뇌과학 및 ICT 융합 의료기기들의 동작원리를 이해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또한  이를 제어하여 선제적으로 예방하고, 맞춤 관리 및 질병을 효과적으로 진단하며, 치료 기술을 발굴하는 점도 고려하고 있다.

이 같은 전략을 통해 추진할 바이오헬스 시스템의 10대 주요 기술로는 △대용량 유전체 데이터 저장 기술 △개인 유전체 정보 분석 기술 △오감인터페이스 기술 △뇌과학 기반 뇌건강 관리 기술 △외부간섭 독립 오감·뇌 융합정보 측정 환경 구축 기술 △오감·뇌·ICT 융합정보처리 플랫폼 기술 △생체 식별인증 기술 △이미징 및 위치보정 추적 기술 △인체 내 고정밀 주행처리 기술 △약물 전달 기술 등이 제시되었다.

▲ 개인건강기록 발전전략 = 개인건강기록 시스템은 의료정보와 웰니스(Wellness) 정보 등 건강과 관련한 정보와 이런 개인건강 정보를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 그리고 개인건강정보를 활용하여 제공하는 건강관리 서비스를 의미한다.

개인건강기록 시스템이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먼저 관련기술의 표준 확립이 필요하다. 표준 확립이 필요한 항목은 개인건강기록이 요구하는 ‘기능’과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그리고 개인건강관리의 안정성 및 품질을 보증하는 ‘인증’ 및 보안 및 개인의 사생활 보호를 위한 ‘정보보호’ 등이다.

이 같은 표준화 작업을 통해 추진할 개인건강기록 시스템의 10대 주요 기술로는 △개인건강정보교환 기술 △임상 의료정보 교환 기술 △데이터 표준규격 기술 △건강정보관리 기술 △저장소관리 기술 △콘텐츠 모델 기술 △개인건강관리 피드백 기술 △개인화서비스 기술 △플랫폼 보안인증 기술 △평가인증 기술 등이 제시되었다.

▲ 전자건강기록 발전전략 = 전자건강기록 시스템의 적용범위는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기록보다 넓게 인식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건강(Health)에 대해 단지 질병이나 장애가 없는 것뿐만 아니라 신체적으로나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인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다.

전자건강기록 시스템이 추구하는 전략의 목표는 건강과 복지, 행복 추구를 위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확장 가능한 플랫폼이다. 따라서 전기나 물처럼 하나의 공공재로 여겨야 하고, 사용자가 필요할 때 이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본 인프라로 구축해야한다.

이 같은 전략을 통해 추진할 전자건강기록 시스템의 11대 주요 기술로는 △의료용어 표현 구축 기술 △의료영상 저장 및 전송기술 △메시지·문서 저장 및 전송 기술 △진단검사결과지 관리 기술 △데이터 입력기술 △해부병리검사결과지 관리기술 △사용자 접근통제 관리기술 △약물부작용 관리 기술 △차세대 메시징 표준 구축 기술 △임상문서 및 유효성 검증기술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CDSS) 기술 등이 제시되었다.

스마트헬스데이터 핵심 주력 제품 및 서비스 ⓒ 서울아산병원
스마트헬스데이터 핵심 주력 제품 및 서비스 ⓒ 서울아산병원

▲ 스마트헬스데이터 발전전략 = 스마트헬스데이터 시스템은 의료 분야의 빅데이터 기술이다. 스마트헬스데이터 시스템의 세부 기술군으로는 크게 데이터 모델과 데이터 통합, 그리고 데이터 분석 및 데이터 활용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연구개발 및 표준화 전략으로는 타 기술 분야와의 협력을 통해 오픈 소스 커뮤니티(Open Source Community)를 적극 활용하고, 기존 개발기술을 활용하는 의료정보 분야의 내부 협력 기반을 구축하며, 해외 선진 기술의 국산화를 지원하는 정부지원 강화 등이 논의되었다.

이 같은 전략을 통해 추진할 스마트헬스데이터 시스템의 10대 주요 기술로는 △보건의료데이터 익명화 기술 △의료 빅데이터 분석기술 △의료 빅데이터 시각화 기술 △공통데이터모델 개발 기술 △공공보건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 기술 △다기관 진료정보 통합수집 기술 △임상시험데이터 표준 기술 △유전정보 및 의료정보 간 통합 모델 기술 △SNS 및 검색 데이터 분석 기술 △의료기관용 클라우드 플랫폼 기술 등이 제시되었다.

김준래 객원기자
stimes@naver.com
저작권자 2014-12-11 ⓒ ScienceTimes

태그(Tag)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차대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차대길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