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2월 수상자로 이건재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석좌교수를 선정했다고 5일 밝혔다.
이 교수는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공정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피부 밀착형 면발광 마이크로 LED 마스크를 개발해 고성능 유연소자 실용화를 이끈 공로를 평가받았다.
마이크로 LED 제작은 재료 기판에 LED 칩을 정밀 배치하는 '전사 공정'이 핵심으로 꼽히는데, 기존 공정은 접착제를 사용해 개별 LED 칩을 부착하는 방식이여서 비싸고 효율성도 떨어졌다.
이 교수는 유리 기판에 미세한 구멍을 뚫어 진공관을 연결한 후 진공 흡입력을 조절해 원하는 LED 칩을 선택적으로 대량 부착하는 마이크로진공 대량전사기술을 개발해 문제를 해결했다.
이 기술은 색상별 진공 조절로 원하는 색상을 선택적으로 전사할 수 있고, 사람 피부나 종이, 나뭇잎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교수는 이 기술을 활용해 기존 딱딱한 LED 마스크와 달리 피부에 완전 밀착하는 마스크를 개발해 제품화했다. 피부 탄력과 재생에 효과적인 630나노미터(㎚, 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m) 파장 빛을 균일하게 전달하는 마이크로 LED 수천개를 활용하고 여기에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제를 적용해 기존 제품 대비 피부미용 효과를 3배 높였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관련 연구는 지난 2022년 11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헬스케어 머터리얼즈'와 2023년 11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실렸다.
이 교수는 "인간 신체와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마이크로 LED 제품 개발과 양산화의 핵심기술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머리에 밀착할 수 있는 발모용 면발광 모자 상용화 연구 등 기술이 세상을 바꿀 수 있도록 다리를 놓는 일에 계속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5-02-07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