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체 내 형광분자 근적외선 발광 설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백윤정 교수 연구팀은 근적외선 파장의 빛을 낼 수 있는 오환형(5개의 고리를 가진 구조) 플라빈 분자를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플라빈은 우리 몸 등 생체 내에서 전자 전달과 광반응 조절 등의 역할을 하는 형광 분자다. 대표적으로 비타민 B2(리보플라빈) 형태로 존재하며, 색소 특성을 바탕으로 빛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기능도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4-24 ⓒ ScienceTimes 태그(Tag) #광소재 #근적외선 #발광체 #플라빈 #형광분자 관련기사 제임스 웹, 새로운 별 형성과 은하를 자세히 관측하다 과거를 보는 천문학, 미래를 연구하는 천문학 천문학은 과거로부터 우리에게 도달하는 빛을 이용해서, 천체들과 우주의 성질 및 특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역사는 대부분 비슷하게 반복된다. 따라서, 과거를 알면 대부분 미래의 예측이 가능하다. 이와 비슷하게 과거의 빛을 연구하면 미래에 관해서 알 수 있다. 우리에게는 물리학 법칙이라는 변하지 않는 천문학을 푸는 제임스 웹, 왜소은하 ‘WLM’을 자세히 관측하다 왜소은하란? 명왕성(Pluto)으로 대표되는 왜소행성(Dwarf Planet)은 행성의 정의를 충족하지는 못하지만, 행성과 비슷하면서도 보다 작은 천체를 나타낸다. 즉, 태양을 공전하며 원형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질량이 있고, 다른 행성의 위성이 아니어야 한다. 하지만 궤도 주변의 다른 천체를 흡수할 수 없는 천체여야 한다. 물론, 구체적인 장박테리아로 전기 생산한다 장박테리아가 생산하는 전기를 실생활에 사용하거나, 이를 응용해 발효제품의 맛을 입맛에 맞게 바꿀 수 있을까. 또 장 건강에도 활용이 가능할까? 최근 인체 장내 미생물군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박테리아가 다수 발견돼 연구팀은 이의 활용 가능성을 놓고 상상의 나래를 펴고 있다. 전기를 만들어내는 박테리아는 지금까지 광산이나 호수 바닥 등 이색적인 환경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식사 시간만 바꿔도 운동 능력이 달라지는 비결, 지방에 있었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카자흐스탄 리포트 1] 카자흐스탄, KAIST 모델로 공과대 설립 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전략"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아이를 낳으면 삶이 더 의미 있어지지만 만족스럽지는 않다? "다람쥐·들쥐, 도시생활 125년만에 두개골·치열이 달라졌다" 휴 다행이다, AI 예술은 아직 인간의 창의성을 따라잡지 못한다 [카자흐스탄 리포트 2]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임대 수익 넘어 독자 우주기술로 '우주 강국' 도약 한국광학회와 물리학 "깊은 수면, '유레카 순간'으로 이어질 가능성 높다" 속보 뉴스 우주 수수께끼 '백색왜성의 이중폭발' 직접 증거 찾았다 "비흡연자 폐암 증가, 대기오염이 주요 원인일 수 있어" 에너지연, 암모니아 분해 촉매기술 개발…"수소 생산 경제성↑" 함정 수중방사소음 실시간 예측기술 개발…"은밀성 확보" 아주대·서울대·美퍼듀대 공동연구팀 "고정밀 전자피부 개발" 뇌 특정 영역 신경 전기로 자극했더니…"수학 학습 향상 효과" '반감기 1천570만년' 방사성 요오드 제거 소재 AI로 찾았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