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기반 파킨슨병 진단 ⓒ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허원도·김대수 교수와 기초과학연구원(IBS) 이창준 단장 공동 연구팀은 인공지능(AI)과 광유전학 기술을 이용해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서 조기·정밀 진단과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파킨슨병은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점차 사멸해 발생하는 신경 퇴행성 뇌 질환이다. 떨림, 경직, 걸음 이상 등 다양한 운동 장애 증상이 나타난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9-24 ⓒ ScienceTimes 태그(Tag) #AI #광유전학 #임상검증 #진단 #치료 #파킨슨병 관련기사 DGIST "사람처럼 불필요한 정보 망각기능 있는 AI기술 개발" 개념도 ⓒ DGIST 제공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피지컬 인공지능(AI) 센터 박경준 교수 연구팀이 사회적 이슈의 확산과 망각 현상을 모사한 '피지컬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기술은 필요 없는 정보를 잊고 중요한 정보만 남겨 효율적으로 움직이는 사회적 원리를 모방한 것이 '이태원 참사 막자' KAIST, AI로 군중 밀집 예측 군중 밀집 예측 AI 기술 개발 KAIST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학부 이재길 교수 연구팀은 군중 밀집 상황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태원 참사와 같은 다중밀집 사고를 예방하려면 단순히 인원수를 파악하는 수준을 넘어 인파의 유입·이동 자폐 환자의 과도한 공포·불안 이유 찾았다…뇌 회로 규명 기저 편도체의 흥분성 신경세포 활성화 ⓒIBS 제공 기초과학연구원(IBS) 시냅스뇌질환연구단 김은준 단장 연구팀은 자폐스펙트럼장애(ASD)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과도한 불안과 공포 반응의 기전을 뇌 회로 수준에서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결여, 반복 행동 등 증상을 보이는 뇌 발달 장애다 AI 해커 vs AI 수비수, 사이버 전쟁이 시작됐다 사이버 공격이 진화하고 있다. 과거 해커들이 수개월에 걸쳐 시행착오를 거듭하며 시스템을 뚫었다면, 이제는 AI가 몇 시간 만에 최적의 공격 경로를 찾아낸다.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부터 국제 해킹조직의 390억원 편취 사건까지, 올해 한국을 강타한 대형 사이버 공격들은 모두 이런 새로운 위협의 산물이다. 문제는 이것이 시작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인공지능 과기한림원, 18·29일 AI방산·AI기초과학 주제 토론회 AI 프런티어 시리즈 한림원탁토론회 ⓒ과기한림원 제공 ▲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18일과 29일 경기 성남 한림원회관에서 제2·3차 인공지능(AI) 프런티어 시리즈 한림원탁토론회를 연다고 17일 밝혔다. 18일에는 국방 혁신을 주제로, 29일에는 양자, 물질, 우주 등 기초연구를 주제로 AI 기술 활용 연구 및 성과 사례를 논의 원자력연, 원자로 '보조 운전자' 수준 AI 에이전트 개발 AI 에이전트 기능 시험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세계 최초로 원자로 운전 지원을 위한 에어전틱 인공지능(AI) 기반 에이전트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에이전틱 인공지능은 사용자를 조력하는 현재의 생성형 AI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고도화된 추론 능력을 바탕으로 사람의 개입 없이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한다. 초미세먼지 유발 암모니아 '정밀 관측'…UNIST, AI 모델 개발 암모니아 농도 정밀 관측 AI 모델을 개발한 UNIST 연구진. 왼쪽부터 임정호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교수, 사만 말릭 연구원, 강은진 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초미세먼지를 유발하는 암모니아 농도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임정호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교수팀은 대기 수소연료전지 촉매의 성능 저하 과정, 원자 수준에서 밝혔다 촉매의 3차원 원자 구조 분석 ⓒKAIST 제공 한미 공동 연구팀이 수소연료전지의 촉매 성능이 시간이 갈수록 떨어지는 과정을 원자 수준에서 밝혀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양용수·조은애 교수, 미국 스탠퍼드대와 로런스버클리국립연구소 국제 공동 연구팀은 연료전지 촉매 내부의 원자 하나하나가 수천번의 작동 사이클(충& 스마트폰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국내 연구진 AI 모델 개발 자폐증(일러스트) ⓒ 제작 이소영(미디어랩)아이클릭아트 그래픽 사용 영유아의 자폐스펙트럼 장애 여부를 가정에서 스마트폰으로 미리 확인해볼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세브란스병원은 이 병원 천근아·김휘영 교수, 서울대병원 김붕년 교수 연구팀이 국내 9개 병원에 내원한 18∼48개월 영 UNIST, 기술이전 계약 자동 분석하는 AI 시스템 구축 UNIST 기술이전 계약 분석 시스템 구조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기술 이전 계약 분석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PDF 문서를 신속하게 읽고 분류하는 자체 대형언어모델(LLM)을 적용해 기술 이전 계약서를 자동으로 분석, 핵심 정보를 뽑아낸다. 이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못생긴 ‘심해어’, 새로운 계보 등장하나 자석 하나로 우주에서 산소를 더 쉽게 만드는 방법 [30th BIFF 특집] 꿈 잃은 세상에서 ‘기억’을 되찾다 합격률 높이는 면접 타이밍은? 바로 정오 샤가스병이 도대체 뭐길래? 미국 내 풍토병으로 분류되다 "사람 근육의 30배 능력"…UNIST, 변형 자유로운 인공근육 개발 AI 해커 vs AI 수비수, 사이버 전쟁이 시작됐다 KISTI·서울대, 천체 자체 중력 빠르게 계산하는 기술 개발 국가 AI전략위 분과위 구성 완료…고삼석 등 52명 추가 위촉 자폐 환자의 과도한 공포·불안 이유 찾았다…뇌 회로 규명 속보 뉴스 한국과학기술미디어센터 개소…과학언론 허브 출범(종합) 인하대 연구팀 "전기차 충전시간 단축하며 안전성 개선" 속살까지 확인…농진청, '초분광'으로 사과 품질 신속 판별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AI로 파킨슨병 조기 진단하고 뇌세포에 빛 쪼여 치료한다 국산 소자·부품 우주검증위성 1호 제작…11월 누리호로 발사 "양자컴은 지금도 유용하다"…KIST, 하이브리드 해법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