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진흥청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내는 인공지능(AI) 기반의 스마트 장비 '비전'(BeeSion)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농진청과 강원대학교 연구팀이 공동 개발한 '비전'은 세계 최초 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 장치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는데,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로 인한 바이러스 확산 등이다.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다.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린다.
농진청은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벌집판을 촬영하면 30초 이내에 꿀벌응애 존재 여부를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는 실시간 검출 장치 비전을 개발했다.
비전은 꿀벌응애 외에도 백묵병 등 질병 감염 꿀벌이나 날개 기형 꿀벌, 애벌레 이상 등 16가지 병해충 및 생육 정보를 동시에 분석한다. 또 감염 수준에 따라 방제 권고, 주의 단계, 집중 방제 등 방제 기준을 제시한다.
비전의 꿀벌응애 분석 정확도는 97.8%에 달하며, 이용 방법이 간단해 고령자나 초보자도 정확하고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다.
비전을 벌통 150개 규모 양봉장에 적용할 경우 연간 약 860만원의 수익 증가 효과가 기대된다.
농진청은 비전에 대한 특허 출원을 마쳤으며, 올해 산업체에 기술이전 해 제품 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방혜선 농진청 농업생물부장은 "이번 성과는 경험에 의존하던 양봉에 데이터와 AI 기술을 접목한 첫 사례로 정밀 사양관리와 병해충 예찰 자동화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디지털 기반의 선제적 예찰 체계를 고도화해 꿀벌을 지키고 양봉산업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5-08-25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