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기술연구원(건설연)은 자연재해·재난 상황에서 임시주거시설을 신속히 공급할 수 있는 접이식 모듈러 시스템(폴더블 모듈러)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산불, 홍수, 산사태 등으로 주택 피해를 겪은 이재민들에게 제공되는 임시시설이나 컨테이너는 환기, 통풍, 방한, 결로 등에 문제가 있고 욕실과 주방 등 물 사용 공간이 부족한 경우도 있다.
건설연이 개발한 폴더블 모듈러는 평상시에는 창고에 보관했다가 이재민이 발생하면 신속히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코로나 대유행 시기인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보관과 이동이 편리한 Z형 폴더블 모듈러 선별 진료소를 개발한 경험을 바탕으로 고안했다.
새로 개발된 폴더블 모듈러는 기존 Z형 모듈(1.8X3.0m)보다 크기를 약 3배 이상 확장한 3.2X6.3m로, 2개 모듈만으로도 하나의 세대를 구성할 수 있도록 했다. 보관과 운송 용이성을 높이고자 벽체를 2번 회전한 모듈러를 접는 방식으로 부피를 3분의 1로 줄였다.
아울러 이재민 주거 편의를 위해 탈부착할 수 있는 욕실과 주방을 전문 업체와 공동 개발했다.
욕실과 주방 등 물 사용 공간은 물론 냉난방 설비, 전기, 오배수 배관 등도 내장했다.
모듈러가 현장에 펼쳐진 뒤 설치에서 마감까지 걸리는 시간은 1개당 90분 수준이다.

박선규 원장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쾌적한 주거 성능을 갖춘 임시 주거시설을 빠르게 공급해 국민들이 신속히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적인 공공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5-08-19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