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진흥청은 국립축산과학원이 개발한 '가축 더위 지수 연동 자동제어 기술'의 가금류 사육환경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가축이 더위를 느끼는 지수(THI, Temperature-Humidity Index)를 수치화한 지표에 맞춰 축사 내부의 환경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술이다.
축사에 설치된 센서가 온·습도를 감지해 송풍 팬과 냉수 공급장치를 단계적으로 가동하는 원리다.
연구진은 지난해 여름 충북 옥천에 있는 동물복지 인증 산란계 농장에 이 시스템을 적용해 9주간 실증 시험을 진행했다.
평균 실내 온도 32.8도에 약 20도의 냉수를 자동으로 공급한 결과 산란율은 1.25%포인트 늘었고(83.5%→84.75%), 달걀 껍데기의 단단함을 일컫는 난각강도는 10.2%포인트 향상(4.10→4.52 ㎏/㎠)됐다.
폐사율은 0.84%포인트 감소(2.39%→1.55%)해 산란계 보호 효과가 두드러졌다.
가금류는 체온 조절 능력이 낮아 더위에 취약하기 때문에 여름마다 폐사와 산란율·달걀 품질 저하가 빈번하다.
농진청은 실증을 거친 이 시스템이 가금류를 사육하는 농장의 애로를 유의미하게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휘철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복지과장은 "가축 더위 지수 기반의 자동 냉수 공급 시스템은 혹서기 산란계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생산성 저하를 예방하는 기술"이라며 "이 시스템이 동물복지 향상과 농장의 안정적인 소득 유지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5-08-14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