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GS' 기법을 사용해 다양한 시점에서 손-물체 상호작용을 복원한 결과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양손으로 어떤 물체를 다룰 때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3차원으로 나타내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 인공지능대학원 백승렬 교수팀은 단일 RGB 영상만으로 양손과 처음 보는 기구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실시간 3D로 시각화할 수 있는 AI 모델 'BIGS'(Bimanual Interaction 3D Gaussian Splatting)를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6-11 ⓒ ScienceTimes 태그(Tag) #3D가우시안스플래팅 #3D모델 #3D시각화 #복원기술 #인공지능 관련기사 ETRI가 개발한 인공지능 기술 체험 플랫폼 공개 이프리티엑스 플랫폼 ⓒETRI 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연구개발(R&D) 과제를 통해 개발한 소프트웨어(SW) 연구 결과물을 누구나 쉽게 체험할 수 있도록 '이프리티엑스(e-PreTX) 플랫폼'(https://epretx.etri.re.kr)을 통해 지난달 공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프리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 왼쪽은 손상된 그림, 가운데는 AI로 찾아낸 다양한 손상 유형이다. 오른쪽은 MIT연구진이 개발한 필름을 부착해 복원을 완성한 모습이다. ⒸAlex Kachkine 최소 몇 주에서 수십 년까지 걸리는 명화 복원 작업을 몇 시간 만에 끝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미국 매사츄세츠공대(MIT) 연구진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회화 작 휴 다행이다, AI 예술은 아직 인간의 창의성을 따라잡지 못한다 AI 예술은 아직 인간의 창의성을 따라잡지 못한다? 생성형 인공지능이 시나 소설, 영화 시나리오까지 척척 써내는 시대가 되었다. 창작자의 입장에선 정말 허무함을 느낄만한 일이다. 몇 날 며칠 혹은 몇 년이나 머리를 싸매던 자신만의 창작물이 AI는 너무도 쉽게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신 연구에 따르면 AI가 만들어내는 창작물은 겉 ETRI, 스스로 배워 수면 상담해주는 AI 에이전트 개발 수면 상담 AI 에이전트 기술 개념도 ⓒETRI 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사람이 개입하지 않아도 스스로 배워 수면 상담을 해주는 인공지능(AI) 에이전트 기술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상황을 추론하고 판단하는 AI와 사람의 의도를 이해해 대응하는 AI가 협업해 새로운 경험을 통해 얻은 정보를 학습하며 상담 수준을 고도 사람-AI 토론 능력 비교해보니…"GPT-4가 더 설득력 있어" 인공지능(AI)이 생각을 바꾸도록 사람을 설득할 수 있을까? 챗GPT 같은 대형언어모델(LLM) 기반 AI 챗봇이 사람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상대를 설득할 수 있는 토론 능력을 이미 갖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간과 GPT-4 토론 능력 비교 실험 개요. a) 성별·연령·인종·교육·고용&mid AI로 냄새 구분…한국기술교육대, 초정밀 인공 후각 시스템 개발 산화주석 나노구조체 제작 방법과 낮은 성능 편차 기반의 가스 분류 결과 ⓒ한국기술교육대 제공 한국기술교육대는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심영석 교수 연구팀이 고신뢰성 나노가스센서와 딥러닝 기술을 결합한 인공 후각 시스템을 개발해, 극한의 고습도 환경에서도 99.5% 이상의 정확도로 다종 가스를 분류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 KAIST, 영감으로 코드 만드는 인공지능 작곡 기술 개발 인공지능 작곡 기술 개발한 연구팀 왼쪽부터 미국 카네기멜론대 크리스 도너휴 교수, KAIST 전기·전자공학부 김예원 박사과정과 이성주 교수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기·전자공학부 이성주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 기반 음악 창작 지원 시스템 '어뮤즈'(Amuse)를 개발했 "실제 암세포 환경 3D프린팅으로 재현…AI로 예후 예측도" 환자 맞춤형 인공 암 조직 바이오프린팅과 환자 예후 예측 AI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3D 프린터를 이용해 암 환자의 체내 조건과 같은 환경에서 배양할 수 있는 인공 종양 조직(암세포)을 만들고, 이 조직을 통해 예후를 예측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mid "복잡한 장면에서 핵심만 찾아낸다" 뇌처럼 분석하는 AI 인공지능과 실제 뇌의 시각 반응 비교 실험 ⓒIBS 제공 인간의 뇌처럼 시각 정보를 선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AI)이 등장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은 연세대 응용통계학과 송경우 교수팀과 공동으로 뇌의 시각피질이 시각 정보를 선별해 처리하는 방식을 모사해 AI의 이미지 GIST, 물체 인식 정확도 높이는 인공지능 기술 개발 GIST AI융합학과 이규빈 교수팀 ⓒGIST 제공 로봇이 처음 보는 물체에 대한 정보를 스스로 보정해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하는 인공지능(AI) 비전 개술이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14일 AI융합학과 이규빈 교수팀이 오류 추정을 통해 미학습 물체의 인식 결과를 정제하는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구름 한 덩이의 무게는 약 1000톤? 모기 침에서 발견된 새로운 바이러스 감염 경로 '소버린AI 시대'의 한국형 해답, 조선 고전에서 찾다 암세포가 흘린 DNA 조각으로 췌장암을 조기에 진단하다 더워도 너무 덥다, 방법이 없을까? AI와의 대화, 환경에 미치는 숨겨진 비용은?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새 차 냄새'는 200개 이상의 화학물질의 혼합물이다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뇌 노화 속도도 빨라졌다" 거미 고향은 바다?…거미 뇌구조 가진 해양 절지동물 화석 발견 "사진 한 장으로 반려견 3D 아바타 만든다"…UNIST, AI기술 개발 속보 뉴스 '시간이 약?' 안 통하는 PTSD…공포 기억 계속되는 이유 찾았다 UNIST, 폭발 없는 대용량 ESS '흐름 전지' 수명 향상 기술 개발 '더 나은 내일 하루' 불규칙한 수면 습관 '한방에' "스마트폰으로 장내 대장균 제어해 질병 진단·치료한다" "간암 60% 원인은 예방 가능한 요인…비만 관련 간암 증가" 부경대 연구팀, 이차전지 NCA 양극재 성능 저하 극복 기술 개발 '외계 생명체 증거'라던 논문, 15년 만에 철회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