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음 친화 정제 시스템 ⓒ극지연구소 제공 극지연구소는 얼음을 이용해 단백질을 정제할 수 있는 '얼음 친화 정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극지연구소에 따르면 단백질 정제 기술은 단백질 의약품 개발·생산이나 생명과학 연구 분야에서 필요한 핵심 기술이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6-09 ⓒ ScienceTimes 태그(Tag) #IBP·Ice-BindingProtein #단백질 #단백질정제 #얼음결합 #얼음결합단백질 #얼음정제 관련기사 운동 중 분비되는 단백질이 근육·뼈 노화 막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양용열 박사와 전남대 김낙성 교수 연구팀은 운동 중 분비되는 단백질 'CLCF1'이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만들어 근골격 노화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운동할 때 근육에서 혈액으로 분비되는 단백질인 '마이오카인'은 지 UNIST·IBS "DNA 연결고리 자르는 단백질 작동 방식 규명" LEM-3 단백질의 기능과 각 영역별 역할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우리 몸의 세포 분열 과정에서 DNA 연결고리가 사라지지 않으면 염색체가 비정상적으로 나뉘어져 유전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연결고리를 자르는 단백질의 작동 방식이 밝혀졌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의과학대학원 안톤 가트너 특훈교수와 기초과학연구원(IBS) UNIST "암세포의 면역회피 단백질 분해…암 크기 절반 이하로" UNIST 유자형 교수팀 ⓒUNIST 제공 암세포가 면역 공격을 피하는 데 사용하는 단백질을 분해해 암세포를 상당 부분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유자형 교수팀은 암세포가 면역 회피에 쓰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복합체 조립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유 교수팀에 따르면 암세포는 뇌 속 별세포 발현 단백질 억제해 단기 기억력 높인다 알츠하이머 모델 생쥐에서 SIRT2 발현이 증가한 모습 ⓒIBS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 치매에 관여하는 뇌 속 단백질을 찾아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므리둘라 발라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은 뇌 속 별세포가 발현하는 단백질 '시트루인2'(SIRT2)가 기억력 손상을 2024년 노벨 화학상은 단백질 연구와 구조분야 전문가들에게로 2024 노벨 화학상, 단백질 연구의 혁신 - 수상자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2024년 노벨 화학상은 단백질 연구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여를 한 데이비드 베이커(David Baker), 데미스 하사비스(Demis Hassabis), 존 점퍼(John M. Jumper)에게 수여되었다. 이들의 연구는 단백질 구조 예측과 설계에 있어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어냈는데 식욕은 왜 나이가 들수록 줄어들까? 건강한 식습관: 왜 청소년기에는 많이 먹고, 노년기에는 적게 먹을까? 우리의 몸은 참 신기하다. 생애 주기에 따라 우리에게 무엇을 언제 먹어야 하는지 자연스레 알려주기 때문이다. 중요한 점은 우리 스스로 몸이 보내는 다양한 신호를 들어야 한다는 점이다. 인간의 식욕과 영양 필요는 생애 주기별로 크게 변화하며, 우리 몸이 에너지를 요구하는 방식 또한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의 진정한 퇴치법, ‘단백질 무기 창고’를 공격하라? 코로나바이러스가 우리 몸의 면역체계와 싸우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있는 모양새다. 10월 27일 기준 누적 수치를 보면 우리나라 인구의 절반(49.15%) 가량이 코로나에 확진되었고, 신규 확진자도 3만 명 이상 집계되는 상황이다. 때문에 일반적인 감기를 유발하는 아데노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1년에 한 번 이상 우리를 아프게 하는 풍토병으로 공존할 미리 여름맞이 다이어트, 호르몬과 함께하는 식이요법 우리가 음식을 먹는 것은 ‘먹고 싶다’ 혹은 ‘배고프다’라는 느낌에 따른 행위라 생각하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 이러한 느낌 이면에는 바쁘게 움직이는 호르몬 시스템이 존재한다. 식이와 관련된 호르몬에는 코르티솔, 인슐린, 렙틴 등이 있다. 이러한 호르몬들의 작용으로 식욕이 생겨나 음식을 섭취하게 되고, 포만감을 일으켜 필요 이상으로 먹지 않게 조절하는 기능을 우주 장거리 여행 후 ‘뇌 변화’ 포착 그동안 과학자들은 우주여행 시 뇌 건강 문제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장기간의 임무를 마치고 지구로 귀환한 우주비행사들의 시신경이 붓는 등 시력에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 5명의 러시아 남성 우주비행사를 대상으로 (두부 외상이나 뇌 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 흔히 볼 수 있는) 혈액 내 다양한 단백질 수준을 분석했는데 이들이 임무를 수행한 후 3주 동안 이전과 과학으로 본 ‘바디 프로필’ 열풍 ‘바디프로필(Body Profile)’ 열풍이 뜨겁다. 바디프로필이란 고강도 운동과 식이요법으로 근육질 몸매를 만든 뒤 전문 스튜디오에서 모델처럼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말한다. 예전에는 운동선수나 연예인들이 탄탄한 몸매를 자랑하는 수단으로 바디프로필을 촬영했는데, 요즘에는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자신의 멋진 바디프로필 사진을 SNS를 통해 공개하는 일이 유행처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카페인 수혈’ 위해 마신 블랙커피, 수명을 늘린다 식사 시간만 바꿔도 운동 능력이 달라지는 비결, 지방에 있었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철분 부족이 자궁 속 태아를 여성으로 바꾸다 [카자흐스탄 리포트 1] 카자흐스탄, KAIST 모델로 공과대 설립 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전략"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스위스는 어떻게 미리 산사태를 미리 막을까? 세계 최대 남반구 밤하늘 관측 망원경 첫 영상 공개 "여론 조작 막는다" AI 생성 한국어 댓글 탐지 기술 개발 한세기를 건너온 수수께끼, 한국 행성과학자 이연주 단장이 풀어낸다 속보 뉴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KAIST,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연료는 생체 부산물 다이빙으로 가장 큰 물보라를 일으키는 과학적 방법? AI로 8천개 이산화탄소 포집 소재 구조 중 100개 유망 후보 발굴 "뇌에 손상되면 범죄·폭력행동 위험 높아지는 부위 있다" "다람쥐·들쥐, 도시생활 125년만에 두개골·치열이 달라졌다" "깊은 수면, '유레카 순간'으로 이어질 가능성 높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