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음 친화 정제 시스템 ⓒ극지연구소 제공 극지연구소는 얼음을 이용해 단백질을 정제할 수 있는 '얼음 친화 정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극지연구소에 따르면 단백질 정제 기술은 단백질 의약품 개발·생산이나 생명과학 연구 분야에서 필요한 핵심 기술이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6-09 ⓒ ScienceTimes 태그(Tag) #IBP·Ice-BindingProtein #단백질 #단백질정제 #얼음결합 #얼음결합단백질 #얼음정제 관련기사 빛 쪼여 원할 때만 유전정보 '쏙'…KAIST, 릴리저 기술 개발 생쥐를 대상으로 한 '릴리저' 기술 실험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허원도·박용근 석좌교수 연구팀이 빛을 이용해 단백질과 mRNA(메신저 리보핵산·유전정보로부터 단백질을 번역해 생성하는 중간 과정의 전령RNA)를 원하는 시점에 저장·방출할 수 있는 '릴리저 아주대·가톨릭대 "mRNA 치료제 효율성 높일 분석기술 개발" 아주대는 가톨릭대와 공동 연구를 진행해 메신저 리보핵산(mRNA) 치료제의 핵심 구조를 정밀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 개요도 ⓒ아주대 제공 mRNA 치료제는 세포에 특정 질병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단백질을 만들도록 지시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학계에서는 유전질환 및 자가면역질환 치료와 관련 세계 최대 단백질 데이터세트 공개…노화·치매 생체표지 발굴 알츠하이머병·파킨슨병 등 신경퇴행성 질환과 노화 등의 생물학적 기초 연구와 조기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 활용될 생체표지 연구 등에 토대가 될 세계 최대 규모 신경퇴행성 질환 단백질 데이터세트가 공개됐다. 표준화된 장기 연령 격차와 신경퇴행성 질환 간 연관성 그래픽. 표준화된 장기 연령 격차(standardized organ age 소두증 등 희소 질환 단백질 발현 조절 분자 기작 첫 규명 김승균 교수 연구팀 ⓒ충남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소두증 등 희소질환 원인이 될 수 있는 단백질인 'NSUN2'의 발현을 조절하는 분자 기작(생물의 생리적 작용을 일으키는 기본 원리)을 최초로 규명했다. 충남대는 생명정보융합학과 김승균 교수팀이 유전자 내부에 있는 인핸서(Enhancer·증강인자)로부터 발현 "2천400만년 된 동물 화석 이빨에서 단백질 복원 성공" 국제 연구진이 최고 2천400만년 전에서 1천600만년 전 캐나다 북부와 아프리카 케냐에 살았던 코뿔소 근연종 동물 화석의 이빨 법랑질(enamel)에서 고단백질을 채취해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2천만년 이상된 단백질이 보존된 화석이 발견된 캐나다 북부 호튼 충돌구 주변 ⓒMartin Lipman 제공 덴마크 코펜하겐대 라이언 패터 운동 중 분비되는 단백질이 근육·뼈 노화 막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양용열 박사와 전남대 김낙성 교수 연구팀은 운동 중 분비되는 단백질 'CLCF1'이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만들어 근골격 노화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운동할 때 근육에서 혈액으로 분비되는 단백질인 '마이오카인'은 지 UNIST·IBS "DNA 연결고리 자르는 단백질 작동 방식 규명" LEM-3 단백질의 기능과 각 영역별 역할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우리 몸의 세포 분열 과정에서 DNA 연결고리가 사라지지 않으면 염색체가 비정상적으로 나뉘어져 유전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연결고리를 자르는 단백질의 작동 방식이 밝혀졌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의과학대학원 안톤 가트너 특훈교수와 기초과학연구원(IBS) UNIST "암세포의 면역회피 단백질 분해…암 크기 절반 이하로" UNIST 유자형 교수팀 ⓒUNIST 제공 암세포가 면역 공격을 피하는 데 사용하는 단백질을 분해해 암세포를 상당 부분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유자형 교수팀은 암세포가 면역 회피에 쓰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복합체 조립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유 교수팀에 따르면 암세포는 뇌 속 별세포 발현 단백질 억제해 단기 기억력 높인다 알츠하이머 모델 생쥐에서 SIRT2 발현이 증가한 모습 ⓒIBS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 치매에 관여하는 뇌 속 단백질을 찾아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므리둘라 발라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은 뇌 속 별세포가 발현하는 단백질 '시트루인2'(SIRT2)가 기억력 손상을 2024년 노벨 화학상은 단백질 연구와 구조분야 전문가들에게로 2024 노벨 화학상, 단백질 연구의 혁신 - 수상자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2024년 노벨 화학상은 단백질 연구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여를 한 데이비드 베이커(David Baker), 데미스 하사비스(Demis Hassabis), 존 점퍼(John M. Jumper)에게 수여되었다. 이들의 연구는 단백질 구조 예측과 설계에 있어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어냈는데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뇌는 지속적으로 자기 자신을 '먹어치우고' 있다 운동 싫은 ‘E’, ‘이런 운동’ 어때요? 폭우 후 울퉁불퉁 도로 위 지뢰, 이젠 스스로 복구 모기 침에서 발견된 새로운 바이러스 감염 경로 UNIST·생기연 "대기오염 질소산화물 효율적 제거 촉매 개발" 공기 중 슈퍼박테리아 실시간 포착…간편하게 현장서 검출 "반려견도 성격 따라 TV 시청 습관 달라…하루 평균 14분 시청" "마젤란펭귄, 둥지로 돌아갈 때 해류 활용해 에너지 아껴" 한국, 2045년 달 기지 세운다…우주청 로드맵 발표 왜 식물이 스스로를 공격할까? 면역 충돌 비밀 밝혀 속보 뉴스 "사진 한 장으로 반려견 3D 아바타 만든다"…UNIST, AI기술 개발 등에 볏 달린 파충류 화석 발견…"깃털 진화이론 '흔들'" 부산대·포항공대, 협착 뇌혈관 생체 모델 개발 성공 UNIST "폐수에서 그린 암모니아 생산하는 태양광 시스템 개발" 빛 쪼여 원할 때만 유전정보 '쏙'…KAIST, 릴리저 기술 개발 거미 고향은 바다?…거미 뇌구조 가진 해양 절지동물 화석 발견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뇌 노화 속도도 빨라졌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