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웨이비스, 에이사 레이더·위성통신 핵심 부품 국산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연구진이 군수용 레이더 및 위성용 송수·신 모듈에 쓰이는 질화갈륨(GaN) 집적회로 국산화 기술을 개발했다. ETRI는 웨이비스와 공동으로 군수용 레이더 및 고해상도 영상레이더(SAR)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인 질화갈륨 기반 송수신 반도체 집적회로(MMIC)를 팹 기반 기술로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5-29 ⓒ ScienceTimes 태그(Tag) #국산화 #레이더 #부품 #위성통신 #질화갈륨집적회로 관련기사 원자력연, 암 진단용 동위원소 '지르코늄-89' 중국 수출 지르코늄-89 생산하는 입자 가속기 'RFT-30 사이클로트론' ⓒ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자체 생산한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 '지르코늄-89'를 중국 '씨레이 세라퓨틱스'(C-Ray Therapeutics)사에 수출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원은 2018년 지르코늄-89 국산 소자·부품 우주검증위성 1호 제작…11월 누리호로 발사 E3T 1호 ⓒ 우주청 제공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누리호 4차 발사에 탑재될 우주검증위성(E3T) 1호 제작을 완료해 19일 대전 유성구 항우연에서 선적 전 검토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 위성은 국산 전기전자 소자급 부품 및 반도체 연구 성과물 우주검증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개발됐다. 2024년부터 2027년까지 1 에너지硏, 초대형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설계기술 국산화 풍력 블레이드 전주기 연구 인프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초대형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설계기술을 개발, 국내 최초로 인증기관으로부터 설계인증을 받았다고 19일 밝혔다. 10㎿(메가와트)급 대형 풍력발전기는 설치 면적 대비 경제성과 유지보수 효율이 높아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높일 핵심 설비로 평가받고 있다. 장거리 무선통신의 비밀을 밝히다 이탈리아의 아마추어 발명가였던 굴리엘모 마르코니는 1901년 12월 12일, 영국 콘월 주의 폴듀에서 3570㎞ 떨어진 캐나다 뉴펀들랜드 주의 세인트존스까지 무선통신에 성공했다. 그가 보낸 첫 번째 무선 송신 내용은 알파벳 ‘S’자였다. 단 한 자의 송신에 불과했지만 그 파장은 엄청났다. 당시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전파를 최대한 멀리 보낼 수 있는 범위 소재·부품 산업의 미래를 조망하다 지난 7월 일본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수출 제한 조치 이후 국내 소재·부품 산업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관심이 모아졌다. 특히 대외 의존성이 높은 소재·부품·뿌리산업의 국내 기술 확보를 위해 노력해 왔다. 그러한 성과를 점검하고, 국내외 기업 간 비즈니스 교류와 협력을 위한 자리로 ‘2019 첨단소재부품뿌리산업기술대 통합적 R&D 지원… 위기를 기회로 최근 일본의 수출 규제로 드러난 우리 산업의 소재부품 분야 취약성을 극복하고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지난 1일 경제‧인문사회연구회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경제 생태계, 어떻게 육성할 것인가’를 주제로 개최한 세미나에서 글로벌 산업패권 전쟁과 한국의 기술주도권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3만 년 동안 숨겨졌던 ‘그 색깔’의 비밀 마다가스카르 여우원숭이, 한 번 아닌 여러 번 ‘폭발했다’ 자식 양육에 더 힘쓰는 성(性)이 오래 산다 화상 치료 새 길 열렸다…자기 세포로 인공피부 제작 "심야 노출되는 빛 밝을수록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로봇 운영 우주정거장 목표" KAIST, 우주 연구센터 출범 원자력연, 암 진단용 동위원소 '지르코늄-89' 중국 수출 사향고양이 똥 루왁커피…"지방·풍미 화합물 풍부" 파킨슨병, 증상이 나타나기 수십년전에 알 수 있다면 체외 미세 칩으로 폐암 등 고형암 치료 효과 예측한다 속보 뉴스 테이블·해먹 변신 뚝딱…KIST '오노봇' 로봇 디자인대회 최고상 국내 연구진, 치매 발병 위험 예측하는 '유전자 점수' 개발 생기원, 근로자의 작업 영상 통해 근육 피로도 예측하는 AI 개발 UNIST, 세포 죽이는 신기술 개발…"피부암 치료에 활용 가능성" 산림과학원 "보리밥나무 추출물 투여 후 모발 탈락 61% 줄어" 사각지대서 길 건너려는 보행자, AI가 예측해 사고 막는다 "진행암 환자, 임종 3개월 전부터 광범위항생제 사용 급증"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