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급 비접촉 마그네틱 기어 적용 상반회전 프로펠러 ⓒ전기연 제공 한국전기연구원(KERI, 이하 전기연)은 전동력연구센터 홍도관 박사팀이 소규모 수상택시에 적용할 수 있는 '비접촉 마그네틱 기어 적용 상반회전 프로펠러'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상반회전 프로펠러는 전방 프로펠러에서 나온 회전 에너지를 후방 프로펠러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회수하고, 다시 추력으로 전환한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5-28 ⓒ ScienceTimes 태그(Tag) #비접촉마그네틱기어 #상반회전 #에너지절감 #프로펠러 관련기사 프로펠러 대신 '바람 비행기' 시대 열리나 1903년 미국의 라이트 형제는 프로펠러가 달린 세계 최초의 동력비행기를 만들어 지속적인 비행에 성공했다. 이 비행기에는 가벼운 엔진으로 돌릴 수 있는 효율이 좋은 프로펠러가 달려 있었다. 그리고 115년이 지난 지금 인류는 여전히 프로펠러 비행기를 만들고 있는 중이다. 제트엔진을 통해 빠르게 날 수 있는 제트기가 너무 많은 연료를 소모하기 때문이다.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동물들은 지진을 예측할 수 있을까 해수담수화의 환경 딜레마 못생긴 ‘심해어’, 새로운 계보 등장하나 자석 하나로 우주에서 산소를 더 쉽게 만드는 방법 만성통증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 근거 기반 의학에서 정밀 의료로 후각이 뇌를 속인다…"이건 냄새가 아니고 맛이야" 수소연료전지 촉매의 성능 저하 과정, 원자 수준에서 밝혔다 버려지는 흑연 부산물로 고순도 흑연 음극재 만든다 "가족 갈등, 자녀 수면의 질 떨어뜨리고 저녁형 인간 만든다" "2달러로 마비 가능" KAIST 익명 인터넷 '토르' 취약점 찾았다 속보 뉴스 차세대 소듐냉각고속로 핵연료 제조 용기 신소재 개발 "美 서머타임 폐지하면 비만 260만·뇌졸중 30만명 예방 가능" 국가 AI전략위 분과위 구성 완료…고삼석 등 52명 추가 위촉 '이태원 참사 막자' KAIST, AI로 군중 밀집 예측 자폐 환자의 과도한 공포·불안 이유 찾았다…뇌 회로 규명 "사람 근육의 30배 능력"…UNIST, 변형 자유로운 인공근육 개발 KISTI·서울대, 천체 자체 중력 빠르게 계산하는 기술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