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진 모습. 앞줄 왼쪽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UNIST 김진영 교수, 김봉수 교수, 김동석 교수, 허성현 연구원, 제1저자 샤히드 아민 박사, 제1저자 손중건 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빛을 나눠 받아 더 많은 전기를 만드는 탠덤 태양전지의 효율과 안정성을 모두 잡은 소재를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 화학과 김봉수 교수팀과 탄소중립대학원 김진영·김동석 교수팀은 페로브스카이트 유기 탠덤 태양전지의 성능을 끌어올릴 수 있는 새로운 정공수송층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5-19 ⓒ ScienceTimes 태그(Tag) #정공수송층 #태양광 #태양전지 #탠덤태양전지 관련기사 GIST, 태양광 기반 무전압 업사이클링 기술 개발 GIST 신소재공학과 이상한 교수(왼쪽)와 김예준 석박사통합과정생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태양광만으로 산업 폐기물을 산업용 화학물질로 전환하는 '무전압 업사이클링(Bias-free Upcycling)' 기술을 구현했다고 4일 밝혔다. 식물성 기름이나 동물성 지방 등을 원료로 만든 바이오디젤은 UNIST "폐수에서 그린 암모니아 생산하는 태양광 시스템 개발" 연구 그림. 폐수 속 질산염을 암모니아로 바꾸는 광전기화학 시스템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폐수 속 질산염을 고부가가치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로 바꾸는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서관용·장지욱 교수팀은 햇빛을 이용해 폐수에 있는 질산염에서 암모니아를 얻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UNIST "녹나무 유래 물질로 태양전지 효율·수명 향상" 연구 그림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녹나무 유래 물질로 태양전지 박막의 품질을 높이는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제시했다. 29일 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양창덕 교수팀이 녹나무 추출물인 캠퍼(camphor) 유도체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고품질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을 합성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태양전지의 UNIST "그린수소 생산 인공나뭇잎 모듈 개발…상용화 가능성↑" 고효율 무배선 인공나뭇잎 기반 태양광 수소 생산 시스템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태양에너지를 수소로 직접 전환하는 인공 광합성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인 인공나뭇잎 모듈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제시했다. 23일 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이재성·석상일·장지욱 교수팀이 고효율, 고내구성, 대면적 UNIST, 휴대폰 액정화면으로 활용 가능한 반투명 태양전지 개발 반투명 태양전지 모듈 ⓒUNIST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휴대전화 액정화면이나 건물 외벽 유리 등으로 활용이 기대되는 반투명 유기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양창덕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은 10.81%의 광전변환효율과 45.43%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기록한 반투명 유기태양전지를 만들었다. 현재 건물 지붕 등 '고효율·고안정성'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기술 개발 공동 연구팀과 연구 모식도 ⓒ충남대 제공 충남대는 한양대, 한국화학연구원과 함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고효율 및 장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초박막 고분자 계면 페시베이션(부동태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공동 연구팀은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를 가로막는 계면 안정성 문제, 특히 정공 외부 전원 없이 태양광만으로 그린수소 생산한다 기계연, 외부 전원 없이 태양광만으로 수소 생산 성공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한국기계연구원 이지혜 박사 연구팀은 비스무트 바나데이트(BiVO₄) 광전극의 생산성을 높여 태양광만으로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그린수소는 태양력·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이용해 수전해(물을 전기분해 해 수소를 생산하 부산대·경상대·아주대 연구팀, 태양전지 효율 향상 기술 개발 태양전지 효율 향상 기술 개발 ⓒ부산대 제공 부산대학교는 나노에너지공학과 서지연 교수와 경상국립대 김윤희 교수, 아주대 권오필 교수 공동연구팀이 미래 신소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PSCs)의 장기 안정성과 효율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접착층 기술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전력을 생산하는 반투명 "사탕수수 찌꺼기와 햇빛으로 이산화탄소 배출 없는 수소 생산" 태양광만을 이용한 고효율 이중 수소 생산 시스템 모식도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사탕수수 찌꺼기와 햇빛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이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장지욱·서관용 교수팀과 신소재공학과 조승호 교수팀은 사탕수수 찌꺼기에서 나온 바이오매스와 실리콘 광전극으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달 먼지로 태양전지 만든다…미래 우주탐사 에너지원 기대" 달 표면의 암석 부스러기와 먼지로 된 퍼석퍼석한 물질인 '레골리스'(regolith)를 이용해 우주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 제작 기술이 개발됐다. 달 레골리스를 활용한 미래 태양전지 제조 상상도. 달 표면의 암석 부스러기와 먼지로 된 퍼석퍼석한 물질인 '레골리스'(regolith)를 채취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아직 늦지 않았다…어른 뇌에도 새 신경세포 자란다 아버지의 사랑이 정말 ‘좀비딸’을 살릴 수 있을까? 머리카락으로... 치약을 만든다고? 흑사병, 가축에서 왔나…"4천년 전 양에서 페스트균 게놈 확인" 자기장 기반 의료용 마이크로로봇 인체 속 이동·추적·치료까지 '더우면 알아서 냉수 공급'…닭 폐사율↓·달걀 품질↑ 머리카락 굵기 8분의 1 OLED 넣은 렌즈로 눈 질환 검사한다 나무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거대한 생태계? 1살 우리아기, 밥을 안먹어도 너무 안먹어요 한국 첫 유인우주선 동반 '큐브위성' NASA 향해 속보 뉴스 KAIST, 전력 없이 작동하는 광센서 개발…"민감도 20배" "GPU 한 대로 그래프신경망 초고속 학습" KAIST, AI 모델 개발 "땅속 기름 확산 방지에 소수성보다 친수성 재료가 효과적" 부산대 연구팀, 차세대 그린수소 생산 전극 개발 "항암제 부작용 줄인다" 폐암세포만 공격하는 '나노바디' 개발 극지연구소 "북극에 온난화 늦추는 자연 복원력 확인" "수십㎞ 상공서 햇빛만으로 작동하는 소형·경량 비행체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