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lePulse' 개발한 GIST·MIT 연구팀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로봇이 받는 물리적 힘을 사람의 팔에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햅틱(Haptic) 시스템이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AI융합학과 김승준 교수 연구팀이 미국 MIT 연구팀과 공동으로 원격 로봇과 인간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TelePulse'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5-09 ⓒ ScienceTimes 태그(Tag) #TelePulse #로봇 #생체역학 #정밀햅틱기술 #햅틱 관련기사 "접었다 폈다 자유자재로 가능" KAIST, 로봇 종이 개발 지우지재로 접힘 제어하는 로봇 시트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기계공학과 김정·박인규 교수 공동 연구팀이 접었다 폈다 자유자재로 가능한 '로봇 시트'(robotic folding sheet)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접힘(folding)은 면과 접힘선(hinge)의 배열에 기반한 "위험할 때만 대응" 효율적으로 반응하는 인공감각 신경계 개발 KAIST·충남대 공동연구팀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전자공학부 최신현 석좌교수와 충남대 반도체융합학과 이종원 교수 공동 연구팀은 생명체의 감각 신경계 기능을 모사한 인공 감각 신경계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사람 등 동물은 익숙한 자극은 무시하고, 중요한 자극에만 선별적으로 민 KAIST,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연료는 생체 부산물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한 KAIST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체 부산물을 연료로 사용해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마이크로·나노급 입자 기반 비(非) 생명체 자가 추진 로봇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세포 등 생명체를 이용한 사람과 랠리하는 배드민턴 로봇의 등장 지난 4월 중국 베이징에서는 세계 최초로 휴머노이드 로봇을 위한 하프 마라톤 대회가 열렸다. 이는 로봇 기술의 놀라운 진보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이벤트였다. 과거의 로봇들은 주로 단순 작업만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었기 때문에 인간처럼 유연하게 움직이거나 상황에 맞춰 반응하는 모습을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최근에 많이 등장하는 춤을 추 "데이터 전송 부담 덜며 정확도 높인 로봇 비전 센서 개발" 연구진 모습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밝기가 일정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사물의 윤곽 정보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추출하는 로봇 비전 센서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 신소재공학과 최문기 교수팀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최창순 박사팀, 서울대학교 김형 교수팀과 함께 시냅스 모방 로봇 비전 센서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KAIST 4족 보행로봇 시속 14㎞로 계단·징검다리도 '거뜬' 라이보가 다양한 불연속 지형에서 주행하는 모습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황보제민 교수 연구팀은 계단이나 징검다리 등 불연속적인 지형에서도 고속으로 이동할 수 있는 4족 보행로봇 내비게이션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4족 보행로봇은 모래, 얼음, 산악 등 다양한 지형에서 보행할 수 있어 감시& 물속에서 '빛으로 움직이는' 소프트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 연구 모식도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물속에서도 자유롭게 작동하는 광(光)화학 기반 '소프트 로봇용 인공 근육'이 개발됐다. 한국화학연구원은 김현 박사와 부산대 이하범 교수, 미국 텍사스 에이 앤 엠(Texas A&M)대 테일러 웨어(Taylor H. Ware) 교수 공동 연구진이 빛으로 움직이는 결정성 액정 탄성 로봇으로 척추수술 환자 보행 재활…일상 수행능력 39% 향상 로봇 보조 보행 훈련 개념 설명 사진. (a) 보행 보조 훈련 로봇 전면 및 (b) 후면. (c) 로봇을 활용해 보행 보조 훈련 중인 환자 후면. (d) 측면 요추 방사선 사진과 (e)척추 보조기를 착용하고 보행 보조 로봇 훈련을 받는 환자 모습 ⓒ강남세브란스병원 제공 척추 수술 후 환자의 보행 재활 훈련에 로봇을 활용했을 때의 안전성과 아주대 연구팀, 전방위 물체 조작 가능한 고성능 로봇 손 개발 아주대학교는 본교 연구팀이 다양한 방식으로 물체를 쥐거나 조작할 수 있는 로봇 손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로봇 그리퍼 ⓒ아주대 제공 종전에 활용됐던 3지 형태의 로봇 손인 '로봇 그리퍼'(Robot Gripper)는 잡거나 놓는 수준의 작업만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에 김의겸 아주대 기계공학과 교 ‘생성형 AI+로봇’, 이제는 휴머노이드 로봇 시대로 휴머노이드 로봇이 인간을 닮은 로봇에서 인간화된 로봇으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인공지능, 반도체, 로봇기술을 접목한 온디바이스형 로봇을 공개하면서 휴머노이드 로봇이 실생활에 한층 더 가까워질 전망이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노련한 기술력 최근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을 뜨겁게 달군 이른바 빅3 기업은 오픈AI, 테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아버지의 사랑이 정말 ‘좀비딸’을 살릴 수 있을까? 머리카락으로... 치약을 만든다고? 나무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거대한 생태계? 1살 우리아기, 밥을 안먹어도 너무 안먹어요 [광복절 특집] 대한의 여성과학자 만세 [광복절 특집] 변하는 과학관, 과학문화의 미래를 열다 UNIST "AI 모델 실행코드 더 빠르게 찾는 기술 개발" 극지연구소 "북극에 온난화 늦추는 자연 복원력 확인" '기존 결정크기 1만배' 고품질 흑연 합성…"강도·전도성 우수" 반도체공장서 가스누출 시 0.5초 내 감지…초음파 감지기 나와 속보 뉴스 인간 뇌신경 구조 닮은 이미지 센서 개발…보는 AI에 적용 "두 격자 간 어긋남으로 나타나는 '물결 무늬' 정밀 제어" "코로나19 감염 여성, 혈관 노화 5년가량 더 빨라진다" '스핀 손실'의 반전…차세대 정보소자 전력 절감 길 열다 노화 속도 늦추는 단백질 찾았다…RNA 수준 규명 KAIST, 전력 없이 작동하는 광센서 개발…"민감도 20배" "GPU 한 대로 그래프신경망 초고속 학습" KAIST, AI 모델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