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조기 진단 위한 사회적 상호작용 AI 기술 개념도 ⓒETRI 제공 국내 연구진이 자폐스펙트럼장애(ASD)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결여, 반복·과잉 행동, 지적·불안 장애 등 증상을 보이는 뇌 발달 장애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4-30 ⓒ ScienceTimes 태그(Tag) #AI기술 #ASD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진단 관련기사 '알츠하이머 조기에'…표준연, 초고감도 체외진단 플랫폼 개발 표준연이 개발한 SERS 기반 초고감도 다중 정량 검출 플랫폼 모식도 ⓒ표준연 제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분자의 고유한 광학 신호를 수억 배 이상 증폭해 체액 속 극미량의 알츠하이머병 생체지표(바이오마커)를 정확히 검출하고 정량화하는 진단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뇌 신경세포가 점차 손상되면서 기 암세포가 흘린 DNA 조각으로 췌장암을 조기에 진단하다 췌장암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서 침묵의 암으로도 불린다 ⒸGetty Images 다양한 종류의 암 중에서도 췌장암은 조기 발견이 어렵고 진행 속도가 빠르며 치료가 쉽지 않은 대표적인 난치성 암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최근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우리나라의 전체 암 사망 원인 중 췌장암은 5위를 차지하였으며, 5년 생존율은 16.5%에 "사진 한 장으로 반려견 3D 아바타 만든다"…UNIST, AI기술 개발 3D 아바타 생성 과정 개념도 ⓒUNIST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반려견 사진 한 장만으로도 입체적 모습을 구현해 애니메이션까지 만들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우리 집 강아지를 똑 닮은 아바타를 생성해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메타버스에서 만나볼 수 있는 것이다. 이 인공 혈액 속 극소량 암세포 DNA, 빛·인공지능으로 조기진단한다 정호상(오른쪽) 선임연구원·살라후딘 학생연구원 ⓒ재료연 제공 한국재료연구원(KIMS, 재료연)은 바이오·헬스재료연구본부 정호상 박사 연구팀이 혈액에 존재하는 극소량의 암세포 DNA를 고감도로 검출해 암 조기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광학 기반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암세포가 발생할 때는 혈액 속 담도암 조기 진단 가능성 높였다…대규모 유전체 확보 담도암 발생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전자 변이 ⓒ박영년 교수 제공 국내 연구진이 담도암 발병 과정을 알 수 있는 대규모 유전체를 확보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연세대 의대 박영년·김상우 교수 연구팀이 담도암의 전암 병변(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병변)으로부터 침윤성 담도암(1기 이상의 암)에 이르기까지 대규모의 유전체(생명체 췌장암 조기 진단을 위한 새로운 검사법이 나온다 췌장암: 가장 치명적인 암 췌장암은 진단 후 첫해에 환자 네 명 중 세 명이 사망하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또한, 진단 후 5년 생존율이 고작 6-14%에 불과한, 생존하기 가장 어려운 암으로 꼽힌다. 췌장암 퇴치의 가장 큰 장벽은 종양을 조기에 발견하고 제거할 방법을 찾는 것이다. ©Getty Images 췌장암 퇴치 트럼프, "중국 DeepSeek의 성공은 경각심을 주는 신호" DeepSeek의 폭발적 성장 최근 중국 기업 DeepSeek의 AI 챗봇이 미국 애플 앱스토어에서 1위를 차지하며, 2023년 처음 등장했을 때 인터넷을 강타했던 OpenAI의 ChatGPT를 제쳤다. 특히 더 놀라운 점은 DeepSeek에 따르면 자사의 AI 모델이 미국의 최상위 모델들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면서도 훨씬 적은 비용으로 개발되었다는 AI 규제, 미국과 유럽의 엇갈린 행보 AI 규제 전쟁: 미국과 EU의 엇갈린 길, 글로벌 기술 패권의 향방은? ChatGPT의 등장 이후 AI 기술은 더욱 빠른 속도로 우리의 일상을 변화시키고 있다. 의료 진단부터 금융 서비스, 자율주행까지 AI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 분야를 찾기 어려울 정도다.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글로벌 AI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1,500억 달러에 "자폐 스펙트럼 장애 관련 X 염색체 유전자 변이 발견" 뇌 발달과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X 염색체상 'DDX53' 유전자 등의 변이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발생과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제작 이소영(미디어랩) 캐나다 토론토대 어린이병원(SickKids) 스티븐 셰어 박사와 이탈리아 지아니나 가슬리니 연 한국, AI 기술 분야에서 빠르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어 “AI, The Next Generation” AI가 산업의 지형도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근본적인 패러다임을 전환시키고 있다. 최근 10년 사이에 AI기술은 폭발적인 속도로 발전했고,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디지털 대전환을 견인하는 주체로 고도화되었다. 이로써 AI는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 동력으로서 세계 주요국 간 기술패권 경쟁이 치열하게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구름 한 덩이의 무게는 약 1000톤? 더워도 너무 덥다, 방법이 없을까? '소버린AI 시대'의 한국형 해답, 조선 고전에서 찾다 암세포가 흘린 DNA 조각으로 췌장암을 조기에 진단하다 AI와의 대화, 환경에 미치는 숨겨진 비용은?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새 차 냄새'는 200개 이상의 화학물질의 혼합물이다 "사진 한 장으로 반려견 3D 아바타 만든다"…UNIST, AI기술 개발 등에 볏 달린 파충류 화석 발견…"깃털 진화이론 '흔들'" UNIST "폐수에서 그린 암모니아 생산하는 태양광 시스템 개발" 빛 쪼여 원할 때만 유전정보 '쏙'…KAIST, 릴리저 기술 개발 속보 뉴스 위성·선박·드론 등 움직이는 환경 양자통신기술 세계 첫 개발 UNIST, 위기 상황에 강한 협력형 AI 훈련 기술 개발 '알츠하이머 조기에'…표준연, 초고감도 체외진단 플랫폼 개발 "헤르페스 치료 항바이러스제, 알츠하이머병 지연효과 없어" 3분 만에 질병 현장 진단…효소 모방 촉매 반응 38배 향상 '시간이 약?' 안 통하는 PTSD…공포 기억 계속되는 이유 찾았다 UNIST, 폭발 없는 대용량 ESS '흐름 전지' 수명 향상 기술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