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이 골라준 구조를 실제 실험으로 합성한 결과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이론적으로는 수백만 종이 존재하지만 지난 20년간 50종밖에 만들지 못한 '제올라이트 모방 다공성 물질'(ZIF)을 국내 연구진이 새롭게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최원영 교수팀과 오현철 교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이정훈 박사팀이 데이터 기반 구조 예측 알고리즘으로 ZIF 3종을 새롭게 합성했다고 UNIST가 24일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4-25 ⓒ ScienceTimes 태그(Tag) #다공성물질 #디지털알고리즘 #신소재발굴 #예측알고리즘 #온실가스분리 관련기사 "다공성 물질 기공, 나노미터 단위로 조절해 중수소 분리" 이온 교환 방식을 통한 다공성 물질의 기공 조절과 중수소 분리 개념도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다공성 물질의 기공을 0.01나노미터(㎚·10억분의 1m) 단위로 조절해 중수소를 효율적으로 분리해낼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12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오현철 UNIST 화학과 교수팀과 이은성 서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모닝커피의 마법? 카페인 ‘골든타임’ 아침으로 밝혀져 화성에서 드디어 35억년 전 생명체의 강력한 증거를 발견하다 꿀벌 살리기 대작전 도파민 터지는 ‘숏폼’, 우리의 집중력은 ‘47초’ 암세포 DNA만 골라 제거한다…유전자 가위 기술 개발 독감은 왜 노인에게 더 치명적일까…"ApoD 단백질 증가 때문" 중세 이후 가축은 커지고 야생동물은 작아졌다? 초파리의 특이한 선물 공세 비밀을 풀다 "해양 온난화, 지구 산소 20% 생산하는 바다 박테리아 위협" 소량 혈액으로 빠르고 정밀한 병원급 혈액검사 기술 개발 속보 뉴스 전기연, 반도체 초정밀 공정서 활용 가능한 펄스 전원 개발 원자력연, 원자로 '보조 운전자' 수준 AI 에이전트 개발 재료연, 계란흰자 활용 '단백질 발포법'으로 방열 복합소재 개발 '극심 가뭄' 강릉서 차세대 바닷물 담수화 실증 나선다 구조·기능 더 정밀하게 모사한 인공 신장 만들었다 전기·태양광 없이 그린 과산화수소 만든다 버려지는 흑연 부산물로 고순도 흑연 음극재 만든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