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과 실제 뇌의 시각 반응 비교 실험 ⓒIBS 제공 인간의 뇌처럼 시각 정보를 선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AI)이 등장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은 연세대 응용통계학과 송경우 교수팀과 공동으로 뇌의 시각피질이 시각 정보를 선별해 처리하는 방식을 모사해 AI의 이미지 인식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4-24 ⓒ ScienceTimes 태그(Tag) #AI #시각정보 #이미지 #이미지분석 #인공지능 관련기사 생기원, 근로자의 작업 영상 통해 근육 피로도 예측하는 AI 개발 생기원이 개발한 근활성도 추정 시스템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근로자의 작업 영상을 분석해 근육 부하를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산업 현장에서 반복적인 동작과 무거운 하중을 다루는 작업은 작업자의 근육 피로와 근골격계 질환 위험을 높인다. 근육 부하를 측정해 피로가 사각지대서 길 건너려는 보행자, AI가 예측해 사고 막는다 예지형 보행자 안전 AI 서비스 ⓒ ETRI 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 8월부터 천안지역 교차로 4곳에서 보행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해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예지(豫知)형 보행자 안전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실증 운용 중이라고 29일 밝혔다. 기존 보행자 알림 시스템은 사람이 수동으로 검지(檢知 기후 위기에 강한 상권 AI로 찾는다…KAIST·MIT 공동 연구 KAIST 도시인공지능연구소 연구팀 ⓒ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도시인공지능연구소는 미국 MIT 센서블 시티 랩과 공동으로 진행한 '도시와 인공지능'(Urban AI) 연구 결과를 최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스마트라이프위크 2025'(Smart Life Week 2025) 전시에서 공개했다 '연구산업도 AI 시대' 과기정통부, 국제연구산업컨벤션 개최 국제연구산업컨벤션 2025 ⓒ 과기정통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부터 이틀간 서울 강서구 코엑스 마곡에서 '국제연구산업컨벤션(IRIC) 2025'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행사는 '연구산업 인공지능(AI)을 만나다'를 주제로 AI가 활용된 연구산업 각 분야를 체험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 전시, 국제 국제과학관심포지엄서 'AI 시대 과학관 역할' 공동합의문 채택 제15회 국제과학관심포지엄 ⓒ 중앙과학관 제공 국립중앙과학관은 30~31일 대전 유성구 중앙과학관에서 열리는 '제15회 국제과학관심포지엄'(ISSM)에서 '인공지능(AI) 시대 과학관이 추구해야 할 가치와 역할'을 주제로 대전 공동합의문을 채택한다고 27일 밝혔다. ISSM은 중앙과학관이 2011년부터 우주항공청, 위성정보 빅데이터 AI 학습 데이터셋 15만건 공개 2025 위성정보 AI 학습 데이터셋 활용 분야(예시) ⓒ 우주항공청 제공 우주항공청은 21일 국가 위성정보를 활용한 '2025 위성정보 빅데이터 AI 학습 데이터셋'을 약 15만 건 공개한다고 20일 밝혔다. 우주항공청은 다목적실용위성 3호, 3A호, 5호 영상자료를 기반으로 대규모 AI 학습 데이터셋을 공개해 위성 과기한림원, 'AIx신소재' 주제 한림원탁토론회 개최 한림원탁토론회: AI 프런티어 시리즈 포스터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제공 ▲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21일 오후 4시 성남시 한림원회관과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오프라인으로 제242회 한림원탁토론회를 개최한다. 'AI×신소재: 미래 산업소재의 혁신설계'가 주제인 토론회의 주제 발표는 최윤석 삼성종합기술원 마스 파킨슨병, 증상이 나타나기 수십년전에 알 수 있다면 현재 파킨슨 병의 진단 한계와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 파킨슨병은 현재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신경학적 질환이다. 매년 무려 9만 명이 새로이 파킨슨 병을 진단받는데, 이는 1980년대 중반보다 50% 증가한 수치이다. 전 세계적으로도 상황은 유사하다. 2050년까지 2,500만 명이 진단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현재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너무 빨리 먹으면 비만 위험 증가…먹는 속도 측정 AI 개발 음식을 먹는 속도가 빠르면 비만 위험도 증가한다. 어린이가 음식을 입에 넣는 동작을 인식해 먹는 속도를 측정하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이 개발돼 어린이 비만 예방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어린이 식사 습관 연구 장면. 어린이 식사 습관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연구자가 아이의 식사 장면을 직접 보거나 영상을 관찰하며 음식을 입에 넣는 횟수와 시간을 과기정통부·IITP, 미국 UIUC와 AI 반도체 인재양성 협력 과기정통부·IITP, 美 UIUC와 AI 반도체 인재양성 협력 체결 ⓒ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제공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은 16일 미국 일리노이 어바나샴페인 대학(UIUC)과 인공지능(AI) 반도체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밝혔다. UIUC는 AI·반도체·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3만 년 동안 숨겨졌던 ‘그 색깔’의 비밀 마다가스카르 여우원숭이, 한 번 아닌 여러 번 ‘폭발했다’ 자식 양육에 더 힘쓰는 성(性)이 오래 산다 화상 치료 새 길 열렸다…자기 세포로 인공피부 제작 "심야 노출되는 빛 밝을수록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로봇 운영 우주정거장 목표" KAIST, 우주 연구센터 출범 원자력연, 암 진단용 동위원소 '지르코늄-89' 중국 수출 사향고양이 똥 루왁커피…"지방·풍미 화합물 풍부" 파킨슨병, 증상이 나타나기 수십년전에 알 수 있다면 체외 미세 칩으로 폐암 등 고형암 치료 효과 예측한다 속보 뉴스 테이블·해먹 변신 뚝딱…KIST '오노봇' 로봇 디자인대회 최고상 국내 연구진, 치매 발병 위험 예측하는 '유전자 점수' 개발 생기원, 근로자의 작업 영상 통해 근육 피로도 예측하는 AI 개발 UNIST, 세포 죽이는 신기술 개발…"피부암 치료에 활용 가능성" 산림과학원 "보리밥나무 추출물 투여 후 모발 탈락 61% 줄어" 사각지대서 길 건너려는 보행자, AI가 예측해 사고 막는다 "진행암 환자, 임종 3개월 전부터 광범위항생제 사용 급증"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