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과 실제 뇌의 시각 반응 비교 실험 ⓒIBS 제공 인간의 뇌처럼 시각 정보를 선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AI)이 등장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은 연세대 응용통계학과 송경우 교수팀과 공동으로 뇌의 시각피질이 시각 정보를 선별해 처리하는 방식을 모사해 AI의 이미지 인식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4-24 ⓒ ScienceTimes 태그(Tag) #AI #시각정보 #이미지 #이미지분석 #인공지능 관련기사 원자력연, 원자로 '보조 운전자' 수준 AI 에이전트 개발 AI 에이전트 기능 시험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세계 최초로 원자로 운전 지원을 위한 에어전틱 인공지능(AI) 기반 에이전트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에이전틱 인공지능은 사용자를 조력하는 현재의 생성형 AI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고도화된 추론 능력을 바탕으로 사람의 개입 없이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한다. 수소연료전지 촉매의 성능 저하 과정, 원자 수준에서 밝혔다 촉매의 3차원 원자 구조 분석 ⓒKAIST 제공 한미 공동 연구팀이 수소연료전지의 촉매 성능이 시간이 갈수록 떨어지는 과정을 원자 수준에서 밝혀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양용수·조은애 교수, 미국 스탠퍼드대와 로런스버클리국립연구소 국제 공동 연구팀은 연료전지 촉매 내부의 원자 하나하나가 수천번의 작동 사이클(충& 스마트폰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국내 연구진 AI 모델 개발 자폐증(일러스트) ⓒ 제작 이소영(미디어랩)아이클릭아트 그래픽 사용 영유아의 자폐스펙트럼 장애 여부를 가정에서 스마트폰으로 미리 확인해볼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세브란스병원은 이 병원 천근아·김휘영 교수, 서울대병원 김붕년 교수 연구팀이 국내 9개 병원에 내원한 18∼48개월 영 UNIST, 기술이전 계약 자동 분석하는 AI 시스템 구축 UNIST 기술이전 계약 분석 시스템 구조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기술 이전 계약 분석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PDF 문서를 신속하게 읽고 분류하는 자체 대형언어모델(LLM)을 적용해 기술 이전 계약서를 자동으로 분석, 핵심 정보를 뽑아낸다. 이 UNIST "AI 품질 검사로 2.79초 만에 초미세 불량 찾는다" 연구진 모습 왼쪽부터 UNIST 정임두 교수, 박서빈 연구원(제1저자), 김태경 연구원(제1저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3초도 되지 않는 짧은 시간에 초미세 단차 불량을 찾아내는 인공지능(AI) 품질 검사 기술이 나왔다. 단차 불량은 조립 부품 간 표면 높이가 어긋나는 현상으로, 접합부의 강도 저하와 품질 불량을 유발한다. UNIST "AI 품질 검사로 2.79초 만에 초미세 불량 찾는다" 연구진 모습. 왼쪽부터 UNIST 정임두 교수, 박서빈 연구원(제1저자), 김태경 연구원(제1저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3초도 되지 않는 짧은 시간에 초미세 단차 불량을 찾아내는 인공지능(AI) 품질 검사 기술이 나왔다. 단차 불량은 조립 부품 간 표면 높이가 어긋나는 현상으로, 접합부의 강도 저하와 품질 불량을 유발한다. AI가 평면 이미지 3차원으로 재구성…표준연, 알고리즘 개발 AI 기반 알고리즘 수행 결과 분석하는 표준연 연구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생물학 시료의 2차원 이미지를 3차원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주사전자현미경(SEM)은 시료에 전자빔을 쏴 발생하는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현 안개로 흐려진 영상 선명하게 복원…KAIST, AI 기술 개발 산란 매질 너머 영상 복원 기술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바이오·뇌공학과 장무석 교수와 김재철AI대학원 예종철 교수 공동 연구팀이 움직이는 산란 매질 너머 본래의 영상을 복원할 수 있는 '비디오 디퓨전 기반 영상 복원 기술'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산란 매질은 빛의 경로를 무질서 스마트팩토리 공정 바뀌어도 불량 정확히 탐지하는 AI 개발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 개념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산학부 이재길 교수 연구팀이 제조 공정이나 설비가 바뀌어도 추가 학습 없이 기존 인공지능(AI) 모델을 활용해 불량을 탐지할 수 있는 '시계열 도메인 적응'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최근 스마트팩토리(생산과정에 자동화 기술을 결합한 거센 파도에도 ‘착’, 초강력 접착제 개발 거센 파도에 맞서 싸우는 러버덕의 모습이 학술지 ‘Nature’에 담겼다. 일본 연구진이 새로 개발한 접착제 덕분에 러버덕은 굳건히 제 자리를 지킨다. ⒸNature 거센 파도가 끊임없이 몰아치는 바닷가. 바위 위에 붙은 고무 오리는 끄떡도 없다. 초강력 수중 접착제 덕분이다. 일본 훗카이도대 연구진은 자연에서 발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모닝커피의 마법? 카페인 ‘골든타임’ 아침으로 밝혀져 화성에서 드디어 35억년 전 생명체의 강력한 증거를 발견하다 꿀벌 살리기 대작전 도파민 터지는 ‘숏폼’, 우리의 집중력은 ‘47초’ 암세포 DNA만 골라 제거한다…유전자 가위 기술 개발 독감은 왜 노인에게 더 치명적일까…"ApoD 단백질 증가 때문" 중세 이후 가축은 커지고 야생동물은 작아졌다? 초파리의 특이한 선물 공세 비밀을 풀다 "해양 온난화, 지구 산소 20% 생산하는 바다 박테리아 위협" 소량 혈액으로 빠르고 정밀한 병원급 혈액검사 기술 개발 속보 뉴스 전기연, 반도체 초정밀 공정서 활용 가능한 펄스 전원 개발 원자력연, 원자로 '보조 운전자' 수준 AI 에이전트 개발 재료연, 계란흰자 활용 '단백질 발포법'으로 방열 복합소재 개발 '극심 가뭄' 강릉서 차세대 바닷물 담수화 실증 나선다 구조·기능 더 정밀하게 모사한 인공 신장 만들었다 전기·태양광 없이 그린 과산화수소 만든다 버려지는 흑연 부산물로 고순도 흑연 음극재 만든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