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체 내 형광분자 근적외선 발광 설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백윤정 교수 연구팀은 근적외선 파장의 빛을 낼 수 있는 오환형(5개의 고리를 가진 구조) 플라빈 분자를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플라빈은 우리 몸 등 생체 내에서 전자 전달과 광반응 조절 등의 역할을 하는 형광 분자다. 대표적으로 비타민 B2(리보플라빈) 형태로 존재하며, 색소 특성을 바탕으로 빛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기능도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4-24 ⓒ ScienceTimes 태그(Tag) #광소재 #근적외선 #발광체 #플라빈 #형광분자 관련기사 제임스 웹, 새로운 별 형성과 은하를 자세히 관측하다 과거를 보는 천문학, 미래를 연구하는 천문학 천문학은 과거로부터 우리에게 도달하는 빛을 이용해서, 천체들과 우주의 성질 및 특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역사는 대부분 비슷하게 반복된다. 따라서, 과거를 알면 대부분 미래의 예측이 가능하다. 이와 비슷하게 과거의 빛을 연구하면 미래에 관해서 알 수 있다. 우리에게는 물리학 법칙이라는 변하지 않는 천문학을 푸는 제임스 웹, 왜소은하 ‘WLM’을 자세히 관측하다 왜소은하란? 명왕성(Pluto)으로 대표되는 왜소행성(Dwarf Planet)은 행성의 정의를 충족하지는 못하지만, 행성과 비슷하면서도 보다 작은 천체를 나타낸다. 즉, 태양을 공전하며 원형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질량이 있고, 다른 행성의 위성이 아니어야 한다. 하지만 궤도 주변의 다른 천체를 흡수할 수 없는 천체여야 한다. 물론, 구체적인 장박테리아로 전기 생산한다 장박테리아가 생산하는 전기를 실생활에 사용하거나, 이를 응용해 발효제품의 맛을 입맛에 맞게 바꿀 수 있을까. 또 장 건강에도 활용이 가능할까? 최근 인체 장내 미생물군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박테리아가 다수 발견돼 연구팀은 이의 활용 가능성을 놓고 상상의 나래를 펴고 있다. 전기를 만들어내는 박테리아는 지금까지 광산이나 호수 바닥 등 이색적인 환경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화성에서 드디어 35억년 전 생명체의 강력한 증거를 발견하다 초파리의 특이한 선물 공세 비밀을 풀다 동물들은 지진을 예측할 수 있을까 해수담수화의 환경 딜레마 스마트폰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국내 연구진 AI 모델 개발 화성 퇴적암 분석해보니…"과거 생명체 서식 환경 가능성 시사" 만성통증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 근거 기반 의학에서 정밀 의료로 조울증 치료제 왜 안 들을까…뇌 속 별세포의 대사 차이 밝혔다 김치서 찾은 유산균, 궤양성 대장염 증상 잡는다 후각이 뇌를 속인다…"이건 냄새가 아니고 맛이야" 속보 뉴스 "사람 근육의 30배 능력"…UNIST, 변형 자유로운 인공근육 개발 KISTI·서울대, 천체 자체 중력 빠르게 계산하는 기술 개발 원자력연,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 안전성 검사 장치 개발 과기한림원, 18·29일 AI방산·AI기초과학 주제 토론회 과총, 18일 국가전략기술 체계 고도화 오픈포럼 "알츠하이머병 유전자 있으면 뇌 속 별세포 면역기억↓" "척수 별세포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 손상된 척수 회복 방해"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