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체 내 형광분자 근적외선 발광 설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백윤정 교수 연구팀은 근적외선 파장의 빛을 낼 수 있는 오환형(5개의 고리를 가진 구조) 플라빈 분자를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플라빈은 우리 몸 등 생체 내에서 전자 전달과 광반응 조절 등의 역할을 하는 형광 분자다. 대표적으로 비타민 B2(리보플라빈) 형태로 존재하며, 색소 특성을 바탕으로 빛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기능도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4-24 ⓒ ScienceTimes 태그(Tag) #광소재 #근적외선 #발광체 #플라빈 #형광분자 관련기사 원자력의학원, 암 진단·수술 동시 가능 이중영상 플랫폼 개발 이용진 한국원자력의학원 박사 연구팀 ⓒ 한국원자력의학원 제공 한국원자력의학원은 이용진 박사 연구팀이 단국대 최진호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암을 진단하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과 수술 중 실시간으로 암 부위를 볼 수 있는 근적외선형광영상촬영(NIRF)이 동시에 가능한 '엽산 수용체 표적형 이중 영상 나노플레이트'를 개발했 제임스 웹, 새로운 별 형성과 은하를 자세히 관측하다 과거를 보는 천문학, 미래를 연구하는 천문학 천문학은 과거로부터 우리에게 도달하는 빛을 이용해서, 천체들과 우주의 성질 및 특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역사는 대부분 비슷하게 반복된다. 따라서, 과거를 알면 대부분 미래의 예측이 가능하다. 이와 비슷하게 과거의 빛을 연구하면 미래에 관해서 알 수 있다. 우리에게는 물리학 법칙이라는 변하지 않는 천문학을 푸는 제임스 웹, 왜소은하 ‘WLM’을 자세히 관측하다 왜소은하란? 명왕성(Pluto)으로 대표되는 왜소행성(Dwarf Planet)은 행성의 정의를 충족하지는 못하지만, 행성과 비슷하면서도 보다 작은 천체를 나타낸다. 즉, 태양을 공전하며 원형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질량이 있고, 다른 행성의 위성이 아니어야 한다. 하지만 궤도 주변의 다른 천체를 흡수할 수 없는 천체여야 한다. 물론, 구체적인 장박테리아로 전기 생산한다 장박테리아가 생산하는 전기를 실생활에 사용하거나, 이를 응용해 발효제품의 맛을 입맛에 맞게 바꿀 수 있을까. 또 장 건강에도 활용이 가능할까? 최근 인체 장내 미생물군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박테리아가 다수 발견돼 연구팀은 이의 활용 가능성을 놓고 상상의 나래를 펴고 있다. 전기를 만들어내는 박테리아는 지금까지 광산이나 호수 바닥 등 이색적인 환경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마다가스카르 여우원숭이, 한 번 아닌 여러 번 ‘폭발했다’ 100만년 전 중국 두개골 발견, 인류 진화 타임라인을 최소 50만년 앞당기나 스트레스받으면 코가 차가워진다 자식 양육에 더 힘쓰는 성(性)이 오래 산다 3만 년 동안 숨겨졌던 ‘그 색깔’의 비밀 스티로폼 용기서 나온 미세플라스틱, 폐 손상 일으킨다 엄마가 먹은 미세플라스틱, 모유로 전달돼 아이 면역체계 교란 한수원 "저선량방사선, 퇴행성 관절염 치료 효과 입증" 전기연, 중전압 하이브리드 직류차단기 개발…전력망 안정 기여 "비만약 세마글루티드, 감량 효과 관계 없이 심장 보호" 속보 뉴스 "노화된 뇌의 기억력 저하 되돌릴 수 있다…쥐 실험 확인" 친환경 수소 생산 위한 고체산화물 전해전지 10분 만에 만든다 UNIST, 폐배터리서 니켈ㆍ코발트 99% 순도 추출 기술 개발 '연구산업도 AI 시대' 과기정통부, 국제연구산업컨벤션 개최 초고압에서 새로운 얼음 찾았다…얼음의 21번째 결정상 발견 한국형 인공태양 '케이스타' 올해 플라스마 실험 시작 국제과학관심포지엄서 'AI 시대 과학관 역할' 공동합의문 채택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