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 손상 환자 치료 바이오잉크 개발 ⓒ부산대 제공 국내 대학 연구팀이 차세대 의료 기술로 주목받는 3D 바이오프린팅으로 손상된 근육 조직을 회복시키는 바이오잉크(bioink)를 개발했다. 부산대학교는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한동욱 교수 연구팀이 인천대학교 생명공학부 박경민 교수팀과 공동으로 외상으로 인한 근육 손실 치료를 위한 바이오잉크 개발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4-21 ⓒ ScienceTimes 태그(Tag) #근육 #바이오잉크 #바이오프린팅 #조직재생 관련기사 GIST, '노화 근육 소실 속도 조절' 단백질 세계 최초 확인 다런 윌리엄스 교수 연구팀 논문 이미지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나이 들수록 근육이 빠지는 신체 현상과 관련해 특정 단백질을 조절함으로써 근육 소실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24일 생명과학과 다런 윌리엄스(Darren Williams) 교수 연구팀이 노화에 따른 근감소증 주요 유발 요인으로 단백 "무릎 위 절단 환자, 자연스럽게 걷게하는 생체공학 의족 개발" 무릎 위를 절단한 환자의 근육과 뼈조직에 직접 연결해 사용자가 움직임을 더 정밀하게 조절하면서 기존 의족보다 더 빠르게 걷고 계단을 오르며 장애물도 피할 수 있게 돕는 새로운 생체공학 의족이 개발됐다. 생체공학 의족 착용하고 공을 다루는 절단 환자. 무릎 위 절단 환자의 근육과 뼈조직에 직접 연결해 사용자가 움직임을 정밀하게 조절하면서 기존 의 식사 시간만 바꿔도 운동 능력이 달라지는 비결, 지방에 있었다 생체 리듬이 깨지면 피로감이 쉽게 가시지 않는다 ⒸGetty Images 중요한 과제나 시험을 앞두고 밤을 새워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그 여파로 며칠간 피로가 지속되는 것을 느껴봤을 것이다. 야간 당직을 서거나 24시간 교대 근무를 하는 이들도 마찬가지다. 부족한 잠을 다음날 몰아서 자더라도 개운하지 않고 피곤함은 쉽게 가시지 않는 운동 중 분비되는 단백질이 근육·뼈 노화 막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양용열 박사와 전남대 김낙성 교수 연구팀은 운동 중 분비되는 단백질 'CLCF1'이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만들어 근골격 노화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운동할 때 근육에서 혈액으로 분비되는 단백질인 '마이오카인'은 지 나이 들수록 근육 줄어드는 이유 뇌에서 찾았다 흑질-선조체 도파민 신경계 항노화 유도 효과 ⓒ김상룡 교수 제공 국내 연구진이 나이가 들수록 근육이 줄어드는 원인이 뇌에 있음을 확인,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경북대 김상룡·이준영 교수, 남영표·김세환 박사와 한국뇌연구원 김재광 박사 연구팀이 뇌의 흑질-선조체 도파민 신경계의 기능 저하 순천향대 연구팀, 차세대 3D 바이오프린팅 연골 치료 소재 개발 시뮬레이션 결과 ⓒ순천향대 제공 순천향대는 1일 의대 재생의학교실 이병택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줄기세포 기반 연골 치료 소재를 개발하고, 손상된 연골 조직을 단일 시술로 재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연구 성과는 바이오소재 분야 세계적 학술지인 '바이오액티브 머티리얼스' UNIST "팔 근육 경직, 새 로봇 기술로 수치화해 진단" 팔 근육 경직 측정 방법과 신뢰도 향상 결과 그래프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의사의 손끝 감각에 주로 의존하던 팔의 근육 경직(spasticity) 진단을 정확한 수치로 표현할 수 있는 로봇 기술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공학과 강상훈 교수팀은 환자의 팔에 미세한 힘을 가한 뒤 이에 대한 움직임 반응을 측정해 경직 상 "노년기 근육 감소는 치매 위험 요인…골격근 손실 예방해야" 노년기에 골격근량이 줄어드는 근감소증(sarcopenia)이 있을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치매 발병 위험이 60% 가까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골격근 손실과 치매 발병 위험 관계 연구 설명 그림. 치매가 없는 70세 이상 노인들의 뇌 자기공명영상(MRI)을 통해 측정한 측두근(temporalis muscle)의 양과 치매 발병 위 공평하지 않은 노화, 이 나이를 조심하세요 ▲ 역사는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아도 노화는 가능하다. 인간은 서서히 늙는 것이 아니라 인생에서 두 번, 급격히 늙는 시기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GettyImages 요즘 들어 부쩍 늙었다는 기분이 들었다면, 주목하자. 단순히 기분 탓이 아닐지도 모른다. 미국 스탠포드 의대 연구진의 지난 14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노화(Nature Agin 도마뱀 꼬리의 재생능에서 배운 조직 재생의 가능성? 글 :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차혁진 교수 전 세계 3억 5천만부 이상 판매되어 선풍적인 인기를 끈 드래곤볼이라는 만화에 등장하는 캐릭터 중 하나인 피콜로는 전투 중에 심각한 상처를 입으면 스스로 치유하는 능력을 보여줍니다. 이 캐릭터의 설정은 꼬리가 잘려도, 저절로 꼬리가 재생되는 도마뱀의 재생 능력을 모티브로 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아직 늦지 않았다…어른 뇌에도 새 신경세포 자란다 아버지의 사랑이 정말 ‘좀비딸’을 살릴 수 있을까? 머리카락으로... 치약을 만든다고? 나무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거대한 생태계? 1살 우리아기, 밥을 안먹어도 너무 안먹어요 [광복절 특집] 대한의 여성과학자 만세 [광복절 특집] 변하는 과학관, 과학문화의 미래를 열다 극지연구소 "북극에 온난화 늦추는 자연 복원력 확인" UNIST "AI 모델 실행코드 더 빠르게 찾는 기술 개발" '기존 결정크기 1만배' 고품질 흑연 합성…"강도·전도성 우수" 속보 뉴스 인간 뇌신경 구조 닮은 이미지 센서 개발…보는 AI에 적용 "두 격자 간 어긋남으로 나타나는 '물결 무늬' 정밀 제어" "코로나19 감염 여성, 혈관 노화 5년가량 더 빨라진다" '스핀 손실'의 반전…차세대 정보소자 전력 절감 길 열다 노화 속도 늦추는 단백질 찾았다…RNA 수준 규명 KAIST, 전력 없이 작동하는 광센서 개발…"민감도 20배" "GPU 한 대로 그래프신경망 초고속 학습" KAIST, AI 모델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