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생체재료연구센터 한형섭 책임연구원, 천연물시스템생물연구센터 송대근 선임연구원, 도핑컨트롤센터 권오승 전문연구위원 공동연구팀이 천연물에서 찾은 펩타이드를 기반으로 항바이러스와 조직 재생 기능을 동시에 갖춘 치료 물질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펩타이드는 단백질의 기본 단위인 아미노산 2~50개로 이뤄진 물질로 단백질보다 작아 체내 침투 등이 유리해 새로운 약물 후보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비만약 '위고비' 등 펩타이드 신약 성공 사례가 이어지는 가운데, 특히 천연 단백질이 체내에서 분해되며 생성되는 '펩타이드 대사체'가 여러 기능을 갖추면서도 안정적인 신약후보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체내에서 상처 치유 및 혈관 재생 등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 '티모신 베타(β)4'에 주목해 펩타이드 대사체를 찾은 결과 조직 재생을 유도하는 물질 'Ac-Tβ1-17'을 발견했다.
이 물질은 혈관세포 활용 실험에서 세포 성장과 상처 치유, 혈관 생성, 유해산소 제거 등 몸 회복에 필요한 기능을 활성화하는 효과가 확인됐다.
여기에 더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을 85% 이상 억제하는 등 항바이러스 효과도 있는 물질임을 연구팀은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대사체를 치료에 활용하기 위해 지지체 형태로 담는 기술도 개발했다.
지지체는 세포가 자라나거나 손상된 조직을 회복할 때 발판이 되는 구조물로, 새로 발견한 펩타이드를 담은 지지체는 세포가 잘 부착되고 혈관도 잘 형성되는 조직 재생유도 효과가 확인됐다.
한 책임연구원은 "단백질 대사체가 신약뿐만 아니라 조직 재생을 위한 바이오 소재로도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며 "향후 다양한 생체 응용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달 19일 국제학술지 '바이오액티브 머터리얼스'에 실렸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5-04-21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