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엽 교수(왼쪽 위) 연구팀, AI로 효소 설계 연구 제안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효소를 설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했다고 17일 밝혔다. 효소는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생화학적 반응을 촉매하는 단백질이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4-18 ⓒ ScienceTimes 태그(Tag) #AI #세포공장 #효소 #효소설계 관련기사 AI로 이메일 쓰면 ‘이것’이 사라진다? 직장 상사가 AI 도구로 작성한 이메일을 받았다면 어떤 생각이 들까? 혹은 직장 상사가 AI 도구로 프레젠테이션 메시지를 작성했다면 과연 그 상사를 어떻게 바라볼까? 현재 전체 직장인의 75%가 ChatGPT와 같은 AI 도구를 일상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특히 이메일이나 보고서 작성 등 커뮤니케이션 업무에서는 활용도가 더욱 높아 초기 도입 인간 뇌신경 구조 닮은 이미지 센서 개발…보는 AI에 적용 극단적인 밝기 변화 조건에서 얼굴 인식 예시 ⓒ한국연구재단 제공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송영민 교수, 광주과학기술원(GIST) 강동호 교수 공동 연구팀이 뇌신경 구조를 본떠 추가 학습 없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기존 반도체 공정을 이용해 제작된 CMOS 기반 이미 "GPU 한 대로 그래프신경망 초고속 학습" KAIST, AI 모델 개발 전체 그래프신경망 대규모 학습법 제안한 김민수 교수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산학부 김민수 교수 연구팀이 한 대의 그래픽처리장치(GPU) 서버에서 대규모의 전체 그래프신경망(GNN) 모델을 빠르게 학습할 수 있는 GNN 시스템 '플렉스지엔엔'(FlexGNN)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UNIST "AI 모델 실행코드 더 빠르게 찾는 기술 개발" 연구진 모습 UNIST 이슬기 교수(왼쪽)와 정이수 연구원(제1저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딥러닝 인공지능(AI) 모델을 기존보다 빠른 속도로 운용할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컴퓨터공학과 이슬기 교수팀은 '오토튜닝' 과정을 최대 2.5배 빠르게 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가짜 과학 연구의 조직적 확산, '과학에 대한 신뢰를 파괴하고 있다' '가짜' 과학 연구의 조직적인 확산 현대 과학의 발전은 동료 검토(peer review)와 학술 출판 시스템이라는 견고한 기반 위에 구축되어 왔다. 17세기 과학혁명 이후 확립된 이 시스템은 새로운 발견을 검증하고 지식을 축적하는 핵심 메커니즘으로 작동해오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이 시스템의 근간을 흔드는 심각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UNIST "AI 모델 실행코드 더 빠르게 찾는 기술 개발" 연구진 모습 UNIST 이슬기 교수(왼쪽)와 정이수 연구원(제1저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딥러닝 인공지능(AI) 모델을 기존보다 빠른 속도로 운용할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컴퓨터공학과 이슬기 교수팀은 '오토튜닝' 과정을 최대 2.5배 빠르게 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데이터 드립니다 연구하세요"…과기부, 자율주행 AI 챌린지 수원 시내 달리는 자율주행차량 ⓒ연합뉴스 자료 사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일부터 내달 12일까지 '2025 자율주행 AI(인공지능) 챌린지'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10일 밝혔다.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로 열리는 대회는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의 연구 결과물인 실도로 환경 기반 학습데이터 셋과 자체 개발 암 표적 단백질만 알면 신약 찾아준다…AI 설계 모델 개발 KAIST 김우연 교수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화학과 김우연 교수 연구팀이 사전 정보 없이 암 표적 단백질 정보만으로 그에 맞는 신약 후보 물질을 설계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 '바인드'(BInD)를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기존 약물 개발은 질병을 일으키는 표적 단백질과 그 단 "AI도 메이드 인 코리아?"…소버린 AI가 뭐길래 '하이퍼클로바X' 소개하는 최수연 대표이사.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가 24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팀 네이버 콘퍼런스 단(DAN) 2023'에서 초대규모 AI '하이퍼클로바X' 관련 발표를 하고 있다. 2023.8.24 ⓒ네이버 제공 "우리 인공지 문헌학자가 된 'AI', 고대 라틴어 비문 해독하다 최근 고고학계에서는 AI를 활용하여 고대문명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비문 복원과 해석 작업은 학자들이 방대한 평행 텍스트를 수동으로 검색하고 비교 분석하는 고도로 전문화된 과정으로 막대한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더욱이 현재까지 개발된 디지털 도구들은 단순한 문자열 매칭에 의존하여 언어학적·역사적 맥락을 반영하지 못하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아버지의 사랑이 정말 ‘좀비딸’을 살릴 수 있을까? 머리카락으로... 치약을 만든다고? 나무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거대한 생태계? 1살 우리아기, 밥을 안먹어도 너무 안먹어요 [광복절 특집] 변하는 과학관, 과학문화의 미래를 열다 [광복절 특집] 대한의 여성과학자 만세 극지연구소 "북극에 온난화 늦추는 자연 복원력 확인" UNIST "AI 모델 실행코드 더 빠르게 찾는 기술 개발" '기존 결정크기 1만배' 고품질 흑연 합성…"강도·전도성 우수" 반도체공장서 가스누출 시 0.5초 내 감지…초음파 감지기 나와 속보 뉴스 인간 뇌신경 구조 닮은 이미지 센서 개발…보는 AI에 적용 "두 격자 간 어긋남으로 나타나는 '물결 무늬' 정밀 제어" "코로나19 감염 여성, 혈관 노화 5년가량 더 빨라진다" '스핀 손실'의 반전…차세대 정보소자 전력 절감 길 열다 노화 속도 늦추는 단백질 찾았다…RNA 수준 규명 KAIST, 전력 없이 작동하는 광센서 개발…"민감도 20배" "GPU 한 대로 그래프신경망 초고속 학습" KAIST, AI 모델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