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장재성 교수팀이 개발한 바이러스 감지 시스템 ⓒUNIST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공학과 장재성 교수팀은 실내 공기 중 바이러스를 손상 없이 포집하고 빠르게 분석하는 새로운 감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해당 시스템은 기기로 공기를 흡입해 공기 속 바이러스 입자에 수분을 응축시켜 포집하고 이를 종이 면역 센서로 검출하는 방식이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4-07 ⓒ ScienceTimes 태그(Tag) #바이러스 #바이러스감지 #헤마글루티닌 #호흡기바이러스 관련기사 아버지의 사랑이 정말 ‘좀비딸’을 살릴 수 있을까? 아버지의 사랑이 정말 ‘좀비딸’을 살릴 수 있을까? 영화 ‘좀비딸’이 2025년 여름 박스오피스를 강타했다. 동명의 웹툰을 원작으로 하는 이 영화는 아버지 정환(조정석 역)이 좀비 바이러스에 감염된 딸 수아(최유리 역)를 지키기 위한 고군분투를 그리고 있다. 맹수 전문 사육사인 정환 "쥐 콧속 투여 후 100% 생존"…코로나19 원점 타격 기술 개발 펩타이드 기반 코로나19 치료제 개념도 ⓒIBS 제공 기초과학연구원(IBS)은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최영기 소장 연구팀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RNA 복제와 증식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 후보물질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스스로 증식하기 위해 리보핵산(RNA) 중합효소 복합체를 이용한다. RN WHO, 역사적인 팬데믹 협정 채택: 미래 위기에 대한 준비 팬데믹 협정의 주요 내용과 의의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 5월 20일 최근 3년간의 장기 협상 끝에 새로운 팬데믹 협정을 채택했다. 이는 2003년 담배규제기본협약 이후 WHO 역사상 두 번째로 성사된 주요 조약으로 전 세계적으로 2천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코로나19 팬데믹의 교훈을 바탕으로 마련되었다. 해당 협정은 미래 글로벌 보건 위기에 대 팬데믹 막는다…韓연구팀, 대규모 박쥐 인공장기 '오가노이드' 구축 다종-다조직 박쥐 오가노이드 플랫폼 ⓒIBS 제공 국내 연구팀이 여러 종류 박쥐의 기관지, 폐, 신장, 소장 등 장기를 실험실에서 정밀하게 모사한 유사장기(오가노이드)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고위험 인수공통바이러스의 자연 숙주로 알려진 박쥐 생체모델로는 최대 규모로, 신·변종 바이러스와 미래 팬데믹에 파수꾼 역 스스로를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 면역반응 완화 '스위치' 찾았다 슬러프 단백질에 의한 항바이러스 반응 모식도 ⓒKAIST 제공 한미 공동 연구팀이 몸이 스스로를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의 면역반응을 안정화하는 단백질 '스위치'를 찾아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김유식 교수와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차승희 교수 공동 연구팀은 자가면역질환과 바이러스 감염병이라는 상반된 상 다양한 변이바이러스에 강력한 면역반응 유도 백신 플랫폼 개발 충남대는 수의과대학 이종수 교수팀이 자연 감염과 유사한 면역 자극을 유도해 다양한 바이러스 및 변이체에 강력하고 장기적인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차세대 백신 플랫폼 'KE-VAC(Kinetically Engineered Vaccine)'를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성균관대 임용택 교수팀, 기초과학연구원(IBS)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최영기 "엠폭스, 가볍게 여기면 심각한 글로벌 보건 위협 될 것" 콩고민주공화국의 2세 어린이 엠폭스 환자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천연두(smallpox)와 같은 계열의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엠폭스(MPOX·옛 명칭 원숭이두창)를 가볍게 여길 경우 심각한 글로벌 보건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영국 서리대 카를로스 말루케르 데 모테스 교수팀은 2일 의학 저널 네이처 메 미국 과학자들, 롱 코비드 치료제 발견? 폐조직 재생 장애가 롱 코비드의 주요 원인 2023년 5월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 세계 보건 비상사태 종료를 선언했지만, 여전히 수백만 명이 코로나19 감염 후 수년간 피로, 호흡곤란, 통증 등의 증상을 경험하고 있다. 코로나19의 장기 후유증 일명 '롱 코비드(Long Covid)'는 '포스트 코비드-19 증후군 홍역이 퍼지고 있는 텍사스, 치명적 질병 하지만 예방이 가능하다 백신 접종 감소와 홍역의 귀환 텍사스 주 관계자들은 지난 2월 백신을 접종 받지 않은 아이가 텍사스 서부 시골 지역에서 발생한 홍역 발병으로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15년 이후 미국에서 발생한 '고도로 전염성'이 있지만 '예방 가능한'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첫 사망 사례이다. 한편, 1월 이후 미국에서는 최소 124 중국 우한 연구진, 인체 감염 가능성이 높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발견 신종 바이러스 'HKU5-CoV-2' 최근 중국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연구진이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를 발견했다고 발표해 전 세계 보건당국이 예의주시하고 있다. 특히 이번에 코로나19 바이러스 연구로 유명한 시전리(Shi Zhengli)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에 의해 발견된 바이러스는 2019년 말 전 세계적 대유행을 일으켰던 코로나19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화성에서 드디어 35억년 전 생명체의 강력한 증거를 발견하다 초파리의 특이한 선물 공세 비밀을 풀다 동물들은 지진을 예측할 수 있을까 스마트폰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국내 연구진 AI 모델 개발 해수담수화의 환경 딜레마 화성 퇴적암 분석해보니…"과거 생명체 서식 환경 가능성 시사" 만성통증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 근거 기반 의학에서 정밀 의료로 조울증 치료제 왜 안 들을까…뇌 속 별세포의 대사 차이 밝혔다 김치서 찾은 유산균, 궤양성 대장염 증상 잡는다 독성연 "BPA 대체물질에도 독성…예쁜꼬마선충 통해 규명" 속보 뉴스 "사람 근육의 30배 능력"…UNIST, 변형 자유로운 인공근육 개발 KISTI·서울대, 천체 자체 중력 빠르게 계산하는 기술 개발 원자력연,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 안전성 검사 장치 개발 과기한림원, 18·29일 AI방산·AI기초과학 주제 토론회 과총, 18일 국가전략기술 체계 고도화 오픈포럼 "알츠하이머병 유전자 있으면 뇌 속 별세포 면역기억↓" "척수 별세포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 손상된 척수 회복 방해"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