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박테리아 대응 항균물질 발굴한 공동 연구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이성수 박사와 조선대 의대 신송엽 교수, 충북대 조성진 교수 공동 연구팀은 약용 참거머리에서 슈퍼박테리아에 대응할 새로운 항균 물질을 발굴했다고 25일 밝혔다. 슈퍼박테리아는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고위험성 세균으로, 항생제 오남용에 의해 생긴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3-26 ⓒ ScienceTimes 태그(Tag) #슈퍼박테리아 #참거머리 #항생제개발 #히루니핀2 관련기사 공기 중 슈퍼박테리아 실시간 포착…간편하게 현장서 검출 슈퍼박테리아 현장 검출 기술 개발한 생명연 연구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나노연구센터 임은경 박사 연구팀은 연세대 황정호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공기 중에 떠다니는 슈퍼박테리아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는 진단 기술 'CN-TAR'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유전자 편집 기술인 슈퍼박테리아가 만든 보호막, 미세방울로 뚫는다 슈퍼박테리아 보호막 무력화 기술 모식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정현정 교수와 미국 일리노이대 공현준 교수 공동 연구팀이 슈퍼박테리아인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하 포도상구균)의 보호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미세방울(microbubble) 기반 유전자 전달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9일 밝 생명硏, 슈퍼박테리아 내성 극복한 신규 항생제 개발 슈퍼박테리아 제어하는 금 나노입자 개념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감염병연구센터 류충민 박사 연구팀이 슈퍼박테리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금 나노입자와 지질 나노입자 기반 신규 항생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슈퍼박테리아는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고위험성 세균이다. 이는 항생제 오남용에 의해 생기며, “박테리오파지 DNA 이용해 치명적 항생제 내성균 잡는다” 세계적으로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 문제가 심각해지는 가운데 미국 연구진이 세균에 침투할 수 있는 바이러스인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자를 조작해 박테리아에 침투시키는 방법으로 치명적인 항생제 내성균을 죽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박테리오파지 DNA 투여 후 죽은 녹농균(오른쪽). 사람에게 치명적인 5대 병원균 중 하나인 녹농균(Pseudomonas aerugi 우주로 간 미생물, 돌연변이 일으킬까? 기술의 발달로 우주여행에 대한 장벽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앞으로 일반인이 우주왕복선을 타고 지구 궤도를 돌거나, 수학여행 다녀오듯 달에까지 가볼 수 있는 날이 머지 않았다. 어느 여행이나 그렇듯 우주여행 역시 건강이 중요하다. 일반 우주여행객들도 우주여행의 위험성을 극복할 수 있는 신체 건강한 이들이 선발되고 적응 훈련도 받을 것이다. 그 2만5천배 강한 슈퍼항생제 개발 지난 1929년 페니실린이 출현한 이후 항생제는 현대 의학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역할을 맡아왔다. 세균을 죽이는 일이다. 그러나 항생제에 적응한 세균이 ‘슈퍼 박테리아’로 변모하면서 심각한 상황이 이어져왔다. 미국 질병관리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미국에서만 매년 2만3천명이 슈퍼박테리아에 의해 사망하고 있다. 이런 사례가 늘어날 경우 과거 항생제 수학으로 슈퍼박테리아 잡는다 기존의 최신 항생제로도 죽지 않는 항생제 내성균[속칭 슈퍼 박테리아, 혹은 슈퍼 버그(bug)]은 인류를 위협하는 또 하나의 적이다. 미국에서만 매년 200만명 이상이 치료가 어려운 슈퍼 박테리아에 감염되며, 이 가운데 2만3000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항생제 내성균은 무분별한 항생제의 남용으로 인간이 자초한 ‘자연의 보복’일 수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구름 한 덩이의 무게는 약 1000톤? 모기 침에서 발견된 새로운 바이러스 감염 경로 '소버린AI 시대'의 한국형 해답, 조선 고전에서 찾다 암세포가 흘린 DNA 조각으로 췌장암을 조기에 진단하다 더워도 너무 덥다, 방법이 없을까? AI와의 대화, 환경에 미치는 숨겨진 비용은?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새 차 냄새'는 200개 이상의 화학물질의 혼합물이다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뇌 노화 속도도 빨라졌다" 거미 고향은 바다?…거미 뇌구조 가진 해양 절지동물 화석 발견 "사진 한 장으로 반려견 3D 아바타 만든다"…UNIST, AI기술 개발 속보 뉴스 '시간이 약?' 안 통하는 PTSD…공포 기억 계속되는 이유 찾았다 UNIST, 폭발 없는 대용량 ESS '흐름 전지' 수명 향상 기술 개발 '더 나은 내일 하루' 불규칙한 수면 습관 '한방에' "스마트폰으로 장내 대장균 제어해 질병 진단·치료한다" "간암 60% 원인은 예방 가능한 요인…비만 관련 간암 증가" 부경대 연구팀, 이차전지 NCA 양극재 성능 저하 극복 기술 개발 '외계 생명체 증거'라던 논문, 15년 만에 철회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