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위험 없고 수명 늘린 이차전지 기술 개발 ⓒ부산대 제공 국내 대학 연구팀이 화재위험이 없고 수명을 획기적으로 늘린 저비용 에너지저장장치(ESS) 기술을 개발했다. 부산대학교는 나노에너지공학과 박민준 교수 연구팀이 3D 프린터를 이용한 간단한 설계와 저렴한 아연·망간을 활용해 에너지저장장치 전지의 수명을 증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3-12 ⓒ ScienceTimes 태그(Tag) #ESS #에너지저장장치 #에너지저장장치기술 #이차전지 관련기사 지질연, 에너지 저장장치에 폐배터리 새활용 기술 개발 폐배터리 새활용 기술 모식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폐배터리를 고전압 에너지 저장장치(ESS)에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 업사이클링(새활용)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지질연 한요셉 박사 연구팀은 폐 리튬이온배터리 양극재인 리튬망간산화물을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해 레독스 흐름 전지 기반 ESS에 활용할 수 있는 KAIST·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 양극 소재 탐색기간 '확 줄였다' 이차전지 양극 소재 자율 탐색 실험실 개요 ⓒKAIST 제공 국내 산학 협력 연구진이 인공지능(AI) 로봇 및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해 연구자 개입 없이 이차전지 양극 소재를 탐색하는 '자율 탐색 실험실'을 구축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서동화 교수팀이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 에너지소재연구소 L 부경대 연구팀, 이차전지 NCA 양극재 성능 저하 극복 기술 개발 NCA 전구체 이온 교환 기반 개질 기술 개발 ⓒ부경대 제공 국립부경대 연구팀이 고에너지 밀도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NCA 양극재의 구조적 결함을 줄이고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국립부경대 고민성 금속공학전공 교수, 채수종 에너지화학소재전공 교수 연구팀은 NCA 전구체 내 음이온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 대신할 차세대 전지 성능향상 음극소재 개발 공동 연구팀 및 연구성과 ⓒ충남대 제공 충남대는 유기재료공학과 송우진 교수팀과 동아대 구민수 교수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신동옥 박사팀이 차세대 수계 아연 이온 이차전지 성능 향상 음극 소재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물 기반 전해질을 사용하는 차세대 수계 아연 이온 이차전지는 안정성 문제가 대두된 리튬 이온 이차전지를 성능·안정성 만족 전해질 개발…"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도움" 고분자 소재 모식도 ⓒ포항공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빠른 이온 이동 속도를 보이는 고분자 전해질 소재를 개발했다. 이 소재를 사용하면 고성능 전고체 배터리를 상용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포항공대(POSTECH)는 화학공학과 박문정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이차전지에 사용할 수 있는 고체 고분자 화재 위험 없는 수계아연전지, 결정 형성 억제…내구성 3배↑ 개발된 기술이 적용된 아연-폴리요오드 흐름전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양정훈·이찬우 박사 연구팀은 수계아연전지의 덴드라이트(dendrite·나뭇가지 모양의 결정) 형성을 억제할 신규 전극 소재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수계아연전지는 물을 전해질로 사용해 화재 위험이 없고, 제조 비 UNIST "물·기름 이용해 1분 안에 박막 제조 가능" 박막 조립 모습(A)과 조립된 박막을 기판으로 옮기는 기술(B)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복잡한 공정이 필요한 박막 제조를 물과 기름을 이용해 1분 안에 완료할 수 있는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17일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구강희 교수팀은 물속에 분산된 기름방울로 촉매 박막 등을 제작할 수 있 이차전지 차세대 핵심기술은…"건식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앞으로 이차전지 분야에서 차세대 핵심기술은 건식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5일 한국기계연구원이 발간한 기계기술정책 제117호 '이차전지 제조 장비 동향과 차세대 이차전지 장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 기술이 이차전지 제조 기술의 핵 신소재 '탄소나노튜브', 차세대 이차전지 건식공정 적용 길 열려 한중탁(앞줄 가운데) 박사팀 ⓒ전기연 제공 한국전기연구원(KERI) 나노융합연구센터 한중탁 박사팀은 차세대 이차전지의 친환경 건식 공정(dry process)에 간편하게 적용되는 '고분산성 탄소나노튜브(CNT·Carbon Nano Tube) 파우더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꿈의 신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2024년의 핵심 기술을 주목하라 세계 최대 정보기술 가전 전시회 CES 2024가 현지시간으로 지난 12일에 막을 내렸다. 예상대로 ‘AI’의 독무대였다는 평과 생성AI가 도입된 제품군을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에는 아직 못 미쳤다는 분석이 함께했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이라는 용어가 만들어지고 백 년도 지나지 않아 “Everything was AI, even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모닝커피의 마법? 카페인 ‘골든타임’ 아침으로 밝혀져 화성에서 드디어 35억년 전 생명체의 강력한 증거를 발견하다 없어진 눈을 통째로 다시 만드는 달팽이의 재생 능력 꿀벌 살리기 대작전 '버섯 살인마'의 완전범죄 시도? 아프리카 청년들이 외롭다? 도파민 터지는 ‘숏폼’, 우리의 집중력은 ‘47초’ "납 없는 실리콘 초음파 패치 개발…웨어러블 혈압계 등 적용" 암세포 DNA만 골라 제거한다…유전자 가위 기술 개발 폐PET 재활용해 CO₂잡는다…"고효율 포집 소재 기술 개발" 속보 뉴스 화성 퇴적암 분석해보니…"과거 생명체 서식 환경 가능성 시사" 스마트폰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국내 연구진 AI 모델 개발 독성연 "BPA 대체물질에도 독성…예쁜꼬마선충 통해 규명" 조울증 치료제 왜 안 들을까…뇌 속 별세포의 대사 차이 밝혔다 김치서 찾은 유산균, 궤양성 대장염 증상 잡는다 독감은 왜 노인에게 더 치명적일까…"ApoD 단백질 증가 때문" UNIST, 기술이전 계약 자동 분석하는 AI 시스템 구축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