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는 기계공학부 박상민 교수팀이 위험 상황을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센서 및 산업용 IoT(사물인터넷)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박 교수팀은 이산화 규소 나노입자 기반의 전단농화유체를 마찰전기 나노 발전기에 적용하는 연구를 통해 새로운 웨어러블 센스를 개발했다. 박 교수팀이 개발한 장비는 에어로졸 스프레이를 활용해 다양한 형태와 재료의 상용 안전 보호구에 훼손 없이 적용해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헬멧·장갑·신발 등에 붙여 사용하며, 충돌이나 위험한 상황을 빠르게 감지해 알림을 보내준다. 무겁지 않고 배터리도 필요 없어 활동성 또한 높다. 배터리가 필요 없는 자체 전원이라는 특징과 무게와 공간 제약이 없다는 점에서 노동자의 활동성 및 설치 제약 없는 범용적인 활용이 기대된다.
현재 산업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OPC UA(산업용 표준 프로토콜·서버 네트워크)를 활용해 IoT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공장 내 다른 센서·액추에이터·PLC·PC와 같은 요소들과 효과적인 연동이 가능하다.
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Nano Energy' 6월 1일 자에 게재됐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4-06-04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