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연구팀이 돼지껍데기에서 추출한 젤라틴을 활용해 고성능 양방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R-SOFC)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R-SOFC는 하나의 연료전지 소자에서 수소와 전력을 모두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해 필수적인 에너지 변환장치다.
연구팀은 젤라틴으로 매우 얇으면서 치밀하게 다중 도핑하는 '세리아 나노박막 제조 공정기술'을 개발한 뒤 R-SOFC 성능을 높이는 기능층에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에 개발된 R-SOFC는 기존 공정을 적용한 것보다 2배 이상 높은 성능을 보였고, 수소 생산도 세계 최고성능을 발휘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1천500시간 동안 변형 없이 구동되는 등 안정성이 높은 것도 실증했다고 덧붙였다.
이강택 교수는 "이번 연구에 사용된 공정들은 대면적 양산시스템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고성능 양방향 연료전지 상용화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에 지난 9월 8일 온라인 게재됐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2-12-09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