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율 객원기자 / 안예랑 작가 저작권자 2021-04-01 ⓒ ScienceTimes 태그(Tag) #T-레이 #wifi #고주파수 #그래핀 #스마트폰 #와이파이 #테라헤르츠파 관련기사 "스마트폰으로 장내 대장균 제어해 질병 진단·치료한다" 스마트폰 블루투스로 조종할 수 있고 삼킬 수 있는 소형 캡슐을 이용해 장내에 있는 유전자 조작 대장균을 제어해 질병을 진단하거나 치료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스마트폰으로 조종 가능한 소형 캡슐로 장내 유전자 조작 대장균을 제어하는 실험. 염증 물질을 감지하면 빛을 내도록 유전자 조작된 대장균을 스마트폰으로 조종 가능한 소형 캡슐과 함께 대장염 모 "하나의 패킷만으로 통신 마비 가능" 스마트폰 보안 취약점 발견 'LLFuzz'(Lower Layer Fuzz) 시스템 구성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스마트폰 통신 모뎀에서 단 하나의 조작된 무선 패킷(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단위)만으로도 스마트폰의 통신을 마비시킬 수 있는 심각한 보안 취약점을 발견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LLF 부산서 스마트폰 기반 온라인 동영상 2D·3D 호환 기술 첫선 온라인 동영상 2D·3D 호환 기술 개념도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제공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은 오는 17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하는 '2025 K-ICT 위크 부산'에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부산공동연구실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스마트폰 기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2D·3D 호환 핵심기술 와이파이 속도의 100배 '라이파이' 보안까지 높인다 KAIST·표준연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조힘찬 교수팀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임경근 박사팀과 공동으로 차세대 초고속 데이터 통신인 '라이파이'(Li-Fi)의 보안성까지 높인 암호화 광통신 소자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빛'(Light)과 '와이파이 "소셜미디어 많이 사용할수록 어린이 우울 증상도 증가" 사춘기 이전 어린이가 소셜미디어를 더 많이 사용할수록 우울 증상도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우울한 아이들이 소셜미디어를 더 많이 사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청소년 ⓒ연합뉴스TV 제공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 샌프란시스코) 제이슨 나가타 교수팀은 22일 미국 의사협회 학술지 JAMA 금융 보안 프로그램 의무 설치가 오히려 해킹 위험 높인다 KAIST·고려대·성균관대·티오리 공동 연구팀 ⓒKAIST 제공 국내 금융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의무화가 오히려 사이버 공격 위험성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전자공학부 김용대·윤인수 교수 공동 연구팀은 고려대 김승주 교수팀, 성균관 유럽 젊은이들이 스마트폰을 내려놓고 있다 역설의 시대: 연결을 끊어야 진짜 연결된다 - 디지털 네이티브들의 놀라운 고백 솔직히 스마트폰 없는 삶이 가능할까 싶다. 모든 사람이 디지털 세상에 푹 빠져 살고 있는데, 조금만 뒤처져도 소외될 것 같은 불안감이 들기 때문이다. 그런데 가끔은 스마트폰에서 벗어나고 싶은 마음도 굴뚝같다. 참 아이러니한 일이다. 실제로 인스타그램에서 53만 명의 "스마트폰 금지로는 어린이의 건강한 기술 활용 준비 못 시켜" 스마트폰 사용하는 청소년들 ⓒ연합뉴스TV 제공 스마트폰 사용이나 소셜미디어 접속을 금지하는 것만으로는 어린이들이 미래 사회에서 더욱 중요해질 기술을 건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준비시키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영국 버밍엄대 빅토리아 굿이어 교수 등 전문가들은 28일 의학 학술지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에서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 ‘금지’가 최선은 아니다. 스마트폰 제한 정책에 새로운 접근 필요 “쉬는 시간에 스마트폰 사용을 막지 마세요.” 2023년 9월, 영국 버밍엄에 위치한 킹 애드워드 VI 캠프힐 학교에서 스마트폰 사용을 두고 학생과 교사 간의 갈등이 벌어졌다. 학교 측이 교내 휴대전화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정책을 도입했지만, 일부 학생들은 쉬는 시간에 스마트폰을 사용할 자유를 보장해야 한다며 강하게 반발한 것이 당신의 와이파이는 안전합니까?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MU-MIMO(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서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다. 노스이스턴대학교 컴퓨터공학과와 같은 학교 무선인터넷 연구소 연구진은 네트워크 성능을 최대 65%까지 저하시키는 ‘BREAK 공격’을 발견했다는 연구결과를 전기전자공학회 IEEE에 제출했다.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소버린AI 시대'의 한국형 해답, 조선 고전에서 찾다 암세포가 흘린 DNA 조각으로 췌장암을 조기에 진단하다 더워도 너무 덥다, 방법이 없을까? AI와의 대화, 환경에 미치는 숨겨진 비용은?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새 차 냄새'는 200개 이상의 화학물질의 혼합물이다 휴가 다녀오니 ‘43일’이나 행복해 "실외 대기오염에 장기간 노출되면 치매 위험 커진다" ETRI "미디어 국제표준 특허 2천건·기술료 1천억원 돌파" "하나의 패킷만으로 통신 마비 가능" 스마트폰 보안 취약점 발견 "2023년 기록적 해양 폭염, 기후변화 임계점 근접 조기 경보" 속보 뉴스 "소지방·돼지기름, 종양 성장 촉진하고 면역은 약화시켜" '주사 한 번으로 치료'…고양이 갑상샘항진증 치료제 나온다 콩벌레 공생 천연 곰팡이 없이도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만든다 극지연구소, 5억년 전 고생물 정체 입증…"50년 논쟁 끝냈다" "해저 9천532m에서 화학반응으로 에너지 얻는 생물군집 발견" 위성·선박·드론 등 움직이는 환경 양자통신기술 세계 첫 개발 UNIST, 위기 상황에 강한 협력형 AI 훈련 기술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