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율 객원기자 / 안예랑 작가 저작권자 2021-04-01 ⓒ ScienceTimes 태그(Tag) #T-레이 #wifi #고주파수 #그래핀 #스마트폰 #와이파이 #테라헤르츠파 관련기사 "스마트폰 금지로는 어린이의 건강한 기술 활용 준비 못 시켜" 스마트폰 사용하는 청소년들 ⓒ연합뉴스TV 제공 스마트폰 사용이나 소셜미디어 접속을 금지하는 것만으로는 어린이들이 미래 사회에서 더욱 중요해질 기술을 건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준비시키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영국 버밍엄대 빅토리아 굿이어 교수 등 전문가들은 28일 의학 학술지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에서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 ‘금지’가 최선은 아니다. 스마트폰 제한 정책에 새로운 접근 필요 “쉬는 시간에 스마트폰 사용을 막지 마세요.” 2023년 9월, 영국 버밍엄에 위치한 킹 애드워드 VI 캠프힐 학교에서 스마트폰 사용을 두고 학생과 교사 간의 갈등이 벌어졌다. 학교 측이 교내 휴대전화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정책을 도입했지만, 일부 학생들은 쉬는 시간에 스마트폰을 사용할 자유를 보장해야 한다며 강하게 반발한 것이 당신의 와이파이는 안전합니까?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MU-MIMO(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서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다. 노스이스턴대학교 컴퓨터공학과와 같은 학교 무선인터넷 연구소 연구진은 네트워크 성능을 최대 65%까지 저하시키는 ‘BREAK 공격’을 발견했다는 연구결과를 전기전자공학회 IEEE에 제출했다. "'꿈의 전자기파' 테라헤르츠파 더 효율적으로 만든다" 플라스마를 이용한 테라헤르츠파 생성 시뮬레이션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꿈의 전자기파' 자원으로 불리는 테라헤르츠파를 더 효율적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국내외 공동연구진이 개발했다. 4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허민섭 UNIST 물리학과 교수팀과 광주과학기술원(GIST) 석희용 교수, 영국 스트래스클라이드대 야 휴대전화는 암을 유발하지 않는다 담배는 끊어도 휴대전화 금단 현상은 참을 수가 없다? 1분 1초라도 휴대전화가 없으면 불안해하는 이들이 있다. 주변에서는 이들이 휴대전화에 중독되거나 전자파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상황 등을 걱정한다. 휴대전화에서 파생되는 자극은 도파민을 치솟게 하면서 다른 중독과 마찬가지로 휴대전화(스마트폰) 중독을 유발한다. 이처럼 휴대전화는 ‘중독’을 유발할 수는 있 하나의 폰, 두 개의 번호, 서로 다른 통신사 그게 가능해?-eSIM 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그래핀 뛰어 넘는 ‘포스트 그래핀’의 시대 개막 ▲ 흑연, 다이아몬드,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등 탄소 소재는 원자 배열에 따라 다채로운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기초과학연구원(IBS)-중국과학기술대 공동연구진은 전기전도도가 낮은 풀러렌을 이용해 상온에서 반도체 특성을 갖는 신물질 ‘LOPC’를 합성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탄소(C) 소재는 연필심인 흑연, 다이아몬드, 우는 아이에게 디지털 기기는 좋은 ‘진정 전략’ 아니다 아이가 막무가내로 울고 떼를 쓰거나, 화가 난 아이가 부정적 행동을 보일 때 보호자는 무척 난감하다. 특히 공공장소에서는 아이의 예측불허 행동이 민폐를 주기도 해 보호자의 마음은 불안하고 조급해진다. 이런 경우 많은 보호자들이 그 상황을 빨리 종료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아이에게 건네준다. 스마트폰은 아이를 진정시키는 데 더할 나위 없이 즉각적이기 때문이 [카드뉴스] 여러 번 사용 가능한 혈당센서 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배터리 성능 저하 없는 급속충전, 가능할까? 자는 동안 스마트폰 충전하는 것을 깜빡한 다음날이면 급속충전이 무척 절실해지는데요. 그런데 급속충전을 자주 하면 배터리 성능이 저하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급속충전이란? 가끔 길거리에 '스마트폰 급속충전 10분'이라는 문구가 보이는데요. 급속충전은 일반적으로 충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절반 이상 수준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전기자동차의 경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소변’ 버리지 마세요, ‘토마토’에 양보하세요 싱크홀 위험 지역 알려주는 ‘땅속 백과사전’, 지질도 어린 시절 환경이 뇌 속 ‘하얀 길’ 바꾼다 가톨릭 교회와 과학의 공존: 2천년 역사 속 갈등과 협력의 여정 지방 소멸 위기, 과학이 지역을 돕는 방법 "복잡한 장면에서 핵심만 찾아낸다" 뇌처럼 분석하는 AI 추상화 앞에서 당신의 뇌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오류 줄인 고효율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 "온난화로 급격한 '기온 반전' 증가…저소득 국가 더 위험" 아주대 "'슈퍼커패시터' 성능 개선하는 친환경 첨가제 개발' 속보 뉴스 성능·안정성 만족 전해질 개발…"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도움" 과학기술위성 1호로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분자구름 찾았다 "자폐 조기에 진단"…사회적 상호작용 AI 기술 개발 백신 1·2차 접종은 어느 팔에?…"같은 팔에 맞으면 더 효과적" "페르시아고양이-퍼그 비슷한 머리 형태는 수렴진화 한 것" "친환경 수소, 더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생산한다" 나일론만큼 튼튼한 생분해 어망 개발…1년 내 92% 분해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