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가 기후위기 대응에서 기술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가운데,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실질적 기후위기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열렸다.
코이카(KOICA·한국국제협력단)는 24일 오후 서울 더플라자호텔 그랜드볼룸에서 '2025 개발협력주간'의 첫 공식 행사로 '2025 코이카 기후 AI 포럼'을 개최했다.
올해 포럼의 주제는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모두의 AI와 개발협력의 미래'로, 장원삼 코이카 이사장을 비롯해 김상협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사무총장, 유엔환경계획(UNEP),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 관계자 등 국내외 AI·기후 분야 전문가 200여 명이 참석해 발표와 토론을 진행했다.
개회사에서 장원삼 이사장은 "한국은 다양한 국제무대에서 '모두를 위한 AI' 비전을 제시하며 기술 발전이 인류 공동 번영에 기여해야 함을 강조해 왔다"며 "이번 포럼이 AI를 통한 기후 위기 대응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국제협력 확산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포럼 1부에서는 코이카와 UNFCCC가 작년 11월 출범한 '기후 미래 파트너십'의 2025년 주요 성과가 발표됐다. 김경아 코이카 기후환경경제개발팀 과장은 AI 기반 기술 공모전인 'AI for Climate Action Awards(AICA 어워즈)'의 주요한 성과 등을 소개했다.
AICA 어워즈에서는 전 세계 634개 출품작 중 한국 기업이 만든 'AI 농업 솔루션'이 우승했고, 아프리카 기후 AI 포럼에서는 한국 기업이 기술을 소개하는 자리도 마련됐다.
김 과장은 "기후 미래 파트너십은 한국의 기후·기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는 마중물이 되고 있으며, 우리 정부의 '아시아 AI 수도' 목표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개발도상국과 협력하는 공적개발원조(ODA)가 기여할 점이 많다"고 말했다.
이어 AICA의 공모전 심사위원인 최예지 디아이랩 연구소장과 우승팀 리더인 알리샤 루앙그라트 한국 유역통합관리연구원팀 소속 연구원이 공모전 참여 경험과 참여 팁을 공유했다.
2부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AI 기술의 미래'와 '대한민국 AI 3대 강국 진입을 위한 모두의 AI'를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김형준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는 "AI는 기후예측, 재해조기 경보와 같은 '기후변화 적응', 에너지 효율 최적화와 같은 '기후변화 완화' 모두에 핵심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며 "기후 외교 지형이 격동하는 상황에서 한국은 기술 분야의 국가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발전과 기후 대응 전략을 선도하는 그린 게임 체인저가 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김성훈 한국수자원공사(K-Water) AI 연구센터장은 "AI의 머신러닝, 딥러닝 기능은 물 분야에서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하천유량, 위성영상, 기상자료를 다양한 데이터와 융합해 홍수나 가뭄과 같은 재난에 대비하고 수질을 관리할 수 있으며, 특히 분석 기술자가 부족한 개발도상국에서는 AI가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한국의 AI 역량이 개발협력과 만나 어떻게 시너지를 낼 수 있는지에 대한 발표도 이어졌다.
송영준 코이카 디지털전환·정보화팀 과장은 코이카의 AI 중장기 추진 전략과 국익에 기여하는 실용적 ODA 활용에 대해 발표했다.
차상훈 WI.Plat 대표는 "ODA 현장에서는 개도국 현지 인력의 한계로 인프라가 방치되고 있다"며 "AI 기술을 활용해 시간, 공간, 인간의 제약 조건을 극복하는 것이 글로벌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코이카는 유엔기후변화협약과의 '기후 미래 파트너십'을 토대로 AI 기반 기후 설루션 발굴, 현지 역량 강화, 데이터 기반 협력 플랫폼 확대 등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K-AI for Climate Action' 브랜드를 국제사회에서 적극 확산하며 한국의 AI 기술과 ODA가 함께 기여하는 글로벌 협력 생태계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5-11-26 ⓒ ScienceTimes
관련기사

뉴스레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