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6G 시대 핵심 기반 기술인 지능형 무선 액세스기술(AI-RAN) 개발을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기술은 초밀집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대용량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인공지능(AI)을 무선 전송, 네트워크 제어는 물론 데이터를 중앙 클라우드로 보내지 않고 단말이나 기지국 등 네트워크 엣지에서 분산처리해 지연을 줄이고 실시간성을 높이는 컴퓨팅 방식인 엣지 컴퓨팅 전반에 적용했다.
향후 AI가 통신망을 스스로 제어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AI-Native(AI를 시스템의 중심으로 전체 구조와 동작을 설계) 이동통신' 구현의 핵심 기반 기술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의 대표 성과 중 하나인 뉴럴 리시버(Neural Receiver) 기술은 AI가 직접 무선 신호를 복원하고 오류를 바로잡는 차세대 수신 기술이다.
기존 무선 수신 방식이 수학적 모델 기반의 단계별 처리 방식에 의존해 고주파 환경에서 성능 저하를 겪는 한계를 가졌던 반면 뉴럴 리시버는 AI가 복잡한 채널 환경을 스스로 학습해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실험 결과 밀리미터파 주파수 환경에서 AI 기반 수신기는 기존 방식 대비 데이터 복원 정확도 약 18% 향상, 채널 예측 정확도 약 15% 향상, 데이터 손실률 30% 감소 등의 성능을 보였다.
ETRI 백용순 입체통신연구소장은 "AI 기반 무선 액세스 기술은 AI가 통신망의 핵심 기능을 직접 수행하는 첫 단계로, 6G 'AI-Native 네트워크' 실현을 앞당길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5-11-18 ⓒ ScienceTimes
관련기사

뉴스레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