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세계에서 처음으로 땅속 100m에서도 무선통신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광산 지중 100m 거리에서도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자기장 지중 통신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지하 광산과 같은 환경은 신호 감쇠가 매우 심해 기존 무선통신 기술로는 음성 신호를 주고받을 수 없다.
ETRI는 지중 매질에서 자기장이 안정적으로 전달되는 특성을 활용해 저주파 자기장 기반 통신 시스템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직경 1m의 송신 안테나와 수 ㎝급 소형 자기장 수신 센서, 약 15kHz의 주파수, 음성 통신이 가능한 수준인 2∼4 kbps의 데이터 속도로 통신을 구현해 냈다.
이를 통해 광산 입구(지상)와 지하 5단(지중) 사이 직선거리 100m 구간에서 양방향 통신 시험에 성공했다.
기존 수십m 깊이에서 성공한 해외 연구 수준을 뛰어넘었다고 ETRI 측은 밝혔다.
이 기술은 붕괴 사고로 땅속에 매몰된 사람의 생존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지하 공동구·가스관·송유관 등 지하 매설 기반 시설의 재난 대응, 지하 벙커에서의 군사 작전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ETRI 박승근 전파연구본부장은 "광산뿐만 아니라 터널, 지하시설, 해양 굴착, 국방 등 극한 환경에 필요한 혁신 기술"이라며 "신뢰성 높은 통신 수단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5-11-14 ⓒ ScienceTimes
관련기사

뉴스레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