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플랫폼인 생성형 AI 서비스 '유니아이'(UNIAI)를 공식 오픈했다고 11일 밝혔다.
외부 서비스를 들여오는 수준이 아니라, 대학이 스스로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오픈소스 대형언어모델(LLM)을 활용해 자체 플랫폼을 완성한 첫 사례라고 UNIST는 소개했다.
유니아이는 말 그대로 'UNIST만의 ChatGPT'다. 교수·직원·학생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캠퍼스 내부에 고성능 그래픽 처리장치(GPU) 서버를 직접 구축하고 운영한다.
자동 자원 관리 시스템인 쿠버네티스(Kubernetes)와 고속 AI 처리 엔진(vLLM)을 통해 빠른 응답 속도와 효율을 확보했다.
UNIST는 생성된 데이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아 보안이 철저하며, 연구자료나 학사정보 등 민감한 데이터도 안전하게 처리된다고 설명했다.
유니아이는 단순한 대화형 생성형 AI가 아닌 대학의 실질적 행정과 연구 업무를 돕는 지능형 AI 조력자(Agent)로 설계됐다.
규정·지침·요령 등 학내 문서를 검생증강생성(RAG) 기술로 검색·요약해 즉시 답변하며, 복잡한 문서도 한 줄 질문으로 해결할 수 있다.
앞서 UNIST는 기술가치팀과 정보화전략팀이 개발한 'AI 기반 지식재산권 관리 시스템'을 통해 기술이전 계약서 검토 기간을 한 달에서 하루로 줄인 바 있다.
박종래 UNIST 총장은 "유니아이는 UNIST가 AI 캠퍼스로 나아가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외부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우리 손으로 플랫폼을 완성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5-11-12 ⓒ ScienceTimes
관련기사

뉴스레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