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저작권자 2023-02-06 ⓒ ScienceTimes 태그(Tag) #eSIM #IMEI #USIM #고유식별번호 #듀얼심 #반도체 #스마트폰 #연구정보중앙센터 #유심 #이심 관련기사 KAIST, 전력 없이 작동하는 광센서 개발…"민감도 20배" 전력 없이 작동하는 광센서 실험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기·전자공학부 이가영 교수 연구팀이 외부 전원 없이 작동하는 무전력 광센서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기존 전원 공급 센서보다 응답도가 20배 높아 동급 기술 가운데 최고 성능을 자랑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반데르 단국대 연구팀, 빛 이용해 뇌처럼 학습하는 AI 반도체 개발 종이 명함에 제작된 차세대 AI 반도체의 정보 저장 및 인공 시냅스 기능 ⓒ단국대 제공 단국대는 화학공학과 최준환 교수가 한양대 유호천·오세용 교수팀과 함께 빛을 이용해 인간의 뇌처럼 학습하는 차세대 인공지능(AI) 반도체(뉴로모픽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이 반도체는 인간의 뇌 신경망 구조(시냅스)를 모방해 "스마트폰으로 장내 대장균 제어해 질병 진단·치료한다" 스마트폰 블루투스로 조종할 수 있고 삼킬 수 있는 소형 캡슐을 이용해 장내에 있는 유전자 조작 대장균을 제어해 질병을 진단하거나 치료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스마트폰으로 조종 가능한 소형 캡슐로 장내 유전자 조작 대장균을 제어하는 실험. 염증 물질을 감지하면 빛을 내도록 유전자 조작된 대장균을 스마트폰으로 조종 가능한 소형 캡슐과 함께 대장염 모 "하나의 패킷만으로 통신 마비 가능" 스마트폰 보안 취약점 발견 'LLFuzz'(Lower Layer Fuzz) 시스템 구성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스마트폰 통신 모뎀에서 단 하나의 조작된 무선 패킷(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단위)만으로도 스마트폰의 통신을 마비시킬 수 있는 심각한 보안 취약점을 발견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LLF 아 스마트폰 그만해야하는데... 과학이 제시하는 스마트폰 중독 극복법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침대 머리맡의 스마트폰을 집어 들고, 잠들기 직전까지 화면을 응시하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 이처럼 현대인의 하루는 스마트폰과 함께 시작되고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디지털 의존성은 사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단순한 생활 습관을 넘어 심각한 중독 수준에 이르 부산서 스마트폰 기반 온라인 동영상 2D·3D 호환 기술 첫선 온라인 동영상 2D·3D 호환 기술 개념도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제공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은 오는 17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하는 '2025 K-ICT 위크 부산'에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부산공동연구실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스마트폰 기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2D·3D 호환 핵심기술 아주대·서울대·美퍼듀대 공동연구팀 "고정밀 전자피부 개발" 아주대는 서울대, 미국 퍼듀대와 공동 연구를 진행해 기존 반도체 기반 전자 피부의 약점을 보완한 '고정밀 전자피부'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연구 개요도 ⓒ아주대 제공 전자 피부는 외과적인 처치 없이 인체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비침습적 센서 플랫폼이다. 이 가운데 유기 반도체 물질 기반의 UNIST "6G 환경에 맞는 저전력 무선통신 반도체 소자 개발" 연구진 모습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자율주행과 6세대 이동통신(6G) 시대에 맞는 저전력, 비휘발성 무선통신 반도체 소자를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제시했다. 25일 UNIST는 전기전자공학과 김명수 교수와 반도체소재·부품대학원 윤태식 교수팀은 바나듐 산화물 멤리스터(memristor) 기반 RF 스위치를 개발 "소셜미디어 많이 사용할수록 어린이 우울 증상도 증가" 사춘기 이전 어린이가 소셜미디어를 더 많이 사용할수록 우울 증상도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우울한 아이들이 소셜미디어를 더 많이 사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청소년 ⓒ연합뉴스TV 제공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 샌프란시스코) 제이슨 나가타 교수팀은 22일 미국 의사협회 학술지 JAMA 금융 보안 프로그램 의무 설치가 오히려 해킹 위험 높인다 KAIST·고려대·성균관대·티오리 공동 연구팀 ⓒKAIST 제공 국내 금융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의무화가 오히려 사이버 공격 위험성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전자공학부 김용대·윤인수 교수 공동 연구팀은 고려대 김승주 교수팀, 성균관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아버지의 사랑이 정말 ‘좀비딸’을 살릴 수 있을까? 머리카락으로... 치약을 만든다고? 1살 우리아기, 밥을 안먹어도 너무 안먹어요 나무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거대한 생태계? [광복절 특집] 변하는 과학관, 과학문화의 미래를 열다 [광복절 특집] 대한의 여성과학자 만세 극지연구소 "북극에 온난화 늦추는 자연 복원력 확인" AI로 이메일 쓰면 ‘이것’이 사라진다? UNIST "AI 모델 실행코드 더 빠르게 찾는 기술 개발" '기존 결정크기 1만배' 고품질 흑연 합성…"강도·전도성 우수" 속보 뉴스 무궁화 탄소흡수계수 개발…탄소흡수량 사철나무의 7배 "유인원도 사회적 지능 있다…마음속으로 동료 등 정보 추적" 우울증 환자의 뇌 분석해 스트레스 저항 유전자 밝혀 "70세 전 청력손실 시 보청기 사용하면…치매 위험 61%↓" "초콜릿 풍미 비밀은 카카오 콩 발효…핵심 미생물 찾았다" 인간 뇌신경 구조 닮은 이미지 센서 개발…보는 AI에 적용 "두 격자 간 어긋남으로 나타나는 '물결 무늬' 정밀 제어"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