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저작권자 2022-12-07 ⓒ ScienceTimes 태그(Tag) #FEDOR #Hubo #Justin #Kirobo #R2D2 #Robonaut #국제우주정거장 #로봇 #연구정보중앙센터 #휴머노이드로봇 관련기사 물위 달리는 소금쟁이 비밀 풀었다…초소형 로봇으로 구현 성공 한국과 미국 공동 연구진이 소금쟁이과 곤충인 라고벨리아(Rhagovelia)가 수면 위에서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게 해주는 다리의 구조와 운동 메커니즘을 밝혀내고, 이 원리를 이용해 초소형 수상 로봇 '라고봇'(Rhagobot)을 개발했다. 라고벨리아를 모방한 초소형 로봇 '라고봇'(Rhagobot). 아주대 고 전선·옷 등 변형 물체도 능숙하게 다루는 로봇 기술 개발 변형 물체 다루는 작업 수행하는 로봇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산학부 박대형 교수 연구팀이 로봇이 변형 물체도 능숙하게 다룰 수 있게 하는 인공지능 기술 'INR-DOM'(아이엔알-돔)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전선, 의류, 고무줄처럼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물체는 움직임을 예측하기 어려워 로 "접었다 폈다 자유자재로 가능" KAIST, 로봇 종이 개발 지우지재로 접힘 제어하는 로봇 시트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기계공학과 김정·박인규 교수 공동 연구팀이 접었다 폈다 자유자재로 가능한 '로봇 시트'(robotic folding sheet)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접힘(folding)은 면과 접힘선(hinge)의 배열에 기반한 "위험할 때만 대응" 효율적으로 반응하는 인공감각 신경계 개발 KAIST·충남대 공동연구팀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전자공학부 최신현 석좌교수와 충남대 반도체융합학과 이종원 교수 공동 연구팀은 생명체의 감각 신경계 기능을 모사한 인공 감각 신경계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사람 등 동물은 익숙한 자극은 무시하고, 중요한 자극에만 선별적으로 민 韓 초등생 우주 꿈, ISS서 생중계됐다…"큰 한 걸음 될 것" ISS에서 '우주의 비밀 열쇠, 우주의 돌' 그림 소개하는 페기 윗슨 사령관. 촬영 조승한 ⓒ연합뉴스 제공 "김찬율, 김준 학생의 '우주의 비밀 열쇠, 우주의 돌'입니다. 우주 역사와 진화 정보가 담긴 행성의 돌을 모아 박물관을 만들었네요." 5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미래교육원 대강당 KAIST,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연료는 생체 부산물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한 KAIST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체 부산물을 연료로 사용해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마이크로·나노급 입자 기반 비(非) 생명체 자가 추진 로봇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세포 등 생명체를 이용한 사람과 랠리하는 배드민턴 로봇의 등장 지난 4월 중국 베이징에서는 세계 최초로 휴머노이드 로봇을 위한 하프 마라톤 대회가 열렸다. 이는 로봇 기술의 놀라운 진보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이벤트였다. 과거의 로봇들은 주로 단순 작업만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었기 때문에 인간처럼 유연하게 움직이거나 상황에 맞춰 반응하는 모습을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최근에 많이 등장하는 춤을 추 "데이터 전송 부담 덜며 정확도 높인 로봇 비전 센서 개발" 연구진 모습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밝기가 일정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사물의 윤곽 정보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추출하는 로봇 비전 센서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 신소재공학과 최문기 교수팀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최창순 박사팀, 서울대학교 김형 교수팀과 함께 시냅스 모방 로봇 비전 센서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KAIST 4족 보행로봇 시속 14㎞로 계단·징검다리도 '거뜬' 라이보가 다양한 불연속 지형에서 주행하는 모습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황보제민 교수 연구팀은 계단이나 징검다리 등 불연속적인 지형에서도 고속으로 이동할 수 있는 4족 보행로봇 내비게이션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4족 보행로봇은 모래, 얼음, 산악 등 다양한 지형에서 보행할 수 있어 감시& "로봇이 받는 힘 그대로 인간 팔에 전달" 지스트·MIT 공동개발 'TelePulse' 개발한 GIST·MIT 연구팀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로봇이 받는 물리적 힘을 사람의 팔에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햅틱(Haptic) 시스템이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AI융합학과 김승준 교수 연구팀이 미국 MIT 연구팀과 공동으로 원격 로봇과 인간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9월 7-8일 밤하늘의 대장관, 3년 만의 개기월식이 온다 “잡았다, 요놈”, 모기 죽이는 새로운 ‘무기’ 등장 ‘제로’ 음료의 경고… 아동의 성조숙증 부른다 사람들 속으로 돌아온 호랑이 어느 여성 물리학자의 인생 다이어리 미국 암 발생의 5%, 의료 영상 방사선이 원인일 수 있다? 젊은층을 위협하는 새로운 암, 충수암 발병률 50년 만에 3-4배 급증 에너지연·플렉셀스페이스 개발 태양전지, 누리호에 실려 우주로 "유전자 편집 돼지 폐, 뇌사자에게 첫 이식…9일간 기능" "선박 수중청소 부산물은 복합 오염물…해양생태계 악영향" 속보 뉴스 "의사결정 과정 세포 수준서 규명…생쥐 전체 뇌 활동지도 완성" "분리수거 No" 기계연, 혼합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개발 ETRI, 대만서 열린 지능형 감시 기술 국제대회서 1위 UNIST "AI 품질 검사로 2.79초 만에 초미세 불량 찾는다" 8일 달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월식…"5년 만에 국내서 관측" "석유화학원료 '자일렌' 분리 효율 높인 다공성 소재 개발" AI가 평면 이미지 3차원으로 재구성…표준연, 알고리즘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